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심지원(沈之源)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2ECC9C0C6D0B1593X0
자(字)원지(源之)
호(號)만사(晩沙)
생년1593(선조 26)
졸년1662(현종 3)
시대조선중기
본관청송(靑松)
활동분야문신 > 문신
심설(沈偰)
저서『만사고(晩沙稿)』

[상세내용]

심지원(沈之源)
1593년(선조 26)∼1662년(현종 3).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자는 원지(源之), 호는 만사(晩沙).

부친은 감찰 심설(沈偰)이다.

1620년(광해군 12)에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그의 족조(族祖)인 심종도(沈宗道)가 대북파(大北派)인 이이첨(李爾瞻)의 복심이었던 관계로 대북에 가까웠으나 대북의 정책에 가담하지 않고 낙향하여 은거하였다.

1623년의 인조반정 이듬해 검열에 등용된 뒤 저작겸설서(兼說書)정언부교리교리헌납 등 청요직(淸要職)을 두루 역임하고, 1630년(인조 8)에는 함경도안찰어사(咸鏡道按察御史)로 파견되어 호인(胡人)에게 매마매인(賣馬賣人)한 자를 적발하는 동시에 육진(六鎭)방어에 대한 대책을 진언하여 인조의 신임을 얻었다. 함경도에서 돌아온 뒤에도 응교집의교리부수찬 등 청요직을 두루 거쳤다.

1636년 병자호란 때에는 노모 때문에 뒤늦게 왕이 있는 남한산성으로 달려갔으나 길이 막혀 들어가지 못하였다. 조익(趙翼)윤계(尹啓) 등과 의병을 모집하려 하였으나 윤계가 죽음으로써 실패하였다. 이에 강화도로 들어가 적에 항거하려 하였으나 강화마저 함락되자 죽을 기회도 잃게 되었다. 이것이 죄가 되어 대간의 탄핵을 받아 한때 벼슬길이 막혔다.

1643년 그의 억울함이 용서되어 홍주목사로 기용되었으며, 1648년에는 이조참의가 되었다.

그뒤 동부승지대사간대사성대사헌 등 요직을 두루 거쳤다. 효종초에는 대사간으로 있다가 평안감사로 나갔으나 대사헌으로 돌아와 병조이조참판을 역임하고 1652년(효종 3)에는 형조판서에 올랐다.

특히 그의 아들 심익현(沈益顯)효종의 딸인 숙명공주(淑明公主)에게 장가들어 사돈이 됨으로써 효종의 두터운 신임을 받았다.

이듬해인 1653년에는 이조판서로서 국왕의 언행이 몹시 급함을 때때로 경계하였으며, 11월에는 정조사(正朝使)로서 청나라에 다녀왔다.

1654년 우의정에 승서되고 이듬해에는 좌의정으로 옮겼으며, 1657년에는 동지 겸 사은사(冬至兼謝恩使)청나라에 다녀와서 이듬해에 영의정에 올랐다.

1659년 다시 좌의정으로 있을 때 효종이 죽자, 원상(院相)으로서 국정을 맡고 총호사(摠護使)로서 효종상례의 책임을 졌다. 현종이 즉위하면서 자의대왕대비(慈懿大王大妃)의 복제문제(服制問題)로 서인의 영수로서 송시열(宋時烈)의 뜻을 좇으면서도 남인 조경(趙絅)을 적극 신구(伸救)하기도 하였다.

그의 정치적 견해는 상당히 소극적이었던 것으로 이해된다. 즉 김홍욱(金弘郁)의 억울함을 알면서도 적극적으로 신구하지 못하였다든가 강화설진(江華設鎭)을 반대하였다든가, 혹은 양역(良役)의 폐를 알고 있으면서도 사족(士族)에 대한 수포(收布)에 적극 반대한 사실이 이를 입증한다고 하겠다.

저서로는 『만사고(晩沙稿)』가 있다. 글씨에 능하여 과천의 정창연비(鄭昌衍碑)가 남아 있다. 영천송곡서원(松谷書院)에 제향되었다.

[참고문헌]

仁祖實錄
孝宗實錄
顯宗實錄
顯宗改修實錄
燃藜室記述
國朝榜目

[이미지]

[집필자]

차문섭(車文燮)

성명 : "심지원(沈之源)"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國朝編年v20短予知之久矣非動於異論而不許也前禮判書趙翼上疏極言兩賢之道德兼辨誣詆之非時爭辨者多而上意不回故副應敎沈之源修撰尹墟趙錫胤等上箚爭聖批中疪累僭越等敎且曰先儒不可毁而毁之公議不可排而排之又曰相臣相繼陳箚而批答之
紀年便攷v24上答曰忠義凜凜令人靦顏除寢郞不就戊辰登別試歷翰林諫進崇不可遠竄鏡城丙子以校理隨趙翼至南湯與李時稷尹棨沈之源將謀募兵討賊棨爲賊所害乃轉入江都江都陷與母相失鳴殷性至孝方皇皇海曲母在山谷夢鳴殷持船來迎遂歸官止通政
紀年便攷v25至今藉藉臣之所陳乃閭閻間所聞斷無他意上顧問參鞫諸臣右議政具仁厚曰殿下欲殺言事之臣其於後世譏議何左議政沈之源曰趙賊鍛鍊之說不過死中求生之計寧有是理上愈怒叱仁厚曰卿引疾辭職今乃爲弘郁來耶遂杖殺弘郁時廷臣縮頸莫敢
紀年便攷v25沈之源光彥玄孫監役偰子權得己壻宣祖癸巳生字源之號晩沙光海丁巳進士庚申登庭試値政亂抗節不仕仁祖反正歷翰林南床
紀年便攷v26繼姪正軆非正軆皆可服三年耶無於禮之禮恐不敢輕議也上命考實錄於亦裳山城則睿宗小祥貞熹王后果従吉矣左議政沈之源曰當初獻議旣不外於五禮儀而實錄所載又如此喪禮宜従先祖也上遂命勿改服制
紀年便攷v26黃之地而貿於他國不䏻繼用今送于珎山郡採取之此外亦多有產地而郡邑畏其貽獘皆掩敝宜令廟堂施賞激勸也左議政沈之源曰京中昭格洞亦產硫黃而今無守直必有竊採之患令該曹修築守直并従之
記聞v1后張氏右相新豐府院君維之女乙丑冊封癸丑薨卽位十年昇遐壽四十一○相趙翼金堉李時白蔭勳韓興一具仁垕武勳沈之源李厚源元斗杓蔭勳○配享左相文正公金尙憲禮判文簡公金集○主文趙錫胤樂靜尹順之涬溟蔡裕後湖洲金益熙滄洲李
記聞v1景奭以爲當昭顯世子之喪臣敢以議禮之制陳疏當時亦有聯名同請者仁祖拔亂之今時又異於當時不敢更煩領中樞沈之源以爲愚陋之見與諸大臣無異判中樞元斗杓以爲不可以當初做錯之失膠固執迷延陽李時白右相鄭維城病不收議二相
記聞v1方慶力沮不許今上辛丑行酌獻禮後卽還宮留題儒生製述三中以上竝直赴殿試沈柏尹階金錫胄尹彬與焉竝賜第左相沈之源啓以初以不取人定奪而恩賜過多之意遂命壯元外竝給分仍付增廣金錫胄尹階
國朝捷錄v01沈之源
郯述v01正使吏判沈之源副使戶曹參贊洪命夏書狀官典籍金壽恒
郯述v01正使領中樞沈之源副使判尹尹順之書狀官執義李浚耈
郯述v04座目未詳○副學李顯英應敎沈之源本館錄金坽栦淰柳滉尹善道四人未參金霱洪許啓李尙馨閔光勳栦堣朴筵洪柱一李之恒吳達濟十人加入
祔廟都監儀軌領敦寧府事李景奭 三月十六日 辭遞 議政府左議政沈之源 三月二十日 啓下 提調四員行戶曹判書許積禮曹判
祔廟都監儀軌傳曰 允事傳敎矣 議于大臣 則領議政鄭太和.左議政沈之源.右 議政元斗杓.領中樞府事鄭維城以爲 一依辛卯年
祔廟都監儀軌 行判中樞府事鄭維城議 以爲 與領議政同議 左議政沈之源議以爲 與領中樞府事議 同 傳曰 依領議政判中樞議
祔廟都監儀軌役 竝 書啓 閏七月初七日 傳祔廟都監都提調左議政沈之源熟馬一匹 領中樞 府事李景奭半熟馬一匹賜給 提調判
祔廟謄錄n1-2책 何如傳曰允事傳敎矣議于大臣則領議政鄭太和左議 政沈之源右議政元斗杓以爲臣等當聞凡五廟七廟之制皆 自太祖計
祔廟謄錄n1-2책奪何如傳曰允事傳敎 矣議于大臣則領議政鄭太和左議政沈之源右議政 元斗杓領中樞府事鄭維城以爲實錄完役每在三
祔廟謄錄n1-2책定何如傳曰允事傳敎矣議于大臣則領議政 鄭太和左議政沈之源右議政元斗杓領中樞府事鄭維 城以爲史事雖完洗草等禮
祔廟謄錄n1-2책而殆 甚方將陳疏請罪不敢獻議云領議政鄭太和左 議政沈之源以爲重彼物論方在縮伏竢罪之中不敢 獻議云判中樞府事
祔廟謄錄n1-2책事陟不當矣曹啓目議于大臣則領中樞府 事李景奭左議政沈之源右議政元斗杓以爲為仁宗大 王仁聲仁聞闻入人者深矣於
山陵都監儀軌大行大王昇■于昌德■ 同日吏曹 摠護使議政府左議政沈之源 提調三工曹判書鄭致和 六月初八日政移拜兵曹判書
山陵都監儀軌得不爲先馳啓爲白臥乎事 七月初三日(同日) 左議政沈之源上疏 伏以 弓劒旣遠攀號莫及今日之所自盡者惟是 山
山陵都監儀軌之姑停以待改分付何如 答曰依啓 七月初六日 摠護使沈之源禮曹判書尹絳都監提調鄭致和觀象監提 調李應蓍聯名狀
山陵都監儀軌傳付軍職使之冠帶隨行何如傳曰允 五月二十八日摠護使沈之源觀象監提調吳竣禮曹判書尹絳山陵 都監提調洪重普聯名
山陵都監儀軌未盡條件追乎磨鍊爲白齊 賞格 傳摠護使議政府左議政沈之源鞍具馬一匹賜給提調兵曹判書鄭致 和工曹判書金南重益
嘉禮謄錄n1-1책 ○仁興君瑛平雲君俅密山君澯使者益平尉望報長陵參奉沈之源
嘉禮謄錄n1-1책郞成振翰佐郞權興益主 人京畿都事洪重普使者長陵參奉沈之源修理監役 沈廷直引路部將二員擧函執事二員通禮院引儀
嘉禮謄錄n1-1책 庚寅八月初六日 一傳曰前監司沈之源子校里趙復陽子幼學洪九淵 子禁婚其餘竝許婚前縣監具
嘉禮謄錄n1-1책采式麟坪大君宅上狀嘉善大夫吏曹參判兼 同知成均館事沈之源時維季春台候多福朝恩貺室于之源之子益顯 謹行納采之
嘉禮謄錄n1-1책理監役官韓墍主婚麟坪大君二月二十九日啓下駙馬家使者沈之源二月二十九日啓下一員役書啓單子畵員二人書吏五人使令
嘉禮謄錄n1-1책官 尹垌黃立顯竝陞敍監役官韓墍上絃弓一張賜給使者 沈之源敍用畵員役下人等令該曹木布磨鍊題給
嘉禮謄錄n1-1책戒之地而已此外可得之方臣等亦無以 思伏惟上裁右議政沈之源延陽府院君李時白領敦 寧府事金堉與領議政議同大臣之
嘉禮謄錄n1-1책似或宜當伏惟上裁延陽府院君李時 白領敦寧金堉右議政沈之源與領議政議同綾 川府院君具仁垕病不收議傳曰兄弟二人
嘉禮謄錄n1-1책臣處之議于大臣則領議政鄭太和 領敦寧府事金堉左議政沈之源右議政元斗杓以爲 今此王子婚禮旣不可一倣常規有所差
嘉禮謄錄n1-1책■ 益豊君涑昌原君玖靈恩君涵湖安君澳 議政府左議政沈之源儀賓府永安尉洪柱元 益平尉洪得箕靑平尉沈益顯寅平尉
大王大妃殿王大妃殿尊崇都監都廳儀軌調領敦寧府事李景奭 三月十六日辭遞 議政府左議政沈之源 三月二十日 啓下 提調四員 行戶曹判書許積 禮
大王大妃殿王大妃殿尊崇都監都廳儀軌役 竝書啓 閏七月初七日 傳尊崇都監都提調左議政沈之源 熟馬一匹 領中樞 府事李景奭半熟馬一匹賜給 提調
尊崇冊禮謄錄n1-1책奪何如傳曰允事傳敎矣議干大 臣則領議政鄭太和左議政沈之源右議政元斗杓 領中樞府事鄭惟城以爲一依辛卯年例施行
尊崇冊禮謄錄n1-1책進退定奪 一曹啓曰曹啓辭卽者祔廟都監都提調左議政 沈之源招本曹郞廳中宮殿冊禮吉日以閏七月初五 日內更爲推擇
孝宗國恤謄錄n1-1책識禮諸大夫斷然以行不勝幸甚延陽 府院君李時白左議政沈之源右議政先斗杓判中樞府 事鄭維城病不收議大臣及儒臣之
孝宗國恤謄錄n1-1책致有今日之論議何敢更爲與聞以增罪戾伏 惟上裁左議政沈之源以爲臣之當初獻議旣不外於五 禮儀而實錄所載又如此喪
孝宗國恤謄錄n1-1책者亦非一二云及見此議不敢 更有所容喙伏惟上裁左議政沈之源以爲臣以愚陋素 昧禮學固不敢輕議而五禮儀國朝之遵行
孝宗大王國恤謄錄n1-1책今更改似甚未安伏惟上 裁延陽府院君李時白議同左議政沈之源議臣之愚意頃已陳 達於榻前祖宗定行之禮到今輕議似甚
孝宗大王國恤謄錄n1-1책監造官以下竝進參敬慕殿同日一體奉審宗廟都 提調左相沈之源亦爲進參 祔廟都監啓辭■器別 一祔廟都監啓曰今日臣
推刷都監儀軌n1-2책 順治十四年七月日推刷都監儀軌 都提調議政府左議政沈之源乙未正月二十八日啓下 提調前兼兵曹判書元斗杓 乙未
推刷都監儀軌n1-2책 傳曰推刷都監都提調以下竝書啓 都提調議政府左議政沈之源 乙未正月二十八日啓下丁酉六月初七日至 提調前兼
仁祖大王實錄纂修廳儀軌實錄廳 啓曰都廳堂上有闕今日親承差下之 敎刑曹判書沈之源差下何如 傳曰允
孝宗大王實錄纂修廳儀軌寧府事李景奭 受點 議政府領議政鄭太和議政府左議政沈之源
孝宗大王實錄纂修廳儀軌置宜當上曰依啓事命下矣問于大臣則領議政鄭太和左議政沈之源 右議政元斗李一相杓議則以爲李東顯當初書辭及李一相
孝宗大王實錄纂修廳儀軌十九日 禮曹啓曰傳敎矣議于大臣則領議政鄭太和左議政沈之源右議 政元斗杓領中樞府事鄭維城以爲史事雖完洗草等禮
東國續修文獻錄v1相淸白吏忠翼韓興一字振甫號柳市孝純從孫文右相靖溫具仁垕字仲載號柳浦綾城人人武左相致仕忠武沈之源字源之號晩沙德符后文領相昏朝立節元斗杓字子建號灘叟原州人勳左相忠翼李厚源字士深號迂齋全州
東國續修文獻錄v1四判書尹順之樂天海平人七十六知中趙啓遠子長楊州人七十九判書辛啓榮帶苦靈山人九十三知中李景奭見相七十七沈之源見相七十尹絳子駿坡平人七十一判中李坰東野碧珍人九十一知中李久遠汝遠全州人九十七知敦鄭太和見相七十二姜
國朝人物志v2母暗錄同榜諸人姓名咸莫之知至甲戌春事始發德承上疏自鳴曰以不參謁聖旋被削籍此同榜所共知也於是沈之源鄭百亨洪恕俱以同榜陳疏事下該曹引其時獨拜西宮而亦在暗錄者以證明之歷春坊以善解漢語特兼敎授
國朝人物志v3之募鄕里子弟及家僮數百浮海出大洋入江都數千里舟行無晝夜至則城陷已數日孝宗昇遐左相沈之源啓上曰善道精於堪輿召議山陵事旣卜吉於水原而有改卜之事善道私謂曰後必有遷
睡翁先生日記n1-2책後陞遷奉事而盤桓不進畢命 于田野矣仁廟甲戌故議政臣沈之源掌令臣金 德承持平臣鄭百亨洪憲等以名在凶疏上疏辭職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