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홍계희(洪啓禧)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D64DACC4D76CB1703X0
자(字)순보(純甫)
호(號)담와(淡窩)
생년1703(숙종 29)
졸년1771(영조 47)
시대조선후기
본관남양(南陽[唐])
활동분야문신 > 문신
홍우전(洪禹傳)
외조부이상(李翔)
저서『삼운성휘(三韻聲彙)』

[상세내용]

홍계희(洪啓禧)
1703년(숙종 29)∼1771년(영조 47).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唐]). 자는 순보(純甫), 호는 담와(淡窩).

부친은 참판 홍우전(洪禹傳)이며, 모친은 대사헌 이상(李翔)의 딸이다. 이재(李縡)의 문인이다.
1. 행적과 관력
1737년(영조 13) 별시문과에 장원급제하여 정언이 되고, 우의정 조현명(趙顯命)의 천거로 교리로 특진되었다. 이어 수찬을 거쳐 1742년 북도감진어사(北道監賑御史)로 파견되어 함경도의 진정(賑政)을 살폈고, 이듬해 다시 북도별견어사로 파견되었다.

이때 그 지방의 지형과 물정을 상세히 수록한 지도를 작성 복명함으로써 영조의 칭찬을 받았고, 또 좌의정 송인명(宋寅明)의 추천으로 공조참의가 되었다.

그러나 1743년 부사과로 있으면서 함경감사 박문수(朴文秀)의 부정혐의를 탄핵하였다가 당색으로 공격하였다는 의심을 받아 삭직되었다.

이듬해 승지로 특채되고, 이어 1748년 일본 막부의 9대장군 도쿠가와(德川家重)의 승습을 축하하기 위한 통신상사(通信上使)로 차정되어 부사 남태기(南泰耆), 서장관 조명채(曺命采) 등 일행500여명을 이끌고 일본에 다녀왔다.

그뒤 형조참판이 되고, 영의정 김재로(金在魯)의 청으로 비변사당상을 겸하였다.

1749년 충청도관찰사 때 시무의 능력을 인정받아 다음해 병조판서로 발탁되어 영의정 조현명과 함께 균역법 제정을 주관하여 균역사목(均役事目)을 작성, 시행하게 하였다.

그러나 균역법이 시행상 문제가 많다는 중신들의 비난을 받고 지중추부사로 물러났다가 광주유수(廣州留守)로 출보되었으며, 1754년 이조판서로 재기용되었다. 이후 형조병조호조판서예문관대제학을 역임하였다.

1762년 경기도관찰사로 있으면서 사도세자(思悼世子)의 잘못을 고변하게 함으로써 세자가 죽게 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그뒤 이조예조판서를 거쳐 판중추부사로서 봉조하(奉朝賀)가 되었다.
2. 정치관
그는 유학자로 자처하였으나 그보다는 시무에 밝고 경세치용(經世致用)에 많은 관심을 보인 개혁실천주의자였다. 이는 그가 젊어서 『반계수록(磻溪隨錄)』을 읽고 유형원(柳馨遠)의 개혁사상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여겨진다.

1749년 충청도관찰사로 있으면서 올린 시폐개혁안에는 과거제를 철폐하고 명나라의 관리임용제도의 도입을 주장한 과제조(科制條), 한천소시(翰薦召試)의 철폐와 대간제도의 개선책을 제시한 관제조(官制條), 5군영을 철폐하고 훈련도감과 어영청만을 두되 정병(正兵)의 수를 늘리자는 군제조(軍制條), 양역(良役)의 모순을 시정하려 한 균역조(均役條) 등 네 가지가 담겨 있다.

이 중 세 가지는 조신(朝臣)들에 의해 모두 거절되고 군역조만이 주목을 받게 되었다. 그 내용은 양역의 폐단이 양반의 불취역(不就役)에 있다고 보고, 민생의 구제와 국가재정의 확보를 위하여 과거에 급제하지 못한 양반에게 군포(軍布)를 내게 하여 양역에 충당한다는 유포론(遊布論)이었다. 이는 사림의 맹렬한 비난으로 취소되고, 대신 경제력을 나타내는 전결(田結)에 부과되는 결포론(結布論)으로 바뀌게 되었다.

그러나 이 결포제도 대부분이 지주인 관료층의 반대로 실현되기는 어려워, 결국 토지 1결에 2두(斗)의 결미(結米)내지 결전(結錢)의 형태로 균역법에 부분적으로 반영되었다.
3. 정치성향과 저서
그 스스로는 노론 이재의 문인이라 하였으나, 대다수의 이재 문인으로부터 배척당하였다. 한때는 조현명송인명김재로 등 탕평파에 접근, 출세하였으나 후일 조현명과 불화하고, 영의정 김상로(金尙魯), 형조판서 윤급(尹汲), 참판 이기경(李基敬) 등과 한무리가 되어 영조 계비의 아버지 김한구(金漢耉)와 내통하는 등 권력을 좇아 반복무상한 관계로 사림들로부터 소인 내지 간신으로 지목되었다.

죽은 뒤 문간(文簡)이라 시호되었으나, 정조 즉위 후 두 손자의 정조시해미수사건으로 그의 두 아들(趾海‧述海) 및 일가가 처형당하게 되자, 그도 관작이 추탈되고 역안(逆案)에 이름이 올랐다. 이재뇌암서재(雷巖書齋)에 배향하자는 충청도 유생의 논의가 있었으나, 이재 문인의 반대로 유산되었다.

글씨에도 능하였으며, 저서로는 『삼운성휘(三韻聲彙)』가 있고, 편저로는 『균역사실(均役事實)』『준천사실(濬川事實)』『균역사목변통사의(均役事目變通事宜)』『국조상례보편(國朝喪禮補編)』『해동악장(海東樂章)』『명사강목(明史綱目)』『경세지장(經世指掌)』『문산선생상전(文山先生詳傳)』『주문공선생행궁편전주차(朱文公先生行宮便殿奏箚)』『사곡록(寺谷錄)』『창상록(滄桑錄)』 등이 있다.

[참고문헌]

英祖實錄
正祖實錄
國朝榜目
朝鮮後期의 良役變通論議에 대한 檢討(鄭萬祚, 同德女大論叢 10, 1977)
均役法의 選武軍官(鄭萬祚, 韓國史硏究 18, 1977)

[이미지]

[집필자]

정만조(鄭萬祚)
대표명홍계희(洪啓禧)
계희(啓禧)
성명홍계희(洪啓禧)
시호문간(文簡)
순보(純甫)
담와(淡窩)

성명 : "홍계희(洪啓禧)"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待闡錄v1焉敢譽啓禧耶遂杖黜黜洪聞益懼趾海嘗於稠虞中言東宮惡我家云辛巳間讒間日甚禍將不測小朝御泣成關令洪啓禧入對諭以洪還立何人耶三宗血豚互予一人將捨予而推戴誰耶令退而復使還入如是者九次而啓禧少無悚惕之意顯有
待闡錄v1傳曰元良其若無恙豈不進見乎予初意勸以調理噫聞開胄筵予當蹶然聞行次對予亦當蹶然豈不愈於進見而再昨重臣洪啓禧之所陳其亦有末故垂涕道之今日憊臥自悶國事呼成均館吏之聲聲徹御所故問之則太學封章寥寥世界聞此報不覺蹶然
待闡錄v1給之校理李亮天疏彈之傳曰洪準海大靜投畀倍道押送李亮天其心路人可知旌義投畀門限前一體倍道押送知中樞洪啓禧罷職不敍傳曰乘時投章一進於我一進於元良同日恣意其心叵測無將一也有一於此無禮無臣節將則必誅諸臣不討不逐
待闡錄v1五月二十日東宮次對時判義禁洪啓禧言曰邸下之血氣卽大朝之血氣一動一靜皆不得自私也邸下之有過而改過不聞知乎自諸臣言之不敢形言不然而在邸下
辛壬紀年提要v1洪啓禧所錄
政堂故事v1己巳夏忠淸監司洪啓禧請立游布之法以蠲良役之弊與大臣趙顯命合議入對朝議不合啓禧赴任庚午春又上疏請改立結布之法每田一結收
政堂故事v1此敎侮謾慈聖之心予實痛心大臣非有母乎無五倫而爲大臣乎十一月一日兼春秋南龍震草群臣請還收罪次對之命洪啓禧曰外議將庭請云矣上曰朴聖源以予八耆社爲言欲釣名矣遂不許且不進水刺明日群臣又請對不許左參贊元景夏上箚
政堂故事v1爲守僕妄論廟中儀物之不中者自提調以下莫能難之上每至廟群臣請召問處安以廟中諸禮由是得徹聞於上處安與參判洪啓禧相善至是乃以崔家禮訪於洪洪答以爲壽基旣無妻而死不可立後宜立其弟以奉祖祀祖卽贈贊成某乃和敬之考處安
政堂故事v1指吏判李天輔兵判洪啓禧承左相意而爲此見下文
政堂故事v1訓局卒金鼎九者闌八駕前兵判洪啓禧將決棍鼎九言有所親達於上前者洪請對言之上命捕將鞫之不服上遂命禁府設鞫大司憲徐命九以下牌不進或稱在
政堂故事v1庚午夏始定良布減疋令無以充其缺於是兵判洪啓禧請遣使行諸道括兼鹽稅李朴文秀等按行收稅悉屬于官啓禧又言各邑鄕豪多關遊者宜立號爲別軍官取其布而充之
政堂故事v1均輸靑苖而俱不免爲聚歛之臣何必效尤今日任事諸臣臆決唱和迷不自覺雖國言朋興猶且執拗臣切悶焉四月二十七日洪啓禧上書曰臺臣以任事之臣比之弘羊安石驅以聚歛之罪加以執拗之目夫均役諸條零瑣湊合律以十分道理未知七亭八當
政堂故事v1辛未五月定新法三條收監司守令官用也別軍官布也魚鹽稅也凡三條猶不足充用洪啓禧又請立結錢法每結收五十錢通六道除西北兩道舊法不收軍布故可爲三十餘萬兩足以補用上未許後竟用其法民甚苦之
景孝殿郎廳先生案 判書 洪啓禧
郯述v01正使吏判洪啓禧副禮參趙榮進書狀兼持平李徽中
郯述v04洪啓禧
鶴塘銓攷v1懿陵參奉洪啓禧宋翼輝○申晙
鶴塘銓攷v1義禁都事○元景夏李宗垣洪啓禧
嘉禮都監都廳儀軌李鼎輔 玉冊文製述官行廣州府留守鄭翬良 預差行司直洪啓禧 己卯五月二十八日都監郞廳以都提調意 啓曰本都監
嘉禮都監都廳儀軌同日)都監郞廳以都提調意 啓曰玉冊文草圖書行司直洪啓禧書寫以入以備 聖覽之意敢啓 傳曰依此入鐫 傳曰今已
嘉禮都監都廳儀軌成李彛章金寶 篆文書寫官行戶曹判書洪鳳漠預差行司直洪啓禧 啓下爲有置相考施行爲只爲 己卯五月十九日 訓鍊
嘉禮都監都廳儀軌曹爲牒報事玉冊文書寫官大司成李彛章有頉代 行副司直洪啓禧改付標啓下爲有置相考施行爲只 爲 己卯六月十四日
嘉禮都監都廳儀軌申晦 玉冊文製述官行廣州府留守鄭翬良 書寫官行司直洪啓禧 金寶篆文書寫官行戶曹判書洪鳳漢 都監別單 別看
嘉禮都監都廳儀軌澤 書寫官參判金致仁玉冊文製述官留守鄭翬良書寫官 洪啓禧各熟馬一匹敎命篆文書寫官金寶篆文書寫官 各半熟馬一
訓局事例撮要洪啓禧所啓守城節目以首刻綸音之意添入一条矣上曰讀之洪啓禧一讀以達上曰好矣啓禧曰節目中一条有添入 數字則始足
訓局事例撮要散人等亦當一齊登埤 幷力守城爲小民倡爲白齊兵曹判書洪啓禧所啓守城節目以首刻綸音之意添入一条矣上曰讀之洪啓禧
訓局事例撮要 意申飭何如上曰依爲之辛未正月初四日引見時兵曹判書洪啓禧所啓臣所管禁營亦將以來初始鑄錢 之役而含錫最難得頃
宮闕志明將謁昌德故前二日來此見時原任 大臣內局提調奉朝賀洪啓禧自午牌後至申牌 其商量者卽皇明通記而然心隕膽墜此懷
國朝人物志v2賤此亡師之冤尙不瞑目於泉下生未爲聖主之知死不免賤隷之名此豈但臣等隱痛於心云云墓碣忠淸監司洪啓禧狀請贈持平文獻備考弟翰弼字季鷹號雲谷與兄齊名
國朝人物志v3忘升騰向上心識者知爲遠大器英祖癸亥文科莊獻世子代理已十年睿智觸物疾惡頗嚴金尙魯洪啓禧等心懷疑懼陰爲動搖計搆煽內外上下備忘記諸承旨惶恐失措翌曉濟恭入對曰此傳敎非臣子所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