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남효온(南孝溫)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B0A8D6A8C628B1454X0
자(字)백공(伯恭)
호(號)추강(秋江)
호(號)행우(杏雨)
호(號)최락당(最樂堂)
호(號)벽사(碧沙)
시호(諡號)문정(文貞)
생년1454(단종 2)
졸년1492(성종 23)
시대조선전기
본관의령(宜寧)
활동분야충효열 > 절신
남전(南恮)
5대조남재(南在)

[상세내용]

남효온(南孝溫)
1454년(단종 2)∼1492년(성종 23). 조선 단종 때의 문신으로 생육신(生六臣)의 한 사람. 본관은 의령(宜寧). 자는 백공(伯恭), 호는 추강(秋江)행우(杏雨)최락당(最樂堂)벽사(碧沙).

영의정 남재(南在)의 5대손이고, 생원 남전(南恮)의 아들이다.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김굉필(金宏弼)정여창(鄭汝昌) 등과 함께 수학했다.
1. 성품, 25세에 상소
인물됨이 영욕을 초탈하고 지향이 고상하여 세상의 사물에 얽매이지 않았으며, 김종직이 존경하여 이름을 부르지 않고 반드시 ‘우리 추강’이라 했다. 주계정(朱溪正)심원(深源)안응세(安應世) 등과 친교를 맺었다.

1478년(성종 9) 성종이 우토(雨土)의 재난으로 군신(群臣)들의 직언을 구하자, 25세의 나이로 장문의 상소를 올렸다. 그 내용은, 첫째 남녀의 혼인을 제때에 치르도록 할 것, 둘째 지방수령을 신중히 선택, 임명하여 민폐의 제거에 힘쓸 것, 셋째 국가의 인재등용을 신중히 하고 산림(山林)의 유일(遺逸)도 등용할 것, 넷째 궁중의 모리기관(謀利機關)인 내수사(內需司)를 혁파할 것, 다섯째 불교와 무당을 배척하여 사회를 정화할 것, 여섯째 학교교육을 진작시킬 것, 일곱째 왕이 몸소 효제(孝悌)에 돈독하고 절검(節儉)하여 풍속을 바로잡을 것, 여덟째 문종의 비 현덕왕후(顯德王后)의 능인 소릉(昭陵)을 복위할 것 등이었다.

소릉복위는 세조 즉위 사실 자체와 그로 인하여 배출된 공신의 명분을 직접 부정한 것으로 당시로서는 매우 모험적인 것이기 때문에 훈구파(勳舊派)의 심한 반발을 사서 도승지 임사홍(任士洪), 영의정 정창손(鄭昌孫) 등은 국문할 것을 주장했다. 이 일로 인하여 정부 당로자(當路者)들로부터 미움을 받게 되고, 세상사람들도 그를 미친 선비로 지목하였다.
2. 처사(處士)생활
1480년 어머니의 명령에 따라 마지못하여 생원시에 응시, 합격하였으나 그뒤 다시 과거에 나가지 않았다. 김시습(金時習)이 세상의 도의를 위해 계획을 세우도록 권하였으나, 소릉이 복위된 뒤에 과거를 보러 나갈 것임을 말하였다.

소릉복위 주장은 세조를 옹립한 정난공신(靖難功臣)들이 당시 집권하고 있었던 시기이기 때문에 용납되지 않았고, 다른 명목으로 박해하려 하였다.

그뒤 벼슬을 단념하고 세상을 흘겨보면서 가끔 바른말과 과격한 의론으로써 당시의 기휘(忌諱)에 저촉함을 조금도 꺼리지 않았다. 때로는 무악(毋岳)에 올라가 통곡하기도 하고, 남포(南浦)에서 낚시질을 하기도 하며 신영희(辛永禧)홍유손(洪裕孫) 등과 죽림거사(竹林居士)로 맺어 술과 시로써 마음속의 울분을 달래었다. 산수를 좋아하여 국내의 명승지에 그의 발자취가 이르지 않은 곳이 없었다.

한편으로 “해와 달은 머리 위에 환하게 비치고, 귀신은 내 옆에 내려다본다.”는 경심재명(敬心齋銘)을 지어 스스로 깨우치기도 하였다. 당시의 기휘에 속하였던 박팽년(朴彭年)성삼문(成三問)하위지(河緯地)이개(李塏)유성원(柳誠源)유응부(兪應孚) 등 6인이 단종을 위하여 사절(死節)한 사실을 『육신전(六臣傳)』이라는 이름으로 저술하였다.

그의 문인들이 장차 큰 화를 당할까 두려워 말렸지만 죽는 것이 두려워 충신의 명성을 소멸시킬 수 없다 하여 『육신전』을 세상에 펴냈다.
3. 사후상황 저술
죽은 뒤 1498년(연산군 4) 무오사화 때 김종직의 문인으로 고담궤설(高談詭說)로써 시국을 비방하였다고 그 아들을 국문할 것을 청하였다.

이듬해에는 윤필상(尹弼商) 등이 김종직을 미워한 나머지 그 문인이라는 이유로 미워하여 시문을 인출할 수 없다고 주장하였다.

1504년 갑자사화 때에는 소릉복위를 상소한 것을 난신(亂臣)의 예로 규정하여 부관참시(剖棺斬屍)당하였다.

1511년(중종 6) 참찬관(參贊官) 이세인(李世仁)의 건의에 의하여 성현(成俔)유효인(兪孝仁)김시습 등의 문집과 함께 비로소 간행하도록 허가를 받았다.

1513년 소릉복위가 실현되자 따라서 신원되어 좌승지에 추증되었고, 1782년(정조 6) 다시 이조판서에 추증되었다. 세상에서는 원호(元昊)이맹전(李孟專)김시습조려(趙旅)성담수(成聃壽) 등과 함께 생육신으로 불렀다. 고양문봉서원(文峰書院), 장흥예양서원(汭陽書院), 함안서산서원(西山書院), 영월창절사(彰節祠), 의령향사(鄕祠) 등에 제향되었다.

저서로는 『추강집』『추강냉화(秋江冷話)』『사우명행록(師友名行錄)』『귀신론(鬼神論)』 등이 있다. 시호는 문정(文貞)이다.

[참고문헌]

端宗實錄
世祖實錄
成宗實錄
燕山君日記
中宗實錄
燃藜室記述
秋江集

[집필자]

이재호(李載浩)

호 : "남추강(南秋江)"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國朝編年v01老心事者蓋難言也夢囈集○玄陵之弑般若之投首尾相銜事端旁午非一人一事遷就其辭之比聖朝之興亦非專藉此事以南秋江之剛正好議論非知而不敢言者時代不遠及見前輩知之必詳其詩乃有異姓王之語與訥齋冲菴之意同縱謂史不可盡信三
國朝編年v03南秋江所撰本傳
國朝編年v05卿所爲無所不可者乃以光廟己卯登第官至伐氷而顧以此等語形於吟咏豫讓所謂爲人臣懷二心者不亦可愧歟明齋集○南秋江與佔畢俱登魯山朝進士光廟受命後秋江永棄科業佔畢則發身光廟朝爲其有老母也時議多短之佔畢前後出處有些未瑩
國朝捷錄v01字止叔號松塘杞溪人丁亥赴得會典來再參勳壬辰拜忠穆公生員綰子南秋江外曾孫五道方伯甲申生孫伯曾 文大憲應煥七代祖
臥遊錄n1-13책松京錄南秋江乙巳九月初七日乙卯子容正中匹馬短童訪余于開城府板門
臥遊錄n1-13책遊佳殊窟記南秋江佳殊窟在祥原郡治北距十五里窟一口而八穴八其內則奇奇
臥遊錄n1-13책遊天王峯記南秋江智異山在南海濱最秀於衆山其中上頂曰天王峯峯勢北走止
國朝人物志v1成宗壬辰文科自執義出爲潭陽府使以治最陞爲承旨未及赴召而卒民皆悲痛不忘其惠忌日致祭南秋江記文云勤身薄俸莅事淸修爲政寬簡吏畏民懷歸葬之日閭巷哭聲相接士民相議歲歲忌祭聚米設齋以祈冥福
國朝人物志v1紀年人有請其先祖墓碣其文乃李季甸所撰先生點閱良久曰子識李季甸所爲乎對曰不知也先生曰南秋江所著許詡傳載此人之事遂不復言其人悟其意不敢復請行狀在白岳下黃昏獨坐忽有一物來立屋隅
國朝人物志v1暄堂金宏弼嘗謂曰觀今士類似東漢之末朝夕禍起請君遠遁永禧忽引去稷山郡斜山下與南秋江諸人結爲竹林羽士文章行義爲一時領袖大東韻玉三從兄世璉字廷器郡守禮聃子燕山
庚戌日記n1책臣誰也祖主曰 趙漁溪 旅 金東峯時習李耕隱韓釣隱 南秋江成文斗 聃壽 是亦端宗大王時人也世祖 大王廢端宗大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