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심희수(沈喜壽)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2ECD76CC218B1548X0
자(字)백구(伯懼)
호(號)일송(一松)
호(號)수뢰루인(水雷累人)
시호(諡號)문정(文貞)
생년1548(명종 3)
졸년1622(광해군 14)
시대조선중기
본관청송(靑松)
활동분야문신 > 문신
심건(沈鍵)
저서『일송집』

[상세내용]

심희수(沈喜壽)
1548년(명종 3)∼1622년(광해군 14).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자는 백구(伯懼), 호는 일송(一松) 혹은 수뢰루인(水雷累人).

정자(正字) 심건(沈鍵)의 아들이며, 인순왕후(仁順王后)의 종제이고, 이연경(李延慶)의 외손자이다.

노수신(盧守愼)의 문인으로, 1570년(선조 3) 진사시에 합격하여 성균관에 들어갔다. 이해 이황(李滉)이 죽자 성균관을 대표하여 장례에 참여하였고, 1572년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승문원(承文院)에 보임되고 1583년 호당(湖堂)에 뽑혀 사가독서(賜暇讀書)하였다.

1589년 헌납으로 있을 때 정여립(鄭汝立)의 옥사가 확대되는 것을 막으려다 조정과 뜻이 맞지 않아 한때 사임하였다가 이듬해 부응교가 되었다.

1591년에는 응교로서 선위사(宣慰使)가 되어 동래에서 일본사신을 맞았으며, 이어 간관이 되어 여러 차례 직언을 하다가 선조의 비위에 거슬려 사성으로 전직되었다.

1592년 임진왜란 때는 의주선조를 호종하여 도승지로 승진하고, 대사헌이 되었다. 때마침 명나라 조사(詔使)가 오자 다시 도승지가 되어 응접하니 그가 중국어를 잘 하였기 때문이다.

이해 겨울 형조판서를 거쳐 호조판서가 되어 명나라 경략(經略) 송응창(宋應昌)접반사(接伴使)가 되어 오래도록 서도(西道)에 있었으며, 송응창을 설득하여 관서의 기민구제(飢民救濟)에 진력하였다.

1599년 예문관제학예조판서를 거쳐 이조판서가 되고, 홍문관예문관대제학을 겸하고서 안으로는 사명(辭命)을 장악하고 밖으로는 접빈(接賓)에 힘썼다. 좌찬성우찬성 등을 거쳐 우의정에 올랐으며, 청백리(淸白吏)에 뽑혔다.

1606년 성균관에서 익명의 투서가 나왔는데, 선조가 이를 색출하기 위하여 유생들의 심문을 고집하자 그는 불가함을 말하여 뜻을 관철시켰으며, 그해 가을에 좌의정에 올랐다.

이듬해 선조의 생부인 덕흥대원군(德興大院君)을 추숭하려 하자 예전(禮典)에 어긋남을 강력하게 표하여 그 논의를 중지시켰다.

1607년 선조가 죽고 광해군이 즉위하자 다시 좌의정으로 입상(入相)하였다.

그러나 권신 이이첨(李爾瞻) 등이 국정을 장악하여 임해군(臨海君)을 극형에 처하려 하자 이의 부당함을 주장하였다.

1613년(광해군 5) 계축옥사가 일어나 부원군 김제남(金悌男)이 죽고 이이첨 등이 영창대군(永昌大君)을 옥사의 주모자로 몰아 해치려 하자 이항복(李恒福)이덕형(李德馨) 등과 강력하게 그 부당성을 논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이듬해에 영창대군의 처형은 인륜에 어긋나며, 그 가해자인 강화부사 정항(鄭沆)을 참수하라고 주장하다가 광해군의 노여움을 산 정온(鄭蘊)을 적극 변호하여 귀양에 그치게 하였다.

1615년 영돈녕부사(領敦寧府事)로 있을 때 명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온 허균(許筠)중국 야사(野史)에 나타난 종계문제(宗系問題)로 다투다가 궐외로 축출되고 이듬해 폐모론이 다시 일자 둔지산(屯之山)에 은거하여 『주역』을 읽고 시를 읊으며 자신의 지조를 지켰다.

1620년 판중추부사에 임명되었으나 끝내 나가지 않았다. 문장에 능하고 글씨를 잘 썼다.

저서로는 『일송집』이 있다. 상주봉암사(鳳巖祠)에 제향되었다. 시호는 문정(文貞)이다.

[참고문헌]

宣祖實錄
光海君日記
誌狀輯略
燃藜室記述
國朝榜目

[집필자]

차문섭(車文燮)

성명 : "심희수(沈喜壽)"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歷代總要v04在大王陵左岡初號裕陵後改穆陵行錄宣祖御製誌文沈喜壽
國朝編年v12沈喜壽別號
國朝編年v13仁追到議與恒福合共力爭始聽許論啓上從之卽遣人移咨遼東告急請兵○尹斗壽曰旣已請兵凡接待之策宜先講究遂以沈喜壽爲接待使先赴義州又以洪宗祿洪世恭沈友勝爲三路調度使分管粮餉○六月初五日上命廟堂議去就寅城府院君鄭澈首
國朝編年v14妄說皇朝豈有此論所撓願勿疑唯當益盡吾之所當爲者以解中國之憂可也旣而天使將至領相依例迎往於碧蹄驛都承旨沈喜壽同往天使邀領相語曰俺入瀋京將有新擧措成龍疑之而不敢深問達夜馳還詣闕具啓其語是日午天使到西郊上迎于慕華
國朝編年v15月遞大司憲黃愼執義李成祿掌令趙翊呂裕吉持平閔有慶司諫洪遵獻納李軫賓正言李卿雲金止南等職○特遞吏曹判書沈喜壽參判鄭錫湖參議辛慶晉特罷吏曹正郞李弘胄佐郞成晉善等職黃愼以大司憲避嫌啓曰伏見文景虎等疏盛言成渾構殺崔
國朝編年v16臣皆至永慶以嶺儒繼疏請其罪出城故最後至日已夕矣自內命大臣入聽遺敎李元翼李恒福李德馨尹承勳柳永慶奇自獻沈喜壽許頊韓應寅都承旨柳夢寅等入侍上當門而臥加龍袍拖玉帶於上氣絶已久德馨曰古禮不絶於婦人之手請屛婦人又曰當
國朝編年v17試取鄭文翼等十三人進士任叔英號疏菴於別試殿試對策效劉蕡策極陳時事語多觸諱直斥宮闈干▣戚里驕撗考官左相沈喜壽取之主親覽大怒曰擧人叔英別爲悖惡之語醜詆君上若取此人日後擧子預講不道之說以爲決科之利遂削其名於榜中三
紀年便攷v15昇遐于離宫慶運宫也在位四十一年春秋五十七 上疾危急命大臣入聴遺教李元翼李恒福孛徳馨尹承勲柳永慶奇自獻沈喜壽許頊韓應寅都承旨柳夢寅注書金時讓䓁入侍 上卧加龍袍王帶氣絶已久國朝記事曰藥飯自東宫来而 上暴薨初爾瞻
紀年便攷v15之絶島以㝎羣心時主疑忌集兵宫門尹孝全閔馨男崔有源䓁受柳希奮旨論珒謀逆議大臣李山海請流珍島李元翼李恒福沈喜壽李徳馨以為喬桐亦絶島旡關遠近依議辭連人高彥伯梁鶴瑞梁諿宗室雲原都正撓䓁杖死河大謙金千祐正刑錄翼社㓛臣
紀年便攷v15議政李元翼上疏曰獄起於至親之間以殿下天至之友愛其憂傷痛迫宜旡所不至但念大獄之下冤死必多豈不惻然右議政沈喜壽領府事李德馨大司憲鄭逑上疏請全恩鄭仁弘上劄曰逆魁珒罪入不道天討當加王法難貸奈何全恩之說發於其間此非護
紀年便攷v15沈喜壽
紀年便攷v15沈喜壽見相臣
紀年便攷v15沈喜壽見相臣文衡
紀年便攷v15沈喜壽
紀年便攷v19為非故四舘一會并為停舉今纉男䓁䟽獨舉臣名者必以臣為主論故也咫尺秉茟之地被人詆斥請退主良久曰勿辭李德馨沈喜壽退謂惺曰榻前啓達極為明白而但辭氣之間未免不平天顔多有不豫色實為君危之惺日憤慨不平禍福之来有不暇忘両相
紀年便攷v24元振海原州人文監司鐸子沈喜壽壻仁祖甲申登文科官止司諫善書法兄弟文科兄振河兵正
記聞v1沈守慶柳成龍李陽元崔興源壬辰以後尹斗壽兪泓鄭琢金應南李元翼李德馨李恒福李憲國金命元尹承勳柳永慶奇自獻沈喜壽許頊韓應寅○配享領相忠定公李浚慶判樞文純公李滉○主文朴淳思菴盧守愼蘇齋金貴榮東園李珥栗谷李山海鵝溪柳
記聞v1沈喜壽許葑洪履祥鄭昌衍李恒福李德馨李廷立吳億齡宣祖癸未大提學李珥漢陰行堂上後特命仍帶
野乘v1時金入對極言言路不廣宫禁不嚴上問不嚴何事於是羣小軰交通雅逕之事畢露不諱上不荅大臣以下無不悚然適故相沈喜壽宗伯李廷龍啓此事臣亦聞之恐惧不敢言某獨盡言可謂朝陽之鳴矣自是忤㫖除定州
野乘v1光海卽位改名琿光海初襲位以臨海君年長地逼積疑忌發兵衛官将士露者數月以諸公啓罷之以李元翼李恒福沈喜壽為三公仁弘以判召還慶全爾瞻只復官爵安置永慶于慶興并竄金大来李弘老李效元成浚耉䓁于絶島置
野乘v1通逆謀母子之道絶矣䑓官鄭造尹訒䓁皆附偉卿與丁好寛䓁交章請杀永昌三司百僚請李元翼李恒福李德馨沈喜壽䓁冐死連剳請盡孝金恩
野乘v1目入於先王庙庭頃者造訒好寛首發廢母殺弟之議欲全母子之恩取此三人投渚四裔䟽入光海大怒下獄安置大静沈喜壽鄭昌衍交章申救不得公居栫棘中不見天日者十年時上䟽請殺藴者進士邢孝甲也陳䟽請救而被罪者進士宋興周前
歷代帝王紀年v01李德馨明甫漢陰領相沈喜壽伯懼一松右相盧守愼寡悔蘇齋領相尙州人
國朝捷錄v01沈喜壽
國朝捷錄v01三典尹根壽字子固月汀府院君洪聖民字時可號拙翁吏判元燮九代祖監司春卿子壬辰起復辭文貞公李恒福見相錄再典沈喜壽見相錄李廷龜見相錄再典李好閔字好彦五峯府院君延安人國柱子壬辰以吏郞行朝啓奏皆出其手儐顧天畯崔廷鐽柳根
國朝捷錄v01相金瞻大瞻弘度子誠立父花塘校理四世湖堂秀臣八代祖李浩潑弟號南溪兄及八十老母同死汝立獄右金貴榮又選己卯沈喜壽見相鄭昌衍見相洪履祥字元禮慕堂修子李恒福見相李德馨見相李廷立溪隱時茂子一門五人壬辰殉節遁村后吏參栗谷
文獻攷略v1號皆不過六字懿仁平日有尊號賓天後再上尊號與懿仁之謚通是六字今若又上幾字字數軼過先后又開累朝所無之例沈喜壽以爲旣有生時尊號不宜復加李廷龜謂王后祔廟時例上四字號宣祖雖有再上尊號而旣上諡號則獨於懿仁豈可以有生
仁祖大王國恤謄錄n1-1책衣行禮之意引避辭職領議政李 元翼左議政李恒福右議政沈喜壽議山陵行事旣 不論衰服執義封墓自是禮文白袍行禮恐無
靑邱風雲v1憲號淸陰李廷龜號月沙李德馨號漢陰李恒福號白沙后孫光佐五代孫宗城申欽號象村洪鳳瑞號鶴谷沈喜壽號一松尹承勳號靑峯白光勳號玉峯李之菡號土亭鄭逑號寒岡李慶全號石樓林悌號白湖韓應寅號百
東國續修文獻錄v1輔從孫文領相辛亥謫後伸柳永慶字善汝號春湖全州人文領相奇自獻字子靖號萬全堂幸州人文右相賜死後伸沈喜壽字伯懼號一松連源后文左相文貞許頊字公愼號負暄琮玄孫文左相貞穆韓應寅字春卿號百拙齋確后文右
東國續修文獻錄v1典李陽元見相湖堂柳成龍見相湖堂李德馨見相湖堂三典黃廷彧景文芝川長水人兵判洪聖民見湖堂再典尹根壽見湖堂沈喜壽見相湖堂李恒福見相湖堂再典李好閔見湖堂李廷龜見相再典光海時李爾瞻見湖堂昏朝凶魁柳根見湖堂
東國續修文獻錄v1沈喜壽伯懼一松正字鍵子靑松人左相洪履祥元禮慕堂司直修子豐山人大憲鄭昌衍景眞水竹左相惟吉子東萊人左相李恒福子
東國續修文獻錄v1書洪進希古南陽人七十六吏判李希得德夫七十四判書李準平卿七十一參贊李元翼見相八十八柳根見典文七十九贊成沈喜壽見相七十二鄭崑壽汝仁淸州人七十八判書李直彥君美八十四贊成金晬子卬安東人八十三判中李軸子任全州人七十七
國朝人物志v2二先生只以擯斥牛栗者爲小人以尊崇牛栗者爲君子論議奮發至於按治親舊多拒門不見獨一松沈喜壽往候之以詩慰之有狂言滿紙皆忠膽鼎鑊前頭戴聖明之句己丑夏持斧伏闕極言朝廷得失且請明聖學省刑罰
國朝人物志v2旣而錡坐盜當刑其黨從犴中上變告與錡謀大逆冀以逭死蓋光海朝多此獄錡誣服百祥當坐死參鞫大臣沈喜壽言于光海曰百祥責子書在錡囊中其不預謀明矣且德嬪同氣殺之可矜光海特許減死竄龜城死于
國朝人物志v2堧玄孫癸卯文科以白沙李恒福薦拜宣川府使鑿山通渠灌茭茅爲良田民名其渠如鄭白相臣沈喜壽薦爲從事桐溪鄭蘊謫濟州大夏素無一日雅握手流涕贐行甚厚嘗草疏力陳不可讎母之義季父泣而挽
國朝人物志v3卯生員庚辰文科戊申重試有將帥才自博士超遷兵使光海時爾瞻使死囚誣引被逮廷問相國沈喜壽極言黃某以孝聞豈有孝而不忠者乎迺得釋仁祖丁卯爲京畿號召使畀以倡義之任官至
國朝人物志v3史局壬辰奉母逃亂山谷從義兵將朴春茂募得千餘人擊逐倭兵尋赴行在上疏請還都收拾人心一松沈喜壽曰亂後無此議論鰲城李恒福薦才上命受兵法于明將駱尙志尙志曰李某奇才願上大
國朝人物志v3字汝承炯信兄鰲城李恒福一松沈喜壽前後掌試見君歎曰宗室中英才一松邀致君勸以爲已之學君自此益致力君旁通諸技尤善圍棋年十二三與德
國朝人物志v3矣永昌爲鄭沆所殺蘊以弼善上疏極言疏入廷臣莫不失色主大怒論以大逆鄭昌衍爭之李元翼沈喜壽皆以爲不可殺仁弘上箚以爲其言不道必無赦主大悅欲廷鞫奇自獻曰蘊狂妄無他罪不可鞫主怒猶按問
國朝人物志v3爲意月沙李廷龜薦授童蒙敎官不就辛亥別試對策數千言直斥宮闈干政戚里驕橫考官沈喜壽奇之欲置第一同列爭之置諸丙科之末光海主聞之大怒峻責試官命削其名領相李德馨等入對切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