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순형(洪淳馨)
[요약정보]
UCI | G002+AKS-KHF_13D64DC21CD615B1858X0 |
자(字) | 여문(汝聞) |
생년 | 1858(철종 9) |
졸년 | ?(미상) |
시대 | 조선후기 |
본관 | 남양(南陽[唐]) |
활동분야 | 문신 > 문신 |

부 | 홍석종(洪奭種) |
조부 | 홍재룡(洪在龍) |
출신지 | 서울 |

[상세내용]
홍순형(洪淳馨)
1858년(철종 9)∼미상. 조선 말기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唐]). 자는 여문(汝聞). 서울 출신.
홍재룡(洪在龍)의 손자로, 판서 홍석종(洪奭種)의 아들이며, 헌종의 비인 효정왕비(孝定王妃)의 조카이다.
1874년(고종 11) 증광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 이듬해 대교에 임명되었다. 이어 장령‧부응교를 거친 뒤, 1877년 승정원동부승지가 되고, 여주목사를 역임한 뒤 1882년 개성부유수로 승진하였다가, 1884년 이조참판‧홍문관부제학, 1887년 성균관대사성, 1888년 대사헌‧규장각직제학이 되었다. 예조참판을 거친 뒤, 1890년 지경연사(知經筵事)‧형조판서, 1891년 한성부판윤‧예조판서, 1892년 개성부유수를 역임하였다.
1893년 황해도관찰사 재직 중 황주에서 향촌지방세력과 향리 등의 탐학에 저항한 민란이 일어나자 조정에 장계를 올려 난을 이끈 이관석(李寬石) 등을 엄형 3차 후 정배하게 하고 탐학한 자들을 엄형징방(嚴刑懲放)하게 하였다.
1894년 경기도관찰사를 역임한 뒤 이해 갑오경장으로 관제가 개혁되자 8월 광주부유수(廣州府留守)를 거쳐, 1895년 왕태후궁대부가 되었다.
그뒤 국장도감제조와 장례원경(掌禮院卿)‧명헌태후궁대부(明憲太后宮大夫)를 역임하였다.
1901년 판돈녕부사‧명헌태후궁대부, 1902년 태의원경(太醫院卿)‧궁내부특진관(宮內府特進官)‧표훈원부총재(表勳院副總裁), 1903년 태의원경, 1904년 의정부찬정(議政府贊政)‧표훈원부총재‧판돈녕원사‧홍문관학사‧규장각학사‧시강원일강관(侍講院日講官)‧중추원찬정(中樞院贊政)을 거쳤다.
1906년 이후에도 궁내부특진관과 규장각 학사 겸 시강원일강관직을 여러 차례 맡았다.
1908년에는 교육‧위생‧환난상구(患難相救)를 목적으로 하는 관진방회(觀鎭坊會)의 찬무장(贊務長)을 맡아 사회활동을 하기도 하였다.
1910년 조선이 일본에 강점된 뒤, 일본정부로부터 남작 작위가 주어졌을 때 이를 거절하고 받지 않았다.
홍재룡(洪在龍)의 손자로, 판서 홍석종(洪奭種)의 아들이며, 헌종의 비인 효정왕비(孝定王妃)의 조카이다.
1874년(고종 11) 증광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 이듬해 대교에 임명되었다. 이어 장령‧부응교를 거친 뒤, 1877년 승정원동부승지가 되고, 여주목사를 역임한 뒤 1882년 개성부유수로 승진하였다가, 1884년 이조참판‧홍문관부제학, 1887년 성균관대사성, 1888년 대사헌‧규장각직제학이 되었다. 예조참판을 거친 뒤, 1890년 지경연사(知經筵事)‧형조판서, 1891년 한성부판윤‧예조판서, 1892년 개성부유수를 역임하였다.
1893년 황해도관찰사 재직 중 황주에서 향촌지방세력과 향리 등의 탐학에 저항한 민란이 일어나자 조정에 장계를 올려 난을 이끈 이관석(李寬石) 등을 엄형 3차 후 정배하게 하고 탐학한 자들을 엄형징방(嚴刑懲放)하게 하였다.
1894년 경기도관찰사를 역임한 뒤 이해 갑오경장으로 관제가 개혁되자 8월 광주부유수(廣州府留守)를 거쳐, 1895년 왕태후궁대부가 되었다.
그뒤 국장도감제조와 장례원경(掌禮院卿)‧명헌태후궁대부(明憲太后宮大夫)를 역임하였다.
1901년 판돈녕부사‧명헌태후궁대부, 1902년 태의원경(太醫院卿)‧궁내부특진관(宮內府特進官)‧표훈원부총재(表勳院副總裁), 1903년 태의원경, 1904년 의정부찬정(議政府贊政)‧표훈원부총재‧판돈녕원사‧홍문관학사‧규장각학사‧시강원일강관(侍講院日講官)‧중추원찬정(中樞院贊政)을 거쳤다.
1906년 이후에도 궁내부특진관과 규장각 학사 겸 시강원일강관직을 여러 차례 맡았다.
1908년에는 교육‧위생‧환난상구(患難相救)를 목적으로 하는 관진방회(觀鎭坊會)의 찬무장(贊務長)을 맡아 사회활동을 하기도 하였다.
1910년 조선이 일본에 강점된 뒤, 일본정부로부터 남작 작위가 주어졌을 때 이를 거절하고 받지 않았다.
[참고문헌]
高宗實錄
純宗實錄
文品案
承政院日記
日省錄
國朝榜目
甲申日錄
韓國史講座―近代篇―(李光麟, 一潮閣, 1981)
日帝侵略과 親日派(林種國, 靑史, 1981)
舊韓末 政治‧社會‧學會‧會社‧言論團體 調查資料(李鉉淙, 亞細亞學報 2, 1966)
高宗朝의 民亂硏究(朴廣成, 傳統時代의 民衆運動 下, 풀빛, 1981)
朝鮮紳士名鑑(牧山耕藏, 日本電報通信社京城支局, 1911)
純宗實錄
文品案
承政院日記
日省錄
國朝榜目
甲申日錄
韓國史講座―近代篇―(李光麟, 一潮閣, 1981)
日帝侵略과 親日派(林種國, 靑史, 1981)
舊韓末 政治‧社會‧學會‧會社‧言論團體 調查資料(李鉉淙, 亞細亞學報 2, 1966)
高宗朝의 民亂硏究(朴廣成, 傳統時代의 民衆運動 下, 풀빛, 1981)
朝鮮紳士名鑑(牧山耕藏, 日本電報通信社京城支局, 1911)
[집필자]
강진갑(康鎭甲)
명 : "순형(淳馨)"에 대한 용례
수정일 | 수정내역 |
---|---|
2005-11-30 | 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