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유계(兪棨)

[요약정보]

UCIG002+AKS-KHF_12C720ACC4FFFFB1607X0
자(字)무중(武仲)
호(號)시남(市南)
시호(諡號)문충(文忠)
생년1607(선조 40)
졸년1664(현종 5)
시대조선중기
본관기계(杞溪)
활동분야문신 > 문신
유양증(兪養曾)
의령남씨(宜寧南氏)
조부유대경(兪大敬)
외조부남이신(南以信)
저서『강거문답(江居問答)』
저서『가례원류』
저서『시남집』
저서『가례원류』
저서『여사제강』
저서『강거문답』

[상세내용]

유계(兪棨)
1607년(선조 40)∼1664년(현종 5).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본관은 기계(杞溪). 자는 무중(武仲), 호는 시남(市南).

부친은 참봉 유양증(兪養曾)이며, 모친은 의령남씨(宜寧南氏)병조참판 남이신(南以信)의 딸이다. 그의 조부는 정언지평수안군수를 지낸 유대경(兪大敬)이다. 김장생(金長生)의 문하에서 성리학을 수학하였고, 예학과 사학에 정통하였으며, 송시열(宋時烈)송준길(宋浚吉)윤선거(尹宣擧)이유태(李惟泰) 등과 더불어 충청도 유림의 오현(五賢)으로 일컬어졌다.

1630년(인조 8) 진사과에 합격하고 1633년 식년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승문원의 관리로 벼슬을 시작하였다.

1636년 병자호란 때 시강원설서로서 척화를 주장하다가 화의가 성립되자 척화죄로 임천에 유배되었다.

1639년에 풀려났으나 벼슬을 단념하고 금산의 마하산(麻霞山)에 서실(書室)을 짓고 은거하여 학문에 전념하였다.

이때 『가례집해(家禮集解)』를 개작하여 『가례원류(家禮源流)』를 저작하였다.

1644년 주서로 기용되어 1646년 무안현감이 되었고, 1649년 인조가 죽자 홍문관부교리로서 왕의 장례절차를 상소하여 예론에 따라 제도화하였다.

그러나 이어서 인조의 묘호를 정할 때 조(祖)자의 사용을 반대하고 종(宗)자를 주장하다가 이듬해 선왕을 욕되게 하였다는 죄로 온성영월에 유배되었으며, 1652년(효종 3)에 유배에서 풀려나 송시열송준길 등의 추천으로 시강원의 문학으로 다시 등용되었다.

1659년에 병조참지로서 비변사부제조를 겸임하고, 이어서 대사간공조참의대사성부제학부승지 등을 지냈다. 이해에 효종이 죽고 복상문제가 일어나자 서인으로서 기년설(朞年說)을 지지, 3년설을 주장하는 윤휴(尹鑴)윤선도(尹善道) 등의 남인을 논박하여 유배 또는 좌천시켰다.

1662년(현종 3) 예문관제학을 거쳐 1663년 대사헌이조참판에 올랐다가 병으로 사직하였다. 그는 이이(李珥)김장생의 학통을 잇고, 예론의 입장은 송시열을 중심으로 하는 노론의 전위적인 역할을 담당하였다.

이이『동호문답(東湖問答)』을 본받아 고금의 치도(治道)를 논하고 자신의 정치사상을 피력한 『강거문답(江居問答)』을 저술하였다. 그는 이 책에서 이이의 학설을 요약하여 “정치의 근본은 수기(修己)이고, 정치의 핵심은 임관(任官)이며, 정치의 급무는 구민(救民)이다.”라고 보고 그 구체적인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주자의 『가례』의 본문을 기본으로 하고, 『의례(儀禮)』『주례(周禮)』『대례(戴禮)』 등 여러 경전의 내용을 뽑고 주를 붙여 그것을 ‘원(源)’이라 하고, 후대의 여러 유학자들의 예설을 조사하여 ‘유(流)’라 하여 역사상의 예설들을 밝힌 『가례원류』를 편찬하였다. 이는 김장생의 예설에 토대를 둔 학설로서, 뒷날 윤선거와 공편하였는지를 두고 노론과 소론 사이에 치열한 당쟁을 불러일으키게 되었다.

말년에 주자의 『자치통감강목(資治通鑑綱目)』을 본받아 노론정권하의 고려사에 대한 역사관을 대변하여주는 강목체(綱目體)의 『여사제강(麗史提綱)』을 편찬하였다. 임천칠산서원(七山書院), 무안송림서원(松林書院), 온성충곡서원(忠谷書院) 등에 제향되었다. 좌찬성에 추증되었다.

저서로는 『시남집』『가례원류』『여사제강』『강거문답』 등이 있다.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참고문헌]

仁祖實錄
孝宗實錄
顯宗實錄
市南集
國朝人物考
典攷文獻

[집필자]

이애희(李愛熙)

성명 : "유계(兪棨)"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紀年便攷v25兪棨絳玄孫參奉養曾子宣祖丁未生字武仲號巿南金長生金集趙翼門人仁祖庚午進士癸酉登明經科歷春坊舍人副學藝提衡圈
紀年便攷v26延也䟽入上下教曰尹善道心術不正敢上陰險之䟽詆譛上下之間所當䋲以重律而有不忍罪者削奪官爵放歸田里副提學兪棨等言善道䟽語意凶慘請焚其䟽放逐四裔上従之命竄三水府
紀年便攷v26兪棨陳劄命罷城內慈壽仁壽兩尼院領議政鄭太和曰此是盛事而後宮之老而無作者多住尼院此難處也上曰今則無有也仍命
紀年便攷v26辛丑二年順治十八年副提學兪棨等上劄陳七事蠲逋欠以收人心也停訓局兵新戶加抄也罷諸宮家各衙門塩盆魚箭也詳查八路児弱仍蠲收布也御營軍限
記聞v1東閣雜記孝宗朝玉堂沈大孚兪棨等上疏言仁廟稱祖之不可皆被貶竄宣廟廟號初稱宣宗
俟百錄v1疏之入不入此言之行不行卜主勢之固不固國祚之延不延也臣無任瞻天望日縮悚屛營之至謹昧死以聞留政院不入承旨兪棨啓請焚疏
歷代帝王紀年v01閔鼎重老峰領相兪棨
國朝捷錄v01兪 棨
郯述v04座目未詳○辛丑畐副學兪棨應敎李敏迪本館錄李垕栦格金禹錫李觀徵沈梓兪命胤李先稷七人未參尹趾美元萬理二人加入
文獻攷略v1百世不遷之廟爲宗而不爲祖漢文帝唐太宗玄宗晉元帝宋高宗皆不得稱祖而不遷則自若非宗於祖祖加於宗也玉堂兪棨疏曰列聖廟號旣有仁宗今日復用豈是別嫌之意也論者以太祖太宗世宗世祖欲爲今日之援據夫太者無上之稱世者世
大王大妃殿王大妃殿尊崇都監都廳儀軌金壽恒 書寫官工曹參判金佐明 樂章文 製述官副提學兪棨 玉寶篆文 書寫官副司果呂聖齊 四月初七日 都監郞
大王大妃殿王大妃殿尊崇都監都廳儀軌長樂 謄書藝習事 捧甘掌樂院 製述官弘文館副提學兪棨 玉冊二件各八帖用南陽靑玉 長九寸廣一寸五分 厚六
大王大妃殿王大妃殿尊崇都監都廳儀軌相‧書寫官都承旨金佐明竝加資 樂章文製述 官副提學兪棨半熟馬一匹 玉寶篆文書寫官正 言呂聖齊‧冊寶奉進官
靑邱風雲v1宋字英甫號尤庵沙溪愼獨齋門人肅廟己巳與文谷同被禍宋字明甫號同春堂兪㯙字方叔號醉翁兪棨字武重號市南尹舜擧號東土
東國黨論n1책거시졔宋某을롭게라이 이러姸臣이잇난냐市南兪棨 紀溪人諡文忠 曰善道난즁지시고其 疏을블살너지
國朝人物志v3巳文科仁祖丁丑虜變亂兵直逼行宮請出前日斥和臣以與虜行遠拔劍叱退曰雖當危忽之際何敢乃爾兪棨在傍見之服其義勇亟加歎服以賓客從昭顯世子于瀋館虜又以淸陰金尙憲北去行遠痛
國朝人物志v3決死於龍廷者當沒齒溝壑不復立於天地間何忍忘親苟容乎由是寒不處溫暑不處涼至林川海上與市南兪棨相依又居懷德出入金愼齋之門戊戌尤菴入朝曼薦武勇士數輩日讀兵書拊劍而泣曰早晚當備行伍
國朝人物志v3今同用一字未安上不悅許解諫職金集趙翼言之上怒曰昔宋仁宗廢后非是而諡議無異今兪棨以爲不可至有仁者存天理無人欲等語而再有疏章予之腐心久矣遂命遠竄穩城壬辰放還上問講官
國朝人物志v3掌令執義竝不就丙子淸人僭號遣使至宣擧率同志上書請斬來使以明大義丁丑後歸錦山與市南兪棨築室扁以山泉相對討論又出入愼獨齋金集之門諡文敬人物考子拯右相推掌令
國朝人物志v3大妃所宜服以朞年爲定許穆疏斥朞年之失尹善道又疏論之權諰疏請原宥善道萬基遂與兪棨論善道之凶悖甲寅以肅宗國舅拜領敦學府事兼大提學封光城府院君庚申宗室枏久嘗
國朝人物志v3英銳太露執德不弘輕視群下頗好自主前代敗亡可鑑戒也不樂仕宦昔人美之趙錫胤豈可以欲退爲罪哉兪棨之儒雅博學永爲淸朝棄物左相金濬素負重望而大同一事不吓於儒臣爻象不佳欲行者公心也持難者亦
國朝人物志v3字子仁號明齋坡平人宣擧子幼受學于市南兪棨乃長從尤菴宋時烈學學業日就以逸進肅宗乙丑爲右議政時年八十一諡文成子行敎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