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민응형(閔應亨)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BBFCC751D615B1578X0
자(字)가백(嘉伯)
생년1578(선조 11)
졸년1662(현종 3)
시대조선중기
본관여흥(驪興)
활동분야문신 > 문신
민호(閔護)

[상세내용]

민응형(閔應亨)
1578년(선조 11)∼1662년(현종 3).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자는 가백(嘉伯). 승지 민호(閔護)의 아들이다.

1612년(광해군 4)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 승문원에 보임되었으나, 이듬해 인목대비(仁穆大妃)의 폐모론이 일어나자 사직하고 한때 양근(揚根)으로 퇴거하였다가 1615년 승문원박사를 거쳐, 1621년 분병조정랑(分兵曹正郞)에 임명되었다.

인조반정 이후 지평(持平)정언(正言)장령(掌令)집의(執義)교리사간동부승지좌부승지우부승지 등을 두루 거치면서 때로는 시폐(時弊)를 극간(極諫)하고, 때로는 언로(言路)의 두색(杜塞)을 간하는가 하면 인조가 경연(經筵)을 전폐하자, 신진유신들이 국왕의 얼굴도 모른다고 유신들을 만나 대화할 것을 강력히 청하는 등 바른말을 서슴지 않아 이름이 있었다.

1643년(인조 21) 대사간이 되고, 곧 이어서 병조참의가 되어 최명길(崔鳴吉)김류(金瑬)심기원(沈器遠) 등 대신들을 탄핵하였다가 인조의 노여움을 사 한때 추고(推考)되기도 하였다.

그뒤 다시 좌부승지이조참의를 거쳐 대사간으로 임명되었을 때, 김류를 공척(攻斥)하다가 순천부사로 출보(出補)되었다.

그러나 인조김류의 사이가 멀어지면서 1646년 다시 대사간으로 임명되어 순천에서 동작진(銅雀津)에 이르러 강빈(姜嬪)의 옥사(獄事)소식을 듣고 그 길로 입궐하여 강빈을 구하려 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왕의 노여움을 크게 샀다. 이에 강빈의 죽음을 막지 못한 것을 한탄하여 파직을 자청하고 벼슬을 떠났다.

1649년 인조의 노여움이 풀려 안변부사(安邊府使)에 임명되었다가 효종이 즉위하면서 다시 부제학으로 돌아왔다.

그뒤 대사간부제학병조참판대사성대사헌예조참판이조참판공조참판 등 청요직(淸要職)을 두루 거치면서 때로는 왕도(王道)를 설파하고, 때로는 당쟁의 폐를 논하고, 때로는 궁가설장(宮家設莊)의 폐(弊)를 극간하고 김육(金堉)의 경제정책에 도움을 주는 등 충고를 아끼지 않았으나, 그의 논리가 공명정대하였기 때문에 군왕을 비롯하여 이해가 엇갈린 당인(黨人)들도 감히 그를 해치지 못하였다.

1660년(현종 1) 공조판서를 거쳐 다음해 우참찬이 되었다.

당시 윤선도(尹善道)자의대비(慈懿大妃)의 복상문제로 서인(西人)에 의하여 삼수(三水)로 귀양갔을 때 누구도 그의 무고함을 주장하지 못하였는데, 그는 윤선도의 무고함을 주장하여 서인의 노여움을 사기도 하였으나 그의 뜻을 굽히지 않았다.

1662년 85세의 나이로 우참찬에 있다가 죽었다. 그는 일생을 광해군인조효종현종에 역사하면서 직언으로 이름이 났다.

[참고문헌]

光海君日記
仁祖實錄
孝宗實錄
顯宗實錄
顯宗改修實錄
國朝人物考
國朝榜目

[집필자]

차문섭(車文燮)
대표명민응형(閔應亨)
응형(應亨)
성명민응형(閔應亨)
가백(嘉伯)

성명 : "민응형(閔應亨)"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紀年便攷v22閔應亨驪興人文承旨頀子宣祖戊寅生字嘉伯光海壬子登明經科廢毋論起卽歸楊根仁祖反正後歷三司舍人副學官止兩銓入耆
震乘總v10因喪而行天地山川之祭越紼而行況且鍾鼓羽籥專爲格神明而設禮固以誠爲本莫如本末俱盡之爲備也從之○以閔應亨閔應亨爲副提學承召入侍言臣聞諸道路皆曰三代之治可可可衍字復見矣及登前席大異所聞殿下不過僅保社稷之主而立志不
震乘總v10閔應亨
羹墻錄v2於危亂者幸也上和顔虛受命復盡言之應亨仍歷陳朝議之橫潰貢賦之不均諸宮漁鹽之痼弊上動容稱善上同夏旱同中樞閔應亨請對言殿下纔得小雨便以爲足命近臣賦詩志喜又有便蕃之錫是日雨卽收而風大作此由殿下忽敬天之心而然也上嘉奬
羹墻錄v2閔應亨爲副提學上曰應亨之爲承旨忠言懇懇今爲諫官宜盡繩糾之責以匡予不逮也至是承召入侍言臣聞諸道路皆曰三代之治
郯述v03閔應亨
郯述v04座目未詳○庚寅畐副學閔應亨應敎洪處尹本館錄外張應一申混睦兼善栦大運四人加入
션보집략언해v1거상이 왈 잔 술의 과실노 경악지신(經幄之臣)을 엇지 망리오 시다 ○동지(同知事)閔應亨이 상방(尙方)에셔 비단 직조(織造) 것을 파(罷)소셔 알외거상이 졍지라명시니
仁顯王后國恤謄錄n1-1책所藏他無可以爲考據 之端矣乙亥國恤後其時承旨李敬輿閔應亨等以王 世子進見時壓尊變服草笠黑帶爲未安之意陳疏
仁顯王后國恤謄錄n1-1책皆用黑色揆以情禮實所 未安第見乙亥國恤時承旨李敬輿閔應亨疏論王世子壓 尊變服之爲非禮而其疏有曰王世子進見時
大事編年v12六月閔應亨以副提學承召入侍言臣聞諸道路皆曰三代之治可復見矣及登前席大異所聞殿下不過僅保社稷之主而立志不固優遊不
東國續修文獻錄v1之宜寧人七十三判書李敬輿見相鄭廣成壽伯東萊人七十九知中趙絅日章漢陽人八十三判中吳竣汝完同福人八十判書閔應亨嘉伯驪興人八十四判書尹順之樂天海平人七十六知中趙啓遠子長楊州人七十九判書辛啓榮帶苦靈山人九十三知中李
國朝人物志v3稷山値丙子亂丁丑聞晦日下城之事却食三日入爲掌令力救李應蓍之直言獲罪坐逮罷孝宗怒閔應亨等至欲繫治惕然執不可至於五啓怒稍解官至禮曹參議惕然叔父瑗字伯玉文科左尹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