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김종직(金宗直)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AE40C885C9C1B1431X0
자(字)계온(季昷)
호(號)점필재(佔畢齋)
시호(諡號)문충(文忠)
생년1431(세종 13)
졸년1492(성종 23)
시대조선전기
본관선산(善山)
활동분야문신 > 문신
김숙자(金叔滋)
외조부박홍신(朴弘信)
출신지밀양
저서『점필재집』
저서『유두류록(遊頭流錄)』
저서『청구풍아(靑丘風雅)』
저서『당후일기(堂後日記)』

[상세내용]

김종직(金宗直)
1431년(세종 13)∼1492년(성종 23). 조선 초기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 자는 계온(季昷), 호는 점필재(佔畢齋). 밀양 출신.

부친은 사예 김숙자(金叔滋)이고, 모친은 밀양박씨사재감정(司宰監正) 박홍신(朴弘信)의 딸이다.

1453년(단종 1)에 진사가 되고, 1459년(세조 5) 식년문과에 정과로 급제, 사가독서(賜暇讀書)하고 1462년 승문원박사예문관봉교를 겸하였다.

이듬해 감찰이 된 뒤 경상도 병마평사이조좌랑수찬함양군수 등을 거쳐 1476년 선산부사가 되었다.

1483년 우부승지에 올랐으며, 이어서 좌부승지이조참판예문관제학병조참판홍문관제학공조참판 등을 역임하였다.

고려정몽주(鄭夢周)길재(吉再)의 학통을 이은 아버지로부터 수학, 후일 사림의 조종이 된 그는 문장‧사학(史學)에도 두루 능하였으며, 절의를 중요시하여 조선시대 도학(道學)의 정맥을 이어가는 중추적 구실을 하였다.

어려서부터 문장에 뛰어나 많은 시문과 일기를 남겼으며, 특히 1486년에는 신종호(申從濩) 등과 함께 『동국여지승람』을 편차(編次)한 사실만 보더라도 문장가로서의 면모를 짐작할 수 있다. 그러나 무오사화 때 많은 저술들이 소실되었으므로 그의 진정한 학문적 모습을 이해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후일 제자 김일손(金馹孫)이 사관으로서 사초에 수록, 무오사화의 단서가 된 그의 「조의제문(弔義帝文)」은 중국의 고사를 인용, 의제단종을 비유하면서 세조의 왕위찬탈을 비난한 것으로, 깊은 역사적 식견과 절의를 중요시하는 도학자로서의 참모습을 보여주었다고 하겠다.

정몽주길재 및 아버지로부터 전수받은 도학사상은 그의 제자인 김굉필(金宏弼)정여창(鄭汝昌)김일손유호인(兪好仁)남효온(南孝溫)조위(曺偉)이맹전(李孟專)이종준(李宗準) 등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다.

특히, 그의 도학을 정통으로 이어받은 김굉필조광조(趙光祖)와 같은 걸출한 인물을 배출시켜 그 학통을 그대로 계승시켰다.

이처럼 그의 도학이 조선조 도통(道統)의 정맥으로 이어진 것은 「조의제문」에서도 나타나듯이 그가 추구하는 바가 화려한 시문이나 부‧송 등의 문장보다는 궁극적으로 정의를 숭상하고, 시비를 분명히 밝히려는 의리적 성격을 지닌 것이기 때문에 이를 높이 평가하였던 때문이다.

세조성종대에 걸쳐 벼슬을 하면서 항상 정의와 의리를 숭상, 실천하였는데, 이와같은 정신이 제자들에게 전해졌고, 실제로 이들은 절의를 높이며 의리를 중히 여기는 데 힘썼다. 이러한 연유로 자연히 사림학자들로부터 존경받는 인물이 되었고, 당시 학자들의 정신적인 영수가 되었다.

이들 사림들이 당시 훈척계열(勳戚系列)에 의하여 빚어지는 비리와 비도를 비판하고 나서자, 이에 당황한 훈척계열인 유자광(柳子光)정문형(鄭文炯)한치례(韓致禮)이극돈(李克墩) 등이 자신들의 방호를 위해 1498년(연산군 4)에 무오사화를 일으켰다. 그 결과 많은 사림들이 죽거나 귀양을 가게 되었고, 생전에 써둔 「조의제문」으로 빚어진 일이라 그도 부관참시(剖棺斬屍)를 당하였다.

그뒤 중종반정으로 신원되었으며, 밀양예림서원(藝林書院), 선산금오서원(金烏書院), 함양백연서원(柏淵書院), 김천경렴서원(景濂書院), 개령덕림서원(德林書院) 등에 제향되었다.

저서로는 『점필재집』『유두류록(遊頭流錄)』『청구풍아(靑丘風雅)』『당후일기(堂後日記)』 등이 있으며, 편저로 『일선지(一善誌)』『이존록(彛尊錄)』『동국여지승람』 등이 전해지고 있으나, 많은 저술들이 무오사화 때 소실된 관계로 지금 전하는 것은 그렇게 많지 않다. 시호는 문충(文忠)으로, 한때 문간(文簡)으로 바뀌었다가 숙종 때에 다시 환원되었다.

[참고문헌]

世宗實錄
成宗實錄
燕山君日記
佔畢齋集
國朝人物考
海東名臣傳
燃藜室記述
江湖先生實錄
陰涯日記
李朝初期儒賢列傳
東儒學案
聖賢道學淵源
儒敎淵源
朝鮮儒學史(玄相允, 民衆書館, 1947)

[이미지]

[집필자]

오종일(吳鍾逸)

호 : "점필재김종직(佔畢齋金宗直)"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國朝人物志v1悍觀感而丕變名所居曰訓導洞嘗有詩云木因直伐不嫌直蘭以香燒尙守香人有時難如改節此諸物理亦何當佔畢齋金宗直乖崖金守溫晉山姜希孟同調偕唱號集以白雲洞主人壬寅卒年四十九有四男啓英啓芳啓棠啓
國朝人物志v1字君節號顏樂堂延安人友臣子戊子進士壯元生員第二名成宗辛卯文科壯元受業于佔畢齋金宗直有文名大被稱賞名動搢紳間尤工於律詩得唐之遺格一時諸公以才名世者皆縮手莫敢枝吾庭試應製輒占第
國朝人物志v1字取斯號寶白堂安東人縣監三近子丁卯司馬成宗庚子文科從佔畢齋金宗直游甚懽及戊午獄起係行三逮鞫獄備極考訊會有力救者得釋兄子學祖出家學佛號燈明禪師
國朝人物志v1字克己高靈人居長水㵢溪因以爲號受業于佔畢齋金宗直詩文筆世稱三絶壬午生員進士成宗甲午文科爲校理直宿弘文館上與從宦一人夜臨好仁驚
國朝人物志v1字時叔孝行冠於鄕居父喪一從家禮從佔畢齋金宗直受業旣而無仕心始貳於畢齋遇嘗擧於鄕試赴京入會試四館年少驕傲長老鄕生欲撻之時叔曰安可
國朝人物志v1字子文號草堂晉州人牧使元祐曾孫從佔畢齋金宗直學成宗丁酉進士文科淸直慷慨官止大司諫戊午杖流會寧辛酉放還中宗丁巳重試左承
國朝人物志v1字智翁晉州人牧使壤子早從佔畢齋金宗直學有文武才頗負時望成宗丁未進士文科燕山朝爲吏曹判書與成希顏朴元宗定策廢燕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