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김상헌(金尙憲)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AE40C0C1D5CCB1570X0
자(字)숙도(叔度)
호(號)청음(淸陰)
호(號)석실산인(石室山人)
호(號)서간노인(西磵老人)
시호(諡號)문정(文正)
생년1570(선조 3)
졸년1652(효종 3)
시대조선중기
본관안동(安東[新])
활동분야관료 > 상신
김대효(金大孝)
생부김극효(金克孝)
출생지서울
저서『청음전집』

[상세내용]

김상헌(金尙憲)
1570년(선조 3)∼1652년(효종 3). 조선 인조효종 때의 상신(相臣). 본관은 안동(安東[新]). 자는 숙도(叔度), 호는 청음(淸陰)석실산인(石室山人: 중년 이후 楊州 石室에 退歸해 있으면서 사용)서간노인(西磵老人: 만년에 安東에 은거하면서 사용). 서울 출생.

돈녕부도정(敦寧府都正) 김극효(金克孝)의 아들이며, 우의정 김상용(金尙容)의 동생이다.

3세 때 큰아버지인 현감 김대효(金大孝)에게 출계(出系)하였다.

1590년(선조 23) 진사가 되고 1596년 전쟁중에 보인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권지승문원부정자(權知承文院副正字)에 임명되었으며, 이후 부수찬좌랑부교리를 거쳐 1601년 제주도에서 발생한 길운절(吉雲節)의 역옥(逆獄)을 다스리기 위한 안무어사(安撫御史)로 파견되었다가 이듬해 복명, 고산찰방(高山察訪)경성도호부판관(鏡城都護府判官)을 지냈다.

1608년(광해군 즉위) 문과중시에 급제, 사가독서(賜暇讀書)한 후 교리응교직제학을 거쳐 동부승지가 되었으나 이언적(李彦迪)이황(李滉) 배척에 앞장선 정인홍(鄭仁弘)을 탄핵하였다가 광주부사(廣州府使)로 좌천되었다.

1613년 칠서지옥(七庶之獄)이 발생, 인목대비의 아버지인 김제남(金悌男)이 죽음을 당할 때 혼인관계(김상헌의 아들 金光燦이 김제남의 아들 𤥵의 사위가 됨.)로 인해 파직되자 집권세력인 북인의 박해를 피하여 안동군 풍산으로 이사하였다.

1623년 인조반정 이후 이조참의에 발탁되자 공신세력의 보합위주정치(保合爲主政治)에 반대, 시비(是非)와 숙특(淑慝: 善惡)의 엄격한 구별을 주장함으로써 서인 청서파(淸西派)의 영수가 되었다.

이어 대사간이조참의도승지부제학을 거쳐, 1626년(인조 4) 성절 겸 사은진주사(聖節兼謝恩陳奏使)명나라에 다녀왔으며, 이후 육조판서예문관성균관제학 등을 지냈다.

1632년 왕의 생부를 원종(元宗)으로 추존하려는 데 반대하여 벼슬에서 물러났다.

1635년 대사헌으로 재기용되자 군비의 확보와 북방 군사시설의 확충을 주장하였고, 이듬해 예조판서로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주화론(主和論)을 배척하고 끝까지 주전론(主戰論)을 펴다가 인조가 항복하자 안동으로 은퇴하였다.

1639년 청나라명나라를 공격하기 위해 요구한 출병에 반대하는 상소를 올렸다가 청나라에 압송되어 6년 후 풀려 귀국하였다.

1645년 특별히 좌의정에 제수되고, 기로사에 들어갔다. 효종이 즉위하여 북벌을 추진할 때 그 이념적 상징으로 대로(大老)라고 존경을 받았으며, 김육(金堉)이 추진하던 대동법에는 반대하고 김집(金集) 등 서인계 산림(山林)의 등용을 권고하였다.

윤근수(尹根壽)의 문하에서 경사(經史)를 수업하고, 성혼(成渾)의 도학에 연원을 두었으며, 이정귀(李廷龜)김유(金楺)신익성(申翊聖)이경여(李敬輿)이경석(李景奭)김집 등과 교유하였다.

1653년 영의정에 추증되었으며, 1661년(현종 2) 효종 묘정에 배향되었다.

양주 석실서원(石室書院), 정주 봉명서원(鳳鳴書院), 개성 숭양서원(崧陽書院), 제주 귤림서원(橘林書院), 정평 망덕서원(望德書院), 함흥 창덕서원(彰德書院), 경성 경산서원(鏡山書院), 의주 기충사(紀忠祠), 광주 현절사(顯節祠), 상주 서산서원(西山書院), 종성 화곡서원(華谷書院), 안동 서간사(西磵祠), 예안 운계사(雲溪祠), 정평 모현사(慕賢祠)에 제향되었다.

시문과 「조천록(朝天錄)」‧「남사록(南槎錄)」‧「청평록(淸平錄)」‧「설교집(雪窖集)」‧「남한기략(南漢紀略)」 등으로 구성된 『청음전집』 40권이 전한다. 시호는 문정(文正)이다.

[참고문헌]

宣祖實錄
光海君日記
仁祖實錄
孝宗實錄
國朝人物考
海東名臣傳
淸陰全集
皇明陪臣傳(黃景源)
尊周彙編(李義駿)

[집필자]

정만조(鄭萬祚)

명 : "상헌(尙憲)"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歷代總要v04淸人以尙憲斥和不仕且諫助兵執囚瀋館六年抗義不屈乙酉始放還
紀年便攷v19持平朴啓榮李烓等啓請遠竄答曰金尙憲論罪太晩置之無妨吏參李景奭伸救上曰不問其君不哭其兄果謂人倫乎此時論尙憲可謂鳳鳴朝陽也竟削職庚辰入瀋陽拘因後疾欲淸人使出住義州癸未復拘瀋舘乙酉還國終始不屈天下慕義虜人亦不名
紀年便攷v19名及還隠居不出丙戌拜左相入耆社為世子進䖏士金集謝病歸感孝宗恩遇薦宋浚吉宋時烈此两賢之立朝明春秋大義乃尙憲之力也文章嚴重節義卓越甞赴燕作詩有淡雲㣲雨小姑祠菊秀蘭衰八月時之句後王漁洋詩話有曰朝鮮使臣金尙憲詩淡
紀年便攷v19典翰直學副學仁祖朝典文衡歴吏判選淸白吏性剛嚴方正好直諫與柳希奮為姨兄弟希奮被大辟尙憲持服徃哭有人止之尙憲曰生時雖絶死後哭而服之不可已也有一公子造山亭用圓柱聞尙憲為都憲即削而方之殿閣用圓柱故也甲子适亂命起復
紀年便攷v19柳希奮為姨兄弟希奮被大辟尙憲持服徃哭有人止之尙憲曰生時雖絶死後哭而服之不可已也有一公子造山亭用圓柱聞尙憲為都憲即削而方之殿閣用圓柱故也甲子适亂命起復力辭後以副學論事不合退帰石室因 太廟灾論追崇非禮丙寅以陳
紀年便攷v19復力辭後以副學論事不合退帰石室因 太廟灾論追崇非禮丙寅以陳奏使赴京辨誣丙子大臣以下欲以世子為質于虜營尙憲切責領相金瑬崔鳴吉草國書以示之有臣罪擢髮難数等語尙憲痛哭裂書大罵鳴吉曰先大夫儒者公何忍為此鳴吉起為補
紀年便攷v19寅以陳奏使赴京辨誣丙子大臣以下欲以世子為質于虜營尙憲切責領相金瑬崔鳴吉草國書以示之有臣罪擢髮難数等語尙憲痛哭裂書大罵鳴吉曰先大夫儒者公何忍為此鳴吉起為補其書曰裂之者固不可無補之者亦不當有耶尙憲見上泣曰臣請
紀年便攷v19擢髮難数等語尙憲痛哭裂書大罵鳴吉曰先大夫儒者公何忍為此鳴吉起為補其書曰裂之者固不可無補之者亦不當有耶尙憲見上泣曰臣請先死裂書後不食者六日觧衣帶自經李敬輿䓁在傍救觧上下城後因帰安東鶴駕山不復仕戊寅掌令柳碩持
紀年便攷v21淸人聞柳碩等啓論尙憲等龍骨大梧木道等來到義州招致大臣宰臣領議政洪瑞鳳吏曺判書李顯英都承旨申得淵參判朴潢赴義州彼百般恐嚇求
紀年便攷v21英都承旨申得淵參判朴潢赴義州彼百般恐嚇求索斥和臣得淵懼出見鄭命壽哀乞命壽曰若言橫議之人可生得淵卽書給尙憲漢英及以恒以咸昌士人曾有陳疏之事三人名初龍胡聞尙憲事使之入送備局行賂得免催督及聞得淵語脅瑞鳳等使馳啓
東國歷代總目v02庚辰淸索執前判書金尙憲囚瀋陽○尙憲尙容之弟號淸陰嘗斥和故被執而去䝱之終不屈遂囚於瀋獄至六年乃歸官至左相○前持平曺漢英又以斥和偕尙憲被執
東國歷代總目v02前領議政金壽恒賜死○壽恒尙憲之孫號文谷早有淸名久典文衝謫珍島受命後諡文忠
國朝捷錄v01尙憲
郯述v02父光燦尙憲
郯述v03尙憲曾孫七十五 畵
郯述v04辛卯謁 尙憲孫進壯丙申重東畐副大
國朝人物志v2府都事官至南原府使少從石洲權韠學後出入象村申欽淸陰金尙憲之門特見推許尙憲拘幽瀋獄時定有黃冠不拜大單于之句一時傳誦甲子李适叛上駕到天安大臣召時定至御前
國朝人物志v3科戊申重試選入湖堂仁祖朝大提學爲禮曹判書丙子扈駕南漢和議方定諸宰會于賓廳商議尙憲手裂國書痛哭崔鳴吉曰此義士也扶而去之下城後入太白山中不返淸人以斥和拘留瀋陽三年而還
國朝人物志v3國事何以問爲怵以死無辭淸人相顧曰此人爽爾爽爾遂囚漢英等于瀋中而獄中四壁霜厚尺餘漢英日與尙憲唱酬積成巨帙尙憲題曰雪窖集居三載移拘灣上又歲餘始得釋漢英五歲通詩經十二歲能述作
國朝人物志v3庚午文科選翰苑歷銓郞性剛直在憲府有諫臣風丙子後淸陰金尙憲退居安東柳碩朴啓榮請治尙憲潔身負君之罪海昌上疏卞救尙憲淸議遂振因以此被謫盈德嚴攘大義嘗與外舅松郊李楘語曰國恥
國朝人物志v3出塞邊上讙言公等拜蹈敵庭觀察使洪公命耇馳啓請梟示境上於是三司及太學生交章請誅金文正公尙憲力言兩使不驗問奈何獨先斬之賴得末減公謫宣川德憲戍白馬城久之朝廷得都督沈世魁奏
國朝人物志v3字久之號文谷安東人文正公尙憲孫受家庭學最主於小學敬身一篇自少終日危坐未嘗箕踞肩背竦直不少跛倚以爲外面有些罅隙則心志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