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홍이상(洪履祥)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D64DC774C0C1B1549X0
이명(異名)인상(麟祥)
자(字)군서(君瑞)
자(字)원례(元禮)
호(號)모당(慕堂)
시호(諡號)문경(文敬)
생년1549(명종 4)
졸년1615(광해군 7)
시대조선중기
본관풍산(豊山)
활동분야문신 > 문신
홍수(洪修)
저서『모당유고』

[상세내용]

홍이상(洪履祥)
1549년(명종 4)∼1615년(광해군 7).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초명은 홍인상(洪麟祥). 자는 군서(君瑞)원례(元禮), 호는 모당(慕堂).

부사직 홍수(洪修)의 아들이다.

1573년(선조 6) 사마시를 거쳐 1579년 식년문과에 갑과로 장원급제하였다.

그뒤 예조호조좌랑을 거쳐, 정언수찬지제교병조정랑 등을 두루 지낸 뒤 사가독서(賜暇讀書)하였다. 뒤이어 이조정랑을 거쳐, 호당(湖堂)에 있을 때 왕이 유신(儒臣)들을 선발하여 경서(經書)를 교정(校正)할 때는 꼭 참여하였다.

그뒤 집의응교를 역임하고, 태복시정(太僕寺正)이 되었다가 사간사인 등을 거쳐, 황해도안무사(黃海道安撫使)가 되었다.

1591년 직제학을 거쳐 동부승지가 되고, 다시 이조참의가 되었다.

1592년 임진왜란 때는 예조참의로 옮겨 왕을 호가(扈駕)하여 서행(西行)하였고, 곧 부제학이 되었다가 성천에 도착하여 병조참의에 전임하였다.

1593년 정주에서 대사간에 임명되었고, 이듬해 성절사(聖節使)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왔다. 다시 좌승지가 되었다가 곧 경상도관찰사가 되었다. 비변사와 긴밀하게 연락하여 일본의 장군 고니시(小西行長)가토(加藤淸正) 사이의 이간을 계획, 추진하기도 하였다.

1596년 형조참판을 거쳐 대사성이 되었으나, 영남의 유생 문경호(文景虎) 등이 성혼(成渾)을 배척하는 상소를 반박하고 성혼을 두둔하다가 안동부사로 좌천되었다.

1607년 청주목사가 되고, 1609년(광해군 1) 대사헌이 되었다가 1612년에 이이첨(李爾瞻)정인홍(鄭仁弘)의 일파에 몰려나서 개성유후사유후(開城留後司留後)로 좌천되어 그곳에서 죽었다.

저서로는 『모당유고』가 있다. 시호는 문경(文敬)이다.

[참고문헌]

宣祖實錄
光海君日記
國朝榜目
海東名臣錄
國朝人物考
國朝人物志

[집필자]

권오호(權五虎)

성명 : "홍이상(洪履祥)"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國朝編年v16稱迎慰使後遂爲例○獻納金光睟處置兩司之啓語極凶險因請大司憲奇自獻持平尹義立出仕呂裕吉洪遵遆差○大司憲洪履祥執義李效元掌令尹義立持平柳希春金光睟等避嫌啓曰逆賊出於縉紳波及之禍延林下之士旣無其實特蒙放釋之後必請
紀年便攷v15洪履祥
紀年便攷v15洪履祥豊山人副司直修子明宗己酉生字元禮號慕堂初名麟祥字君瑞閔純門人宣祖癸酉進壯戊寅魁文科選湖堂歴銓郞舍人直
紀年便攷v26閔蓍重光勲子洪履祥婿仁祖乙丑生字公瑞號訒齋孝宗庚寅生壮顯宗甲辰以司甕直長魁庭試歴南床銓即春坊副學官止大司憲言議峻正慷慨
震乘總v7淹遠矣蓋恒福之意子貴而欲尊父母人情所必至非關於國家治亂則不宜固爭相持洪慕堂以失上下和氣而云也○大司憲洪履祥卒履祥字元禮號慕堂李澤堂曰履祥少受學於閔純以伩學顯宣廟朝稱講官第一命廟堂薦公輔器履祥與李恒福李德馨俱
小華龜鑑v9子瞻號東岡弘度子退溪門人四代書堂校理壬辰死兵中兄晬號夢村官判書李洁字景淵應敎與兄潑同死沈喜壽見相臣錄洪履祥字元禮號慕堂大憲鄭昌衍見相臣錄李恒福見相臣錄李德馨見相臣錄李廷立字子正號溪隱諡文僖參判吳億齡字大年號
野乘v23傾朝紳初夲此下有乃有辛卯之禍六字及壬辰亂上蒼黃西狩駕次松都三司亟論山海締結賤竪階亂速禍之罪初罢職奪官洪履祥啓曰公諒作獘之状自上何以盡知近来閭巷至有不可道之言上曰迷劣者不無泛濫然更有何别㨾事乎都憲金瓉司論李與
寒臯觀外史v68壺峰礪山人官吏判謚榮襄履祥字元禮初名麟祥字君瑞豊山人官大憲謚文獻鄭昌衍權文海金玏趙仁淂宋言慎金誠一洪履祥夢鼎字景任文化人官承旨柳夢鼎竒苓○工曺叅議時辛卯七月判書朴忠侃叅判汝諄字士信號東城南陽人官兵判黄允吉
國朝捷錄v01父花塘校理四世湖堂秀臣八代祖李浩潑弟號南溪兄及八十老母同死汝立獄右金貴榮又選己卯沈喜壽見相鄭昌衍見相洪履祥字元禮慕堂修子李恒福見相李德馨見相李廷立溪隱時茂子一門五人壬辰殉節遁村后吏參栗谷門人與鰲漢同榜吳億齡
郯述v02洪履祥
洗草宴謄錄n1-1책寅年間故判書臣姜紳尹暾西平府院 君臣韓俊謙故參判臣洪履祥等八九人會其老母而設宴 因筵臣建白有賜物賜樂之擧又
韓史綮v2獄時溭父自海西歸道遇自漢京來者詢近事其人語以溭事父曰溭卽鄙人之子也其人下馬拜曰公能有子敢不敬○大司憲洪履祥卒履祥經明行修在經筵善於啓沃當黨論分爭之日皭然無所染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