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심이택(沈履澤)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2ECC774D0DDB1832X0
자(字)치은(稚殷)
생년1832(순조 32)
졸년?(미상)
시대조선후기
본관청송(靑松)
활동분야문신 > 문신
심의면(沈宣冕)
생부심의린(沈宣隣)
외조부이로(李魯)

[상세내용]

심이택(沈履澤)
1832년(순조 32)∼미상.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자는 치은(稚殷). 심의린(沈宣隣)의 아들로 심의면(沈宣冕)에게 입양되었다. 이로(李魯)의 외손이다.

1857년(철종 8) 왕대비의 5순(五旬)을 경축하는 경과정시문과에 병과로 등제하여 관직에 나아갔다.

그러나 1864년(고종 1) 의주부윤으로 재직당시 부당한 취재(聚財)로 인하여 아버지 심의면과 함께 암행어사 이응하(李應夏)에게 적발당하였으며, 그로 인하여 삼사가 모두 중벌을 주장함으로써 아버지 심의면은 찬배지전(竄配之典), 그는 가극지전(加棘之典)에 처하여져 유배당하였다.

1873년에 방면되어 1874년 2월에 이조참의에 올랐다가 같은해 7월 동지사(冬至使)의 부사로 임명되어 정사 이회정(李會正), 서장관 이건창(李建昌) 등과 함께 이듬해 4월 청나라를 다녀왔다.

1876년에는 성균관대사성에 올랐으며, 다음해 11월에는 개성부유수의 외관직에 나아갔으며, 1878년에 전라도관찰사에 임명되었다.

1878년 8월 사계(辭陛)한 이래 1880년 12월까지 3년여에 걸쳐 전라도 지방의 수반으로서 지방사정을 장계를 통하여 조정에 알리는 데 주력하였다.

즉, 자연재해를 당한 전라도 지방민의 진휼문제, 서해안지방의 이양선 출몰상황, 수세(收稅)에 따른 애로사항 등을 일일이 기록하여 조정에 보고함으로써 조정에서 실정에 맞는 시정(施政)을 행할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

한편, 1880년에는 전라관찰사 재임시의 공을 인정받아 광주부유수(廣州府留守)로 특탁(特擢)되었다.

1882년에는 한성부판윤이 되었으며, 같은해 8월에는 진하사은 겸 세폐사(進賀謝恩兼歲幣使)로 임명되어 그해 11월에 부사 민종묵(閔種黙), 서장관 정하원(鄭夏源)과 함께 청나라에 다녀왔다. 이어 갑신정변이 일어나는 1884년을 전후하여 이조예조형조호조판서를 두루 역임하였다.

이듬해에는 민종묵민영환(閔泳煥) 등과 함께 협판내무부사에 임명되었다. 그해 군무국협판(軍務局協辦)을 거쳐 8월에는 판의금부사가 되었다.

1886년에는 판의금부사판돈녕부사호조판서이조판서 등을 차례로 지냈다.

1887년에는 의정부우참찬시강원우빈객예문관제학을 지냈다. 문명이 있어서 교태전(交泰殿) 등 왕실의 중요건물 증축‧개축시에 제술관이나 서사관이 되기도 하였다.

1889년에는 홍문관제학내무독판을 거쳐 다음해에는 형조판서이조판서판의금부사한성부판윤 등의 요직을 다시 거쳤다. 그해 9월에는 일본국사신을 접견하는 원접사(遠接使)가 되어 대일본외교에도 종사하였다.

1891년에는 시강원좌부빈객을 거쳐 좌빈객에 올랐다.

[참고문헌]

高宗實錄
日省錄
承政院日記
備邊司謄錄
國朝榜目
高宗時代史 1∼3(國史編纂委員會, 1970)

[집필자]

박맹수(朴孟洙)
대표명심이택(沈履澤)
이택(履澤)
성명심이택(沈履澤)

명 : "이택(履澤)"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東宮日錄v17命耶否耶公孫丑齊人也深慕管晏二子之功利而全不知孟子爲聖人也故孟子引曾西與或人問答而答之以明王覇之分矣履澤曰此章專言王覇而已孟子七篇皆存天理遏人欲之事而尊天理則爲王循人欲則爲覇王覇之分如是矣
東宮日錄v17昇平故如是勉敎聖賢之敎人一言一動無非仁義反復申喩莫非性善而文公之復見孟子眞可謂有爲之君而切於慕道者也履澤曰聖賢之道本是仁義而非高遠難行之事勉强不已則克躋聖人之域而人樂昇平在於致治之世矣
東宮日錄v18者是人慾間之失其羞惡之心而然也孟子深戒後人極明利義能使充吾羞惡之心養吾剛大之氣君子處身之道豈不審愼哉履澤曰人而持心不正行已不潔妻妾不信而況於人乎是以君子必愼其獨也
東宮日錄v18蓋絶鮮矣故孟子之答問友也歷擧而詳言之從卑及尊由小至大以明古人之必忘其貴而取其賢之道此亦立言乘敎之意也履澤曰睿敎切當矣此篇班爵祿雖與禮記王制有不同其大意卽隨爵差祿足以代耕而程子旣曰奈何欲盡信而句爲之解不必敷
東宮日錄v18能知愛親敬兄者只是順其性而已豈可勉强矯揉之有夫告子之論全無見識害於仁義不可勝言是以孟子有此辨難之說也履澤曰睿敎切當矣告子不知仁義禮智之全體本源故孟子所以辨難也
東宮日錄v18王治平之道亦不外乎是而一以貫之矣孟子曰不得於言勿求於心是以聖人之所以存養其性者必循理而奉順天命之正也履澤曰睿敎切當矣篇名盡心卽天理人道之分別而不知天理則何以謂人道乎
爛抄v1臺啓上䟽短章自劾乞被威罰事答今見卿章不無一失爲存事軆特施譴罷之典勸講召對爲之三司合啓伏以臣等以深宜冕履澤事屢日聯籲不遑及此而第有不得不言者寧被煩瀆之誅不容泯黙而止噫彼濟州牧圍罪人金始淵卽往牒所無之巨贓大慝
勅使日記v19仁川監理署問禮官朔寧郡守李奭鍾呈名帖入見傳給儀註臣履澤臣憲稙率本府府使及各務差使員行迎勅禮呈名帖則臣履澤臣憲稙本府府使成岐運只許入見餘皆停免迎慰使漢城府左尹具春植中使姜禹錫呈名帖入見奉傳御帖告以奉命持來之
勅使日記v19駐處是白遣諭祭文奉安龍亭兩勅下陸乘自持來之四人轎抵仁川監理署問禮官朔寧郡守李奭鍾呈名帖入見傳給儀註臣履澤臣憲稙率本府府使及各務差使員行迎勅禮呈名帖則臣履澤臣憲稙本府府使成岐運只許入見餘皆停免迎慰使漢城府左
勅使日記v19是白遣上勅出白老〔光?〕方紬一疋繡囊二箇副勅出玉色十兩紬一疋繡囊二箇並給中使爲白乎旀中使奉傳御帖于臣履澤故謹以前所奉來御帖並賫傳于差使員重林察訪李貞儀使之奉納承政院兩勅各出名帖故別定差備官李命健賫持上送爲
勅使日記v19使留待京畿監司入侍遠接使沈履澤京畿監司李憲稙進前上曰無事往返乎履澤等曰無事回還矣上曰勅使沿路能無頉乎履澤等曰別無大弊矣仍命退以司謁傳命曰勅使離發今至何處與否續續知入少頃勅使到作門前信地放砲三聲畢通禮跪啓請
勅使日記v19門至敦義門外幕次前上降轎入幄次傳曰遠接使留待京畿監司入侍遠接使沈履澤京畿監司李憲稙進前上曰無事往返乎履澤等曰無事回還矣上曰勅使沿路能無頉乎履澤等曰別無大弊矣仍命退以司謁傳命曰勅使離發今至何處與否續續知入少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