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박홍구(朴弘耉)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BC15D64DAD6CB1552X0
이명(異名)박홍로(朴弘老)
자(字)응소(應邵)
생년1552(명종 7)
졸년1624(인조 2)
시대조선중기
본관죽산(竹山)
활동분야문신 > 문신
박난영(朴蘭英)
5대조원형(元亨)
저서『황화집류(皇華集類)』

[관련정보]

[상세내용]

박홍구(朴弘耉)
1552년(명종 7)∼1624년(인조 2).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초명은 홍로(弘老), 자는 응소(應邵).

영의정 원형(元亨)의 5대손이며, 도정(都正) 박난영(朴蘭英)의 아들이다.

1576년(선조 9)에 진사가 되고 1582년 식년문과에 갑과로 급제하여 이듬해 사간원정언(司諫院正言)이 되었다.

이때 김우옹(金宇顒) 등과 같이 김응남(金應南)제주목사 임명을 도로 회수하기를 청하였다.

1590년 사헌부장령, 1593년 홍문관교리가 되었으며, 군량미조달을 위해 전라도조도어사(調度御史)로 파견되었다.

이듬해 다시 교리가 되었고, 1595년 홍문관응교로 승진하여 시독관(侍讀官)을 겸하였으며, 우승지를 거쳐 충청도관찰사로 나갔다.

이듬해 전라도관찰사가 되어 부족한 군량미의 확보에 진력하였으며, 1597년 첨지중추부사에 이어 대사성도승지를 거쳐 병조참판이 되었다.

이듬해 평안도관찰사로 다녀와 1599년 다시 병조참판이 되었고, 이어서 도승지대사간 등을 역임하였다.

1601년 대사헌, 이어서 호조참판동지의금부사를 거쳐 진하부사(進賀副使)명나라에 파견되었다.

이듬해 돌아와 홍문관부제학이 되어 『황화집류(皇華集類)』를 편찬하였다.

1603년 행대사헌지중추부사를 역임하고 이듬해 이조판서가 되었다.

1605년 형조판서, 이듬해 상호군(上護軍)이 되었는데, 형조판서로 재직 때 피죄관노(被罪館奴)의 추국(推鞠)을 철저히 하지 않고 성급히 매듭지은 일로 사헌부의 탄핵을 받았다.

1607년 병조판서에 이어 지중추부사가 되어 지춘추관사(知春秋館事)지경연(知經筵)을 겸하였으며, 이듬해 선조가 죽자 빈전도감제조(殯殿都監提調)가 되었다.

1609년(광해군 1) 호조판서에 이어 다시 병조판서가 되었고, 이듬해 좌찬성에 승진하여 가례도감제조(嘉禮都監提調)를 겸하였다.

1618년 우의정, 이듬해 좌의정이 되어 시약청도제조(侍藥廳都提調)를 겸하였다. 이어서 판중추부사가 되었으나 1623년 인조반정으로 삭직당하고, 이듬해 이괄(李适)의 난 때 광해군을 태상왕으로 모시고 인성군(仁城君)을 추대하려 한다는 복위음모와 관련되어 역모죄로 사사(賜死)되었으나 1691년(숙종 17) 신원(伸寃)되었다.

[참고문헌]

宣祖實錄
光海君日記
仁祖實錄
燃藜室記述

[집필자]

문수홍(文守弘)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