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장만(張晩)

[요약정보]

UCIG002+AKS-KHF_12C7A5B9CCFFFFB1566X0
자(字)호고(好古)
호(號)낙서(洛西)
시호(諡號)충정(忠定)
생년1566(명종 21)
졸년1629(인조 7)
시대조선중기
본관인동(仁同)
활동분야문신 > 문신
장기정(張麒禎)
저서『낙서집』
공신호진무공신(振武功臣)

[상세내용]

장만(張晩)
1566년(명종 21)∼1629년(인조 7).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인동(仁同). 자는 호고(好古), 호는 낙서(洛西). 군수 장기정(張麒禎)의 아들이다.

1589년(선조 22) 생원‧진사 양시에 모두 합격하고 1591년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성균관승문원의 벼슬을 거쳐, 예문관검열이 되었다.

그뒤 전생서주부(典牲署主簿)형조좌랑예조좌랑전적직강사서정언지평을 역임하고, 1599년 봉산군수로 나갔다.

이때 서로(西路)에는 명나라 군사가 내왕하여 그들에게 급식을 제공하였는데 조금이라도 마음에 차지 않으면 수령들을 결박하고 욕을 보이는 등 행패가 심하였으나 그들을 잘 다스려서 도리어 환심을 샀다. 이러한 일이 조정에 전하여지자 이를 포상하여 통정대부(通政大夫)에 승계(陞階)되고 동부승지에 승진되었다.

이듬해 특별히 가선대부(嘉善大夫)에 승계되고, 충청도관찰사로 나갔다가 다시 조정에 들어와 도승지호조참판대사간 등을 역임하였다. 이어 왕후의 고명주청부사(誥命奏請副使)세자책봉주청부사(世子冊封奏請副使)로 2차에 걸쳐서 명나라에 다녀왔다. 이후 수년 동안 안으로는 형조‧병조의 참판, 밖으로는 전라함경 양도의 관찰사가 되었다.

특히, 함경도관찰사 재임시에는 누르하치(奴兒哈赤)의 침입을 경고하여 그 방어책을 세울 것을 상소하였고, 1610년(광해군 2) 동지중추부사로 호지(胡地)의 산천지도를 그려 바쳤다.

이듬해 이항복(李恒福)의 건의로 평안도병마절도사로 나가 관서민(關西民)들이 편리하도록 군제(軍制)를 개혁하고, 여연(閭延) 등 오래 폐지되었던 4군(郡)을 버려둘 수 없음을 역설하고 여진추장에게 사람을 보내어 공첩(公牒)을 전달하고 조선의 땅임을 인식시켜 들어와 사는 여진사람들을 철수하게 하였다.

그뒤 경상도관찰사로 나갔다가 호조참판으로 조정에 들어와 동지의금부사를 겸하였다.

당시 대북의 전횡을 힐책하다가 일시 삭직되었으나 곧 승계되어 형조판서에 오르고, 1619년 체찰부사가 되어 요동파병에서 패몰하여 서쪽 국경이 동요되자 이를 무마하는 데 힘썼으며, 왕명으로 찬획사(贊畵使) 이시발(李時發)과 함께 대후금정책을 협의하였다.

이어 숭정대부(崇政大夫)에 오르고 병조판서에 임명되었다.

그러나 공명정대한 공사처리가 도리어 권간(權奸)들의 시기를 받게 되어 벼슬을 포기할 각오로 시정(時政)을 극론하다가 광해군의 노여움을 사자 병을 칭탁하고 통진으로 물러갔다. 다음해 인조반정으로 새 왕이 등극하자 도원수에 임명되어 원수부를 평양에 두고 후금의 침입에 대비하였다.

1624년(인조 2) 이괄(李适)이 반란을 일으키자 각지의 관군과 의병을 모집하여 이를 진압하였다. 이 전공으로 진무공신(振武功臣)1등에 책록되고 보국숭록대부(輔國崇祿大夫)에 올라 옥성부원군(玉城府院君)에 봉하여졌다.

이어 우찬성에 임명되고 팔도도체찰사개성유수를 겸하였으며, 그뒤 병을 구실로 풍덕 별서(別墅)로 내려갔으나 왕의 절책(切責)을 받고 다시 조정에 들어와 병조판서도체찰사를 겸하였다.

그러나 1627년 정묘호란에 후금군을 막지 못한 죄로 관작을 삭탈당하고 부여에 유배되었으나 앞서 세운 공으로 용서를 받고 복관되었다.

문무를 겸비하고 재략이 뛰어났다. 영의정에 추증되고, 통진향사(鄕祠)에 제향되었다.

저서로는 『낙서집』이 있다. 시호는 충정(忠定)이다.

[참고문헌]

宣祖實錄
光海君日記
仁祖實錄
國朝榜目
國朝人物考
燃藜室記述

[집필자]

이장희(李章熙)

성명 : "장만(張晚)"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國朝人物志v3起李曙謂宏曰此時豈無受命之人乎宏擧仁祖封號曰此眞其人遂定議走關西以偏裨事體使張晚告以謀晚義而危之終不聽遂辭去李曙以長湍府使在近畿宏日往來相謀時語頗泄事機叵測宏不爲懼益
國朝人物志v3將潰軍出奔遂相與結約先馳蠟書于帥府與李愼李玨等放砲齊散四營卒從之賊氣死胤緖見元帥張晚而大哭曰吾不能斬适致令長驅何面立於天地間乎令其奴歸報家長曰吾今得死所矣可以此告先廟卽自刎其頸而
國朝人物志v3心衷甲故也自是防患甚密完竟不得遂志甲子爲昌城防禦使時李适謀反完從間道趨元帥府元帥張晚握手涕泣曰我若枉殺公豈有今日蓋在滿浦時張晚用讒言幾殺完也仍問計將安出完曰賊鋒方銳必直
國朝人物志v3祖御慶運宮命太僕人移昌德宮花卉夢尹以其無標籍禁之上聞而善之甲子從張晚有功錄振武勳封順陽君官至知中樞府事人物考贈右議政夢尹子應昌號愚拙齋蔭補府
國朝人物志v3字實哉密陽人壬辰起義兵歷龍宮縣監甲子爲黃海防禦使時适反都元帥張晚軍平壤震英往從之适聞之曰帥府諸將惟南以興朴震英柳孝傑數人而已爲間書言除君側
國朝人物志v3鄭經世達事理全湜甲子适亂以司僕正扈駕至天安拜執義論延平李貴視師坐律元帥張晚緩期縱賊之罪乙丑以上使水路入明華人咸稱德器歷副提學吏曹參判丙子在鄕聞變倡義募兵圍解卽
國朝人物志v3唱酬自娛往往讀書于三角山中夜以繼日勤劬學究仁祖反正卽日拜正言甲子李适反元帥張晚躡賊師左次李貴禦臨津亦潰䎘以校理請繩以法且劾兩司不論之失尋以副使奉命航海如明
國朝人物志v3科上語恒福曰卿嘗謂忠信才今出身矣其以來見及見上奬之曰年尙少稍長可大用累從元帥張晚爲裨佐光海朝恒福抗義爭廢母竄北靑忠信從行一意匪懈爲之記北遷錄恒福卒仍服心喪
國朝人物志v3人舒八世孫世居延安登武科歷安州牧使甲子錄振武勳封洪陽君嘗以龍川府使從元帥張晚破适于鞍峴賊平卽日回軍人曰不待奏捷論賞乎希建曰我以守土之臣不得已離任所而來豈可遲回顧望
國朝人物志v3召見賜弓劍禦賊猪灘兵潰自投江賊購公急及得公馬死浮水謂公已死乃去公乘流屍得不死赤身赴都元帥張晚軍爲先鋒遂破賊復京城功疑不得勳出爲安岳郡守尋移慈山府使入爲副摠管丙子滿洲遺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