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이유태(李惟泰)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774C720D0DCB1607X0
자(字)태지(泰之)
호(號)초려(草廬)
시호(諡號)문경(文敬)
생년1607(선조 40)
졸년1684(숙종 10)
시대조선중기
본관경주(慶州)
활동분야문신 > 문신
이서(李曙)
저서『초려집』

[관련정보]

[상세내용]

이유태(李惟泰)
1607년(선조 40)∼1684년(숙종 10).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태지(泰之), 호는 초려(草廬). 유학 이서(李曙)의 아들이다.

김집(金集)의 천거에 의하여 1634년(인조 12) 희릉참봉(禧陵參奉)이 되고 이어 건원릉참봉(健元陵參奉)대군사부에 임명되었지만 나아가지 않았다.

1658년(효종 9) 송시열(宋時烈)송준길(宋浚吉)의 천거로 지평이 되고, 이듬해 시강원진선집의를 거쳐 현종 즉위 후 공조참의동부승지를 역임하였다.

1660년(현종 1)의 복제시비 때에는 호군의 직에 있으면서 송시열의 기년설(朞年說)을 옹호하였다. 뒤이어 효종 말년 이래 적어두었던 만언소(萬言疏)를 올려 시폐(時弊)를 논하고 구민(救民)‧구국(救國)의 대책을 제시, 왕이 비변사의 제신들로 하여금 이를 검토하게까지 하였으나 제대로 채택되지 않음을 보고 실망하여 사직, 귀향하였고, 그뒤에도 이조참의동부승지우부승지이조참판 등이 제수되었지만 취임하지 않았다.

1674년의 갑인예송(甲寅禮訟)때 복제를 잘못 정하였다는 남인 윤휴(尹鑴) 등의 탄핵을 받아 다음해 영변에 유배되었다.

1680년(숙종 6)의 경신대출척으로 죄가 풀려 호군에 서용되었으나 숙종초부터 사이가 벌어진 송시열과 그 계통 사람들의 미움을 받아 유현(儒賢)으로서의 지위를 상실한 채 불만 끝에 죽었다.

예학(禮學)에 뛰어나 김집과 함께 『상례비요(喪禮備要)』『의례문해(疑禮問解)』 등을 교감(校勘)하였으며, 특히 치국경제(治國經濟)문제에 있어서는 이이(李珥)를 모범으로 삼아 점진적인 경장론을 전개하였다.

즉, 우선 당시 민폐와 국정동요의 근본요인이 농민의 유리와 토지의 황폐에 있다고 보고 그 안정책으로 향약에 의한 향촌조직과 오가작통제(五家作統制)의 실시, 양전(量田)의 시행과 사창(社倉)의 설치를 주장하고, 양인(良人)이상 자제의 취학과 15세 이후 능력에 따른 사농공상(士農工商)의 선택을 역설하였으며, 구체적인 변통책으로서는 어염세(魚鹽稅)의 국고전환과 면세전의 폐지, 내수사의 혁파, 부세(賦稅) 및 인역제(人役制)의 개혁, 공안(貢案)의 조정과 감축, 양전제의 개선, 관제의 개편과 합리적 운영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본래 한미한 출신으로서 처음에는 민재문(閔在汶)에게 배우다가 김장생(金長生)김집 부자를 사사, 그 문하의 송시열송준길윤선거(尹宣擧)유계(兪棨)와 더불어 호서산림 오현(五賢)의 한 사람으로 손꼽혔다.

소론에 의하여 이조판서에 추증되었으며, 문인들이 고향에 금산서원(錦山書院)을 세워 제향하였으나 1713년 노론의 요청으로 일시 훼철되기도 하였다.

저서로 『초려집』 26권이 전한다. 시호는 문경(文敬)이다.

[참고문헌]

仁祖實錄
孝宗實錄
顯宗實錄
肅宗實錄
黨議通略

[집필자]

정만조(鄭萬祚)

명 : "유태(惟泰)"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紀年便攷v4六代孫守一七代孫瀷八代孫惟泰并見下
大東遺事v3○右相元斗杓上箚言諸侯奪宗之義又請更詢於先朝儒臣李惟泰沈光洙許厚尹宣擧尹鐫鑴等云云時宣擧厚在外無可否惟泰與時烈等無異同光洙以爲宗統爲重者似乎得矣云鐫鑴以爲惟其卽乎人心關係大綱無悖於禮云趙絅上疏○辛丑副司旨
俟百錄v2爲宗也尊矣是謂奪嫡奪宗事絶常倫此王朝禮與士大夫不同者也云云此亦推廣卑宗事尊之意也當時許穆見臣書而韙之惟泰則志臣說而斥之以嫁禍遂與臣絶遂使國論橫潰而典禮紊亂此世禎所謂臣與許穆書中有卑宗事尊之說臣實倡之者蓋指
俟百錄v2從新之議臣適自鄕入都下時烈等已去國而獨李惟泰在朝頗聞主張四種之說甚力時烈不歸正亦惟泰之所爲也臣又書與惟泰極論當初服制之非宜欲其因公論旣發改正從善上使國禮歸正而下勿使時烈等陷於罪戾且曰太王之宗移於王季不得歸
俟百錄v2服制疏上廷臣亦有改舊從新之議臣適自鄕入都下時烈等已去國而獨李惟泰在朝頗聞主張四種之說甚力時烈不歸正亦惟泰之所爲也臣又書與惟泰極論當初服制之非宜欲其因公論旣發改正從善上使國禮歸正而下勿使時烈等陷於罪戾且曰太
俟百錄v3抝者大有間矣始壽曰然而事涉動大入侍諸臣處問其可否而處之得當矣上曰唯來善曰此言博播於閭閻間臣亦略聞而但惟泰貽書宋時烈追悔前非之說未能見其父字之可言者然果如大臣之所陳達則參酌寬宥亦何妨乎知義禁閔黯曰今聞大臣之
俟百錄v3時判義禁睦來善平安道遠竄罪人李惟泰罪名右議政吳始壽曰凡係禮論之人固不可率慕請釋以啓日後紛擾之弊而但聞惟泰所見稍變於當初追悔其所獻議者大乖於禮經而以三年之制爲是以此嘗言于宋時烈不徒不悟又從而怒之及其被罪後以
俟百錄v3素行實多不美而此則不須論矣同義禁金禹錫曰古人云得其情則哀矜而勿喜國家用罰非必深惡而永絶之也使之自新也惟泰所見與前有異之說臣亦聞之矣大臣所達之言誠爲得當上曰三司亦言之副提學閔宗道曰執抝可惡而自新爲貴放之宜矣
俟百錄v3而宥之事涉無端必致人疑訝以榻前說話別爲擧行條使外人知悉以當矣上曰惟同義禁李夏鎭曰已旣改過則何必仍置但惟泰不徒誤禮而已此外素行實多不美而此則不須論矣同義禁金禹錫曰古人云得其情則哀矜而勿喜國家用罰非必深惡而永
野乘v19鎮謂舜岳曰近觀之李惟泰最善人也舜岳曰何謂也夏鎮曰不見其親禮說乎觀其說則頓叚前見盖君子之道叚過為貴而今惟泰能之故方欲白上放還而収用耳所謂禮說癸丑送来尤菴之禮說而所謂頓叚前見即湯武云云一欵也金潪聞其說即徃長鬐
大事編年v21改字句而還及惟泰被謫之後頓變前見改著禮說之言盛行於世宋雖不信其說而只訝人言之如此適因拯之來拜棘中言及惟泰事則宋亦言所聞第令覓見其新說宋之意蓋欲辨其傳說之虛實而已拯歸以書問惟泰則惟泰極口自明怨詈宋拯遂復于宋
大事編年v21謬等語觀之宋與拯相對時未見其新說而只信惟泰之不改初見者尤是明白旣不得見新說使之覓出豈有是理且宋所以處惟泰者不信人言終始愛護之言至於如此可謂不失舊故之義寧有欲陷之意耶噫拯以懷憾伺釁之心幸有此事必欲巧詆而陰中
大事編年v21卿橝字也子仁拯字也以此觀之伊時傳說之播人耳目不勝其藉藉則宋之聞而致訝對拯云云固非異事畢竟吳始壽輩果以惟泰變其初見貽書宋與之相絶請釋蒙宥始壽輩若不親見其新說則何以建白而放釋乎然則惟泰惡得免士友之疑而變見之說
大事編年v21之已無其欺誣天聽若是無忌則其他譸張眩幻將何所不至乎至於柳壽芳事則壽芳與惟泰論宣擧立院事有所不滿之說故惟泰會宿於奉恩寺時擧似於宋壽芳之語卽私相可否者而在乙卯以前許璜所傳乃通文懸錄而在於辛酉事端卽別年條迥左而
大事編年v21固非異事畢竟吳始壽輩果以惟泰變其初見貽書宋與之相絶請釋蒙宥始壽輩若不親見其新說則何以建白而放釋乎然則惟泰惡得免士友之疑而變見之說初不出於宋者亦不皎然乎其錫文輩疏中使疇錫覓出不得之說有若宋故稱所無之新說而以
大事編年v21人言之如此適因拯之來拜棘中言及惟泰事則宋亦言所聞第令覓見其新說宋之意蓋欲辨其傳說之虛實而已拯歸以書問惟泰則惟泰極口自明怨詈宋拯遂復于宋曰前日所謂禮說聞李生頔之言則謂曾往復於門下又曰旣無變說云云宋答書曰聞此
大事編年v21播者抑獨何心而今以見存之人直謂之已無其欺誣天聽若是無忌則其他譸張眩幻將何所不至乎至於柳壽芳事則壽芳與惟泰論宣擧立院事有所不滿之說故惟泰會宿於奉恩寺時擧似於宋壽芳之語卽私相可否者而在乙卯以前許璜所傳乃通文懸
大事編年v21又自信前日相信之不謬也甲寅秋往復誠有之間有以愚意修刪者矣其原說間有不必言者而其全篇自好似無害矣云云頔惟泰之子也草丈卽泰號草廬也廈卿橝字也子仁拯字也以此觀之伊時傳說之播人耳目不勝其藉藉則宋之聞而致訝對拯云云
大事編年v21得免士友之疑而變見之說初不出於宋者亦不皎然乎其錫文輩疏中使疇錫覓出不得之說有若宋故稱所無之新說而以陷惟泰者然豈非誣罔之甚乎以宋書中所謂承回示自信不謬等語觀之宋與拯相對時未見其新說而只信惟泰之不改初見者尤是
大事編年v21拯疑宋本源心術而絶之者有二焉故參判李惟泰禮說及木川事言根是也所謂禮說事蓋在甲寅秋宋以議禮事待罪畿甸也惟泰爲著禮說送示宋其說間有不必言而言者亦有可以東西看而其大體無害故宋略改字句而還及惟泰被謫之後頓變前見改
大事編年v21所無之新說而以陷惟泰者然豈非誣罔之甚乎以宋書中所謂承回示自信不謬等語觀之宋與拯相對時未見其新說而只信惟泰之不改初見者尤是明白旣不得見新說使之覓出豈有是理且宋所以處惟泰者不信人言終始愛護之言至於如此可謂不失
大事編年v21以議禮事待罪畿甸也惟泰爲著禮說送示宋其說間有不必言而言者亦有可以東西看而其大體無害故宋略改字句而還及惟泰被謫之後頓變前見改著禮說之言盛行於世宋雖不信其說而只訝人言之如此適因拯之來拜棘中言及惟泰事則宋亦言所
大事編年v22拯還到懷德訪尙敏索見禮書時烈之孫淳錫在座出諸其囊中而示之旣見殊無變說處拯卽抵書時烈以明禮說之無變俄而惟泰之謗喧騰一世惟泰之侄頔來見拯曰甲寅禮說曾已往復於宋相有所點改因以其往復書示之拯不勝訝惑復作書質疑則時
大事編年v22訾毀於擬書傳示之後前後言論判若二人而猶不敢無端自唱乃引鐫事而施引之妝點一事做成兩訾而又托之於鐫言之而惟泰傳之使瑕累歸於宣擧而言根歸於他人於江都事四字初不書之者以鐫初無是言故也傍觀之苟有公心者孰不以時烈之心
大事編年v22之心術爲可疑也哉獨不此也厥後時烈言行施措之間率多可以使人窺見其心術者而其心術至惟泰禮說事而愈益綻露蓋惟泰嘗以礪山南姓人田沓攘占事有所規切而時烈因此大恚遂成嫌隙矣及至丙辰年間拯往候時烈於長鬐棘中則時烈曰草廬
大事編年v22異云雖不信聽不能無訝故於子仁枉顧之日奉要覓見其新說矣及承回示則自信前日相信之不謬也蓋至此而時烈之欲陷惟泰造言蜚謗之跡畢露無餘此亦拯之致疑本源之一端矣及其庚申之後未免胡亂出來而表裏勳戚把攬朝權言論事爲無一不
大事編年v22索見禮書時烈之孫淳錫在座出諸其囊中而示之旣見殊無變說處拯卽抵書時烈以明禮說之無變俄而惟泰之謗喧騰一世惟泰之侄頔來見拯曰甲寅禮說曾已往復於宋相有所點改因以其往復書示之拯不勝訝惑復作書質疑則時烈有答書向日蓍定
大事編年v22之苟有公心者孰不以時烈之心術爲可疑也哉獨不此也厥後時烈言行施措之間率多可以使人窺見其心術者而其心術至惟泰禮說事而愈益綻露蓋惟泰嘗以礪山南姓人田沓攘占事有所規切而時烈因此大恚遂成嫌隙矣及至丙辰年間拯往候時烈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