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선우협(鮮于浹)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120C6B0D611B1588X0
자(字)중윤(仲潤)
호(號)돈암(遯菴)
시호(諡號)문간(文簡)
생년1588(선조 21)
졸년1653(효종 4)
시대조선중기
본관태원(太原)
활동분야학자 > 유생
선우식(鮮于寔)
경주이씨(慶州李氏)
외조부이억수(李億壽)
출신지평안도 태천(泰川)

[상세내용]

선우협(鮮于浹)
1588년(선조 21)∼1653년(효종 4). 조선 중기의 학자. 본관은 태원(太原). 자는 중윤(仲潤), 호는 돈암(遯菴). 평안도 태천(泰川) 출신.

부친은 숭인전감(崇仁殿監) 선우식(鮮于寔)이며, 모친은 경주이씨(慶州李氏)어모장군(禦侮將軍) 이억수(李億壽)의 딸이다. 김태좌(金台佐)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38세에 도산서원(陶山書院)을 찾아가 이황(李滉)이 남긴 장서 수백권을 열람하고 돌아오는 길에 장현광(張顯光)을 찾아가 학문을 질문하였다.

그뒤 많은 제자들이 그를 따랐으며, 일생동안 후진양성에 심혈을 기울였다.

1628년(인조 6) 학행으로 사직참봉(社稷參奉)에 임명된 것을 비롯, 장악원주부(掌樂院主簿)성균관사업(成均館司業) 등에 여러 차례 천거되었으나 모두 사양하였다.

치심궁리(治心窮理)와 입현무방(立賢無方)의 도를 내용으로 하는 상소문을 올려 시행하게 하기도 하였다. 심성이기(心性理氣)를 깊이 연구하였으며, 특히 『주역』에 통달하였다.

당대의 석학 김집(金集)과도 학문적인 토론을 교환하였으며, 세상사람들이 관서부자(關西夫子)라 칭하여 존경하였다.

1883년(고종 20) 이조판서에 추증되었고, 평양용곡서원(龍谷書院)태천돈암서원(遯菴書院)에 제향되었다. 시호는 문간(文簡)이다.

저서로는 『돈암전서』 7권 5책이 있다.

[참고문헌]

仁祖實錄
孝宗實錄
遯菴全書
遯實菴記(鮮于悳編)
朝鮮儒敎淵源(張志淵)

[집필자]

이민식(李民植)
대표명선우협(鮮于浹)
성명선우협(鮮于浹)
시호문간(文簡)
중윤(仲潤)
둔암(遯菴)

성명 : "선우협(鮮于浹)"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紀年便攷v23贄于金集蔚然爲西土儒宗父師之後復闡洪範遺緖人稱關西夫子關西有三儒安定定州韓禹臣沸流成川朴大德樂浪平壤鮮于浹也朝廷屢授以職而不就仁祖末年除成均司業孝宗復以司業召上䟽辭仍陳勉有服膺勿忘之批癸巳又特召之詣闕謝留數
紀年便攷v23鮮于浹太原人崇仁殿監寔子宣祖戊子生字仲潤號遯菴始就鄕先生金台佐學往拜張顯光又贄于金集蔚然爲西土儒宗父師之後
震乘總v10尋常言語欲令勿諫慮其不耐禁切也蓋欲親近賢士大夫以防宮中燕私之狃又論權倖鴟張名流斂迹之㢢上優批嘉納○以鮮于浹爲司召鮮于浹業不至浹字仲潤號遯菴箕子之後居平壤以易學名宋尤菴曰浹以聖師之裔崛起於麥秀之地窹寐玄源探賾
震乘總v10鮮于浹
記聞v1年譜孝宗朝別置祭酒而不拘資級以尤菴同春堂爲之亦有司業鮮于浹等爲之
內閣日記v7師承이旣正學問이尤䆳爲關西士林之所矜式贈判書鮮于浹을特施尸惠之典고窮經篤行爲近來人士之模楷故執義朴文一故郡守朴文五를幷施貤贈之典라
內閣日記v7贈吏曹判書鮮于浹諡號
西巡幸日記n1책諡贈職 師承旣正學問尤遂爲關西士林之所衿 式贈判書鮮于浹을時施節惠之典 고窮經篤行爲近來人士之模楷故執義
掌禮院日記v3○贈諡本月五日에故完平君李昇應故領議政洪淳穆贈吏曹判書鮮于浹故參政趙秉稷故帝室會計監査院卿申箕善故從一品李道宰에게對야左와如히贈諡심이라
掌禮院日記v3完平君李昇應諡號孝憲慈惠愛親曰孝仁善可紀曰憲故領議政洪淳穆諡號文翼忠信接禮曰文思慮深遠曰翼贈吏曹判書鮮于浹諡號文簡勤學好問曰文一德不懈曰簡故參政趙秉稷諡號忠簡慮國忘家曰忠正直無邪曰簡故帝室會計監査院卿申箕善
大事編年v12七月以鮮于浹爲司業不至浹字仲潤號遯菴箕子之後居平壤以易學名宋時烈曰浹以聖師之裔崛起於麥秀之地寤寐玄源探賢墜緖蔚然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