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이식(李植)

[요약정보]

UCIG002+AKS-KHF_12C774C2DDFFFFB1584X0
자(字)여고(汝固)
호(號)남궁외사(南宮外史)
호(號)택구거사(澤癯居士)
시호(諡號)문정(文靖)
생년1584(선조 17)
졸년1647(인조 25)
시대조선중기
본관덕수(德水)
활동분야문신 > 문신
이안성(李安性)
고조부이행(李荇)
저서『택당집』
저서『초학자훈증집(初學字訓增輯)』
저서『두시비해(杜詩批解)』

[상세내용]

이식(李植)
1584년(선조 17)∼1647년(인조 25).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자는 여고(汝固), 호는 택당(澤堂)남궁외사(南宮外史)택구거사(澤癯居士). 좌의정 이행(李荇)의 현손이며, 좌찬성에 증직된 이안성(李安性)의 아들이다.

1610년(광해군 2) 별시문과에 급제, 1613년 설서를 거쳐 1616년 북평사(北評事)가 되고, 이듬해 선전관을 지냈다.

1618년 폐모론이 일어나자 은퇴하여 경기도 지평(砥平: 지금의 양평군 양동면)으로 낙향하여 남한강변에 택풍당(澤風堂)을 짓고 오직 학문에만 전념하였다. 호를 택당이라 한 것은 여기에 연유하였다.

1621년 누차 출사(出仕)의 명을 받았으나 이를 거부하였으므로 왕명을 어겼다 하여 구속되기도 하였다.

1623년 인조반정이 일어난 뒤 교분이 두터운 친구들이 집권하게 되자 요직에 발탁되어 이조좌랑에 등용되고, 이듬해에 부수찬응교사간집의를 역임하였다.

1625년(인조 3) 예조참의동부승지우참찬 등을 역임하고, 이듬해에 대사간대사성좌부승지 등을 지냈다.

1632년까지 대사간을 세 차례 역임하였다. 사친(私親)의 추숭(追崇)이 예가 아님을 논하다가 인조의 노여움을 사 간성현감으로 좌천되었다.

1633년에 부제학을 거쳐 1638년 대제학예조참판이조참판을 역임하였다.

1642년 김상헌(金尙憲)과 함께 척화를 주장한다 하여 심양(瀋陽)으로 잡혀갔다가 돌아올 때 다시 의주에서 잡혀 갇혔으나 탈출하여 돌아왔다.

1643년 대사헌형조이조예조판서를 역임하였다.

1646년 별시관(別試官)으로 출제하였다가 시제에 역의(逆意)가 있다고 하여 관직이 삭탈되었다. 당대의 이름난 학자로서 많은 제자를 배출하였다.

특히, 문장이 뛰어나 신흠(申欽)이정귀(李廷龜)장유(張維)와 함께 한문사대가로 꼽혔다.

그의 문장은 우리나라의 정통적인 고문으로 높이 평가되었다. 김택영(金澤榮)에 의하여 여한구대가(麗韓九大家)의 한 사람으로 뽑혀 『여한십가문초(麗韓十家文鈔)』에 「사간원차자(司諫院箚子)」 등 6편의 글이 수록되어 있다. 그의 시는 각 체에 모두 능숙하여 많은 작품을 남겼다.

대체로 정경의 묘사가 뛰어나고 직서적인 것이 많다. 그는 고체에 능하였다고 하나 오언율시에 가장 특색을 발휘하였다.

1686년 영의정에 추증되고, 여주기천서원(沂川書院)에 제향되었다.

문집으로 『택당집』이 전하며, 『초학자훈증집(初學字訓增輯)』『두시비해(杜詩批解)』 등을 저술하였고, 『수성지(水城志)』『야사초본(野史初本)』 등을 편찬하였다. 시호는 문정(文靖)이다.

[참고문헌]

澤堂集
仁祖實錄
國朝人物考
澤堂 李植의 文論硏究(羅相根, 국민대학교석사학위논문, 1984)

[집필자]

이신복(李信馥)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