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안방준(安邦俊)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548BC29C900B1573X0
자(字)사언(士彦)
호(號)은봉(隱峰)
시호(諡號)문강(文康)
생년1573(선조 6)
졸년1654(효종 5)
시대조선중기
본관죽산(竹山[新])
활동분야학자 > 유생
안중돈(安重敦)
생부안중관(安重寬)
처부정승복(鄭承復)
출신지보성
저서『항의신편(抗義新編)』
저서『은봉전서』
저서『항의신편』
저서『이대원전(李大源傳)』
저서『호남의병록(湖南義兵錄)』
저서『삼원기사(三寃記事)』
저서『사우감계록(師友鑑戒錄)』
저서『혼정편록(混定編錄)』
저서『매환문답(買還問答)』
저서『기묘유적노랄수사(己卯遺蹟老辣瀡辭)』

[관련정보]

[상세내용]

안방준(安邦俊)
1573년(선조 6)∼1654년(효종 5). 조선 중기의 학자. 본관은 죽산(竹山[新]). 자는 사언(士彦), 호는 은봉(隱峰)우산(牛山).

첨지중추부사 안중관(安重寬)의 아들, 안중돈(安重敦)에게 입양되었다. 처는 경주정씨로서 판관 정승복(鄭承復)의 딸이다. 보성 출신. 박광전(朴光前)박종정(朴宗挺)에게서 수학, 1591년(선조 24) 파산(坡山)에 가서 성혼(成渾)의 문인이 되었다.

이듬해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박광전과 함께 의병을 일으켰고, 광해군이이첨(李爾瞻)이 그 명성을 듣고 기용하려 하였으나 거절, 1614년(광해군 6) 보성 북쪽 우산(牛山)에 들어가 후진을 교육하였다.

1623년 인조반정 뒤에 교유가 깊던 공신 김류(金瑬)에게 글을 보내 당쟁을 버리고 인재를 등용하여 공사의 구별을 분명히 할 것을 건의하였다. 이에 앞서 서인계 정철(鄭澈)조헌(趙憲) 등의 문하에 출입하면서 일찍부터 서인편에 서게 되었다.

일찍이 성리학에 전념하여 호남지방에서 명성을 떨쳤다. 지기(志氣)가 강확하고 절의를 숭상하여 정몽주(鄭夢周)조헌을 가장 숭배, 이들의 호를 한자씩 빌어 자기의 호를 은봉이라 하였다.

인조초에 동몽교관(童蒙敎官)사포서별제(司圃署別提) 등에 임명되었으나 사퇴, 학문에 전념하면서 정묘‧병자호란 등 국난을 당할 때마다 의병을 일으켰다. 조헌을 추모하여 『항의신편(抗義新編)』을 편찬한 바 있고, 서인의 이귀(李貴)는 이를 인간(印刊), 중외에 반사(頒賜)할 것을 인조에게 건의하였다.

인조 후반에 전생서주부찰방좌랑 등을 제수받았으나 나아가지 않고 거듭 상소하여 시정(時政)을 논하였으나 현실과 부합되지 않은 내용이 많아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효종이 왕위에 오르자 좌의정 조익(趙翼)이 천거하여 지평장령공조참의를 역임하였다. 효종초 지방의 유일(遺逸)을 초치 등용하려 하였을 때 선우협(鮮于浹)최온(崔蘊)조극선(趙克善)권시(權諰)이유태(李惟泰) 등과 함께 천거되었다.

1652년(효종 3) 지평으로 있을 때 김자점(金自點)에게 보낸 왕복서찰이 있다 하여 변명하는 상소를 하였다. 그해 5월 효종에게 상소하여 대동법(大同法)을 반대하면서 김육(金堉)선조조의 유성룡(柳成龍)과 비유, 그를 비난하였다.

80평생을 주로 초야에서 보내면서 시종 성리학에 침잠하였으나 학문적 경향과 처세‧처신에 있어서 상기(尙氣)의 병폐가 있었다. 일찍이 정철조헌성혼 등 서인계 인사를 추종한 데서 정치적 성향은 서인편에 섰다.

인조반정공신인 김류이귀와 비공신계인 성문준(成文濬)송준길(宋浚吉) 등과 친교가 있어 서인집권하에서는 호남지방을 대표하는 학자로 조정에 거듭 천거되었다. 이조판서에 추증되고, 시호는 문강(文康)이다. 보성대계서원(大溪書院), 동복도원서원(道原書院), 능주도산사(道山祠)에 제향되었다.

1691년(숙종 17) 호남정무서(鄭武瑞) 등의 소청에 의하여 그의 사우(祠宇)가 한때 철거되었다. 그는 정철과 함께 서인과 남인정권의 소장(消長)에 따라 포폄되기도 하였다.

그의 시문은 『은봉전서』에 수록되어 전해지고 있다.

편저로 『항의신편』『이대원전(李大源傳)』『호남의병록(湖南義兵錄)』『삼원기사(三寃記事)』『사우감계록(師友鑑戒錄)』『혼정편록(混定編錄)』『매환문답(買還問答)』『기묘유적노랄수사(己卯遺蹟老辣瀡辭)』 등이 있다. 이러한 편저는 의병사‧당쟁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된다.

[참고문헌]

仁祖實錄
孝宗實錄
肅宗實錄
東儒師友錄
國朝人物考
寶城邑誌

[집필자]

이수건(李樹健)

성명 : "안방준(安邦俊)"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國朝編年v12安邦俊所撰
紀年便攷v22安邦俊魯生八世孫以僉樞重寬子爲仲父進士重敦後宣祖癸酉生字士彥號氷壺又牛山又大愚菴又買還翁居寶城早從同郡朴光
紀年便攷v24之耿光而坐於人㣲地賤尙闕表章之典豈樹風迪彛之義星州礟手李士龍特贈星州牧使使地方官旌其閭仍令其後孫調用安邦俊爲牧使時剏院於遺墟置臧獲田土呉道一撰碑文正祖朝賜院額曰忠節親撰祭文遣道臣致祭
紀年便攷v24廢仁祖丁卯拜洗馬歷沙斤察訪入誣獄上知其賢特原之爲濟原察訪爲文祭七百義士丙子難爲招募都有司聞南漢不守與安邦俊北向痛哭而歸嘗草疏請密遣使從水路朝南京不及上而卒年七十九
紀年便攷v25萬五千石付之能手規畫措寘則米布餘數必多公藏私畜上下俱足意外之役亦可以應之矣卿宰臺閣以名流稱者皆言不便安邦俊至斥以誤國上問於集集亦謂不可及集詢訪人才用之堉亦以爲不可由是二人議不合堉乞致仕集因此不安陳章而歸堉屢
紀年便攷v25外而控制湖嶺令監司寘行營爲緩急入保之地則可爲關防之大助也上曰纔設永宗難於幷擧可待秋更議命除石堅職○以安邦俊爲工曹參議邦俊湖南人趙憲門人云云與趙憲素昧時年八十猶力學不倦爲其師憲著抗義新編○始行西洋曆法初東方循
東國歷代總目v02戊寅冊趙氏爲繼妃漢原府院君昌遠之女卽莊烈王妃○遣兵助淸寇錦州○後二年又犯蓋州金尙憲及儒臣安邦俊等諫不聽
震乘總v10屯兵內以表裏江都外以控制湖嶺令監司置行營爲緩急入保之地則安牛山可爲關防之大助也命待秋更議除石堅職○以安邦俊爲工曹參議邦俊湖南人趙憲門人時年八十猶力學不倦號牛山抗義新編爲其師憲著抗義新編○始行西洋曆法初東方循
羹墻錄v3安邦俊爲工曹參議邦俊湖南人趙憲門人也時年八十猶力學不倦爲其師憲著抗義新編上同
見睫錄v2安邦俊字士彥號牛山又隱峯(萬)曆癸酉生年十六赴鄕擧恥其紛雜遂棄之而專心爲己之學卽自南方執贄見牛溪於坡山與先
小華龜鑑v12安邦俊號牛山趙憲門人也爲其師著抗義新編孝宗朝命除工曹參議時年八十猶力學不倦
寒臯觀外史v56安邦俊牛山雜錄
歷代帝王紀年v01安邦俊士彦隱峯院在寶城南九萬雲路藥泉領相閔維重呂驪陽府院君
國朝捷錄v01大憲退溪門人向學得罪士類大憲翰東七代祖號開岩宇宏之弟居星州錦山殉義坍七百義士塚父功臣希參祖致精仁祖朝安邦俊纂抗義新偏文烈公
國朝捷錄v01金長生沙溪戊申刑議愼先庚同知居昌人愼自健杓眞松齋畿伯癸亥許倜辛亥畿伯河陽人安邦俊士彦牛山癸酉刑議竹山人鄭孝誠述初休堂忠伯晉州人柳祖訒戶議晉州人徐仁元江伯利川人韓伯謙鳴吉久庵戶議李世
密陽朴氏世譜v2冤於上曰微朴承宗西宮不得保臣等不得有今日副提學李埈之疏以從容處死稱之大司諫洪鎬之啓以一箇死字伸之參議安邦俊之疏以忠誠節義許之相臣李聖求擧其家挹白扄號之事於榻前先正臣宋時烈之疏以千萬人所共冤千萬世所必伸者爲殿
密陽朴氏五忠實紀赴焉上黨捷衂倭鏖 之倭辟易不敢犯俄中流矢殞於陣牛山安邦俊輯錄先祖遺蹟惟我朴氏以新羅八大君密陽之後裔名宦于列
湖南節義錄v1義兵將前別提安邦俊前監察高循厚
湖南節義錄v1前別提安邦俊擧義山陽玉果縣監李興浡大同察訪李起浡淳昌縣監崔蘊前翰林梁曼容前察訪柳楫擧義玉果前參奉曺守誠等擧義和
湖南節義錄v4安邦俊字士彦竹山人竹城君文惠公元衡後鈍庵舳孫慕圃隱重峯兩先生自號隱峯晩居牛山學者稱牛山先生萬曆癸酉生天姿正
션보집략언해v1 약과 곡식을 보라명시고강화(江華)가 흉년 들거 쌀 일쳔 셕으로 진휼(賑恤)다 ○安邦俊으로공조참의(工曹參議)를 삼으니邦俊은젼라도(全羅道)사람으로 나이 팔십에 학문을 게을니 아니
大事編年v12安邦俊以遺逸耆老特除工曹參議仁祖末年上疏曰殿下反正後變亂相繼而○殿下日事荒淫國安得不亡乎光海失之殿下得之殿
東國續修文獻錄v1南臺品職篇金長生希元沙溪光州人刑議愼先庚居昌人同知愼自健杓眞松齋居昌人畿伯許倜河陽人畿伯安邦俊士彥牛山竹山人刑議鄭孝誠述初休堂晉州人忠伯柳祖認晉州人戶議徐仁元利川人江伯韓百謙鳴吉久菴淸州人戶議李
國朝人物志v1安邦俊
國朝人物志v2山谷中慟哭竟夕而返天文地理醫藥算數律曆無不通曉嘗有詩曰天地中間有二人仲尼元氣紫陽眞牛山安邦俊曰河西淸水芙蓉光風霽月出處之正無與爲比諡文靖人物考子從龍參奉從虎察訪
國朝人物志v3晚榮之子亦赴水死不幸之變人所難免迫於搆誣不思自反也官至吏曹參判諡忠景人物考牛山安邦俊素不識公聞其風而慕之公歿爲之痛哭求公章牘讀之歎曰天地剛大之氣惟公得之
睡翁先生日記n1-2책風雨如晦鷄鳴不已吾英甫勉之哉丁亥仲 秋旣望延昌後人安邦俊書 睡翁先生日記卷之二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