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박홍구(朴弘耉)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BC15D64DAD6CB1552X0
이명(異名)박홍로(朴弘老)
자(字)응소(應邵)
생년1552(명종 7)
졸년1624(인조 2)
시대조선중기
본관죽산(竹山)
활동분야문신 > 문신
박난영(朴蘭英)
5대조원형(元亨)
저서『황화집류(皇華集類)』

[관련정보]

[상세내용]

박홍구(朴弘耉)
1552년(명종 7)∼1624년(인조 2).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초명은 홍로(弘老), 자는 응소(應邵).

영의정 원형(元亨)의 5대손이며, 도정(都正) 박난영(朴蘭英)의 아들이다.

1576년(선조 9)에 진사가 되고 1582년 식년문과에 갑과로 급제하여 이듬해 사간원정언(司諫院正言)이 되었다.

이때 김우옹(金宇顒) 등과 같이 김응남(金應南)제주목사 임명을 도로 회수하기를 청하였다.

1590년 사헌부장령, 1593년 홍문관교리가 되었으며, 군량미조달을 위해 전라도조도어사(調度御史)로 파견되었다.

이듬해 다시 교리가 되었고, 1595년 홍문관응교로 승진하여 시독관(侍讀官)을 겸하였으며, 우승지를 거쳐 충청도관찰사로 나갔다.

이듬해 전라도관찰사가 되어 부족한 군량미의 확보에 진력하였으며, 1597년 첨지중추부사에 이어 대사성도승지를 거쳐 병조참판이 되었다.

이듬해 평안도관찰사로 다녀와 1599년 다시 병조참판이 되었고, 이어서 도승지대사간 등을 역임하였다.

1601년 대사헌, 이어서 호조참판동지의금부사를 거쳐 진하부사(進賀副使)명나라에 파견되었다.

이듬해 돌아와 홍문관부제학이 되어 『황화집류(皇華集類)』를 편찬하였다.

1603년 행대사헌지중추부사를 역임하고 이듬해 이조판서가 되었다.

1605년 형조판서, 이듬해 상호군(上護軍)이 되었는데, 형조판서로 재직 때 피죄관노(被罪館奴)의 추국(推鞠)을 철저히 하지 않고 성급히 매듭지은 일로 사헌부의 탄핵을 받았다.

1607년 병조판서에 이어 지중추부사가 되어 지춘추관사(知春秋館事)지경연(知經筵)을 겸하였으며, 이듬해 선조가 죽자 빈전도감제조(殯殿都監提調)가 되었다.

1609년(광해군 1) 호조판서에 이어 다시 병조판서가 되었고, 이듬해 좌찬성에 승진하여 가례도감제조(嘉禮都監提調)를 겸하였다.

1618년 우의정, 이듬해 좌의정이 되어 시약청도제조(侍藥廳都提調)를 겸하였다. 이어서 판중추부사가 되었으나 1623년 인조반정으로 삭직당하고, 이듬해 이괄(李适)의 난 때 광해군을 태상왕으로 모시고 인성군(仁城君)을 추대하려 한다는 복위음모와 관련되어 역모죄로 사사(賜死)되었으나 1691년(숙종 17) 신원(伸寃)되었다.

[참고문헌]

宣祖實錄
光海君日記
仁祖實錄
燃藜室記述

[집필자]

문수홍(文守弘)

성명 : "박홍구(朴弘耉)"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國朝編年v17爲惡也承宗之爲判義禁也深攻廢母之論故趙溭等上疏救母后績年被囚之時百般救護終不訊問則亦非希奮之流也厥後朴弘耉爲委官啓訊趙溭逸史奇聞○前參判鄭逑上疏曰魯襄公三十年周景王有賊臣儋括造亂欲立王子侫夫侫夫卽景王之弟實
國朝編年v18破彰義門直進昌德宮時李以攽與知此事已於午時上變故主命訓鍊大將李興立領軍扈衛宮城又命領議政朴承宗左議政朴弘耉戶曹判書金藎國兵曹判書權縉等方鞫以攽於備邊司之際聞軍聲大震承宗等遁走李興立迎拜軍前上入御仁政殿階上坐
國朝編年v19擧爲明倫也若因而當國用事是與希功者無異各有歛退之意公獨曰做此局者當此局若付別人終必有悔諸公不能聽信故朴弘耉趙挺等皆以昏朝助惡之臣仍處相位初頭處置多失人望識者始知公有先見也延平行狀○咸陵府院君李澥靖社功臣也務
紀年便攷v19朴弘耉元亨五世孫直學蘭榮子明宗壬子生字應郡初名弘老宣祖壬午生進俱中同年登明經科歴翰林光海戊午拜右相廢 母后
紀年便攷v19朴弘耉
紀年便攷v19称以仁城君為椎戴上命勿問甲子适亂獄起其黨皆以珙為言朝廷請置法上不從李貴上白曰既負廢母之罪且出獄囚之招朴弘耉諸子謀逆又引珙大臣陳啓由欽奏曰容貸至親亦聖德事李貴罵之申欽乞退上責李貴及戊辰柳孝立獄又有賊招有珙宻奉
紀年便攷v20寵姫用事者等并䖏斬順寧君景儉等六十五人安置前判書任就正等一百十五人遠竄府院君李時言等八十人付䖏左議政朴弘耉等二十三人削奪右議政閔夢龍等十四人追奪官爵仁城君珙等十六人削去仕版副提學宋應洵等二十三人罷職駁罷者五
宣鑑補遺v9徽亦自取之也上同○李适之亂後大事初定人心不固譏察甚盛張晩與靖社功臣議使南以興若自爲異謀者以探可疑之人朴弘耉兄子允章信之以其謀告以興使金逸沈逸民發之遂逮捕弘耉及允章兄弟鞫之允章成章就服遂誅之賜弘耉死上同○別試
震史記略v3之臣子所安謝也天之所廢誰能與之光海自絶于天而賊徒欲力勝天意其能成乎仁城推戴次第發覺李适一戰敗覆而又有朴弘耉安知此後不有如弘耉者乎平心察之必皆曉然中外大小其各知悉○仁城君珙仍臺啓置于杆城未幾召還當殺仁城云者諸
震史記略v3京師○上之未還都前都元帥沈器遠都監大將申景預以爲僭逆人得以誅之遂縊殺瑅上以不待命擅殺幷命罷職○前左相朴弘耉與其兄子允章有異謀允章就服伏誅弘耉賜死策振武功臣○三月祿振功臣二十九人安玏黃瀷李元老等七十餘人幷加資
震乘總v8曰北申象村云云方乃士大夫竄謫之地不幸有亂而聖徽爲監司擅殺士大夫朴弘耉賜死如權縉則國不爲國矣議遂沮○賜朴弘耉死亂後人心不固亂後譏察甚盛譏察甚盛張晩與功臣謀使南以興若自爲異謀者以探可疑人弘耉元子允章信之以其謀告
震乘總v8兵仁城之與謀明矣今之臣子所必討也光海自絶于天而欲力勝天意其能成乎仁城之推戴相次發覺李适一戰敗覆而又有朴弘耉安知此後不有如弘耉者乎平心察之必皆曉然中外大小其各知悉珙出置杆城無何召還仁城仁城當殺云者諸功臣西人之
震乘總v8朴弘耉賜死
記聞v1卽位十五年癸亥仁祖反正放于江華復徙于濟州辛巳卒○相鄭仁弘鄭昌衍韓孝純閔夢龍朴承宗朴弘耉趙挺○主文李爾瞻○誅臨海君錄翼社功臣反正後削勳
野乘v1○梟倭卒義智累通書言関白源家康乞借貢道辭意叵測遣朴弘耉具由奏聞
野乘v1朴弘耉囬自亰師
野乘v24○前司果金仁上䟽㐲以臣九月初得聞逆謀於李大温朴允章奇必獻朴日章䓁䖏與朴弘耉鄭文孚金廷幹元守身李継宗朴成章朴知章朴有章金愿李時望李大儉金自信趙汝賓鄭光澤金善哲子及朴来章䓁逆謀之
野乘v24○賓廳大臣以下啓曰臣䓁㐲見李大温䓁上䟽不勝驚駭之至䟽內所言朴弘耉奇必献朴允章朴日章鄭文孚金廷幹元守身李継宗朴成章朴有章金愿朴知章李知望金自信趙汝賓鄭光澤金善哲子朴来
野乘v24○訓錬院習讀沈逸民上䟽㐲以臣九月初五日因李大温始知奇必獻朴允章朴弘耉䓁謀逆之事臣奔告于一宰臣及一勳臣則使臣佯為快許十分譏察有聞即通云臣故作誘引之語探知其謀逆之状始得真脉
寒臯觀外史v34多恐上食爲當西川名崑壽字汝仁號栢谷淸州人官二相謚忠翼并登天使臨行請於殿下遠接使以下諸官皆賞加故遠接使朴弘耉館伴黃愼差備通事表廷老秦禮男及從事官等皆加資天使䢜後兩司皆啓改正不允未幾郭再祐上䟽極論上待天使越江乃
職官考v01朴弘耉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