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남효온(南孝溫)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B0A8D6A8C628B1454X0
자(字)백공(伯恭)
호(號)추강(秋江)
호(號)행우(杏雨)
호(號)최락당(最樂堂)
호(號)벽사(碧沙)
시호(諡號)문정(文貞)
생년1454(단종 2)
졸년1492(성종 23)
시대조선전기
본관의령(宜寧)
활동분야충효열 > 절신
남전(南恮)
5대조남재(南在)

[상세내용]

남효온(南孝溫)
1454년(단종 2)∼1492년(성종 23). 조선 단종 때의 문신으로 생육신(生六臣)의 한 사람. 본관은 의령(宜寧). 자는 백공(伯恭), 호는 추강(秋江)행우(杏雨)최락당(最樂堂)벽사(碧沙).

영의정 남재(南在)의 5대손이고, 생원 남전(南恮)의 아들이다.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김굉필(金宏弼)정여창(鄭汝昌) 등과 함께 수학했다.
1. 성품, 25세에 상소
인물됨이 영욕을 초탈하고 지향이 고상하여 세상의 사물에 얽매이지 않았으며, 김종직이 존경하여 이름을 부르지 않고 반드시 ‘우리 추강’이라 했다. 주계정(朱溪正)심원(深源)안응세(安應世) 등과 친교를 맺었다.

1478년(성종 9) 성종이 우토(雨土)의 재난으로 군신(群臣)들의 직언을 구하자, 25세의 나이로 장문의 상소를 올렸다. 그 내용은, 첫째 남녀의 혼인을 제때에 치르도록 할 것, 둘째 지방수령을 신중히 선택, 임명하여 민폐의 제거에 힘쓸 것, 셋째 국가의 인재등용을 신중히 하고 산림(山林)의 유일(遺逸)도 등용할 것, 넷째 궁중의 모리기관(謀利機關)인 내수사(內需司)를 혁파할 것, 다섯째 불교와 무당을 배척하여 사회를 정화할 것, 여섯째 학교교육을 진작시킬 것, 일곱째 왕이 몸소 효제(孝悌)에 돈독하고 절검(節儉)하여 풍속을 바로잡을 것, 여덟째 문종의 비 현덕왕후(顯德王后)의 능인 소릉(昭陵)을 복위할 것 등이었다.

소릉복위는 세조 즉위 사실 자체와 그로 인하여 배출된 공신의 명분을 직접 부정한 것으로 당시로서는 매우 모험적인 것이기 때문에 훈구파(勳舊派)의 심한 반발을 사서 도승지 임사홍(任士洪), 영의정 정창손(鄭昌孫) 등은 국문할 것을 주장했다. 이 일로 인하여 정부 당로자(當路者)들로부터 미움을 받게 되고, 세상사람들도 그를 미친 선비로 지목하였다.
2. 처사(處士)생활
1480년 어머니의 명령에 따라 마지못하여 생원시에 응시, 합격하였으나 그뒤 다시 과거에 나가지 않았다. 김시습(金時習)이 세상의 도의를 위해 계획을 세우도록 권하였으나, 소릉이 복위된 뒤에 과거를 보러 나갈 것임을 말하였다.

소릉복위 주장은 세조를 옹립한 정난공신(靖難功臣)들이 당시 집권하고 있었던 시기이기 때문에 용납되지 않았고, 다른 명목으로 박해하려 하였다.

그뒤 벼슬을 단념하고 세상을 흘겨보면서 가끔 바른말과 과격한 의론으로써 당시의 기휘(忌諱)에 저촉함을 조금도 꺼리지 않았다. 때로는 무악(毋岳)에 올라가 통곡하기도 하고, 남포(南浦)에서 낚시질을 하기도 하며 신영희(辛永禧)홍유손(洪裕孫) 등과 죽림거사(竹林居士)로 맺어 술과 시로써 마음속의 울분을 달래었다. 산수를 좋아하여 국내의 명승지에 그의 발자취가 이르지 않은 곳이 없었다.

한편으로 “해와 달은 머리 위에 환하게 비치고, 귀신은 내 옆에 내려다본다.”는 경심재명(敬心齋銘)을 지어 스스로 깨우치기도 하였다. 당시의 기휘에 속하였던 박팽년(朴彭年)성삼문(成三問)하위지(河緯地)이개(李塏)유성원(柳誠源)유응부(兪應孚) 등 6인이 단종을 위하여 사절(死節)한 사실을 『육신전(六臣傳)』이라는 이름으로 저술하였다.

그의 문인들이 장차 큰 화를 당할까 두려워 말렸지만 죽는 것이 두려워 충신의 명성을 소멸시킬 수 없다 하여 『육신전』을 세상에 펴냈다.
3. 사후상황 저술
죽은 뒤 1498년(연산군 4) 무오사화 때 김종직의 문인으로 고담궤설(高談詭說)로써 시국을 비방하였다고 그 아들을 국문할 것을 청하였다.

이듬해에는 윤필상(尹弼商) 등이 김종직을 미워한 나머지 그 문인이라는 이유로 미워하여 시문을 인출할 수 없다고 주장하였다.

1504년 갑자사화 때에는 소릉복위를 상소한 것을 난신(亂臣)의 예로 규정하여 부관참시(剖棺斬屍)당하였다.

1511년(중종 6) 참찬관(參贊官) 이세인(李世仁)의 건의에 의하여 성현(成俔)유효인(兪孝仁)김시습 등의 문집과 함께 비로소 간행하도록 허가를 받았다.

1513년 소릉복위가 실현되자 따라서 신원되어 좌승지에 추증되었고, 1782년(정조 6) 다시 이조판서에 추증되었다. 세상에서는 원호(元昊)이맹전(李孟專)김시습조려(趙旅)성담수(成聃壽) 등과 함께 생육신으로 불렀다. 고양문봉서원(文峰書院), 장흥예양서원(汭陽書院), 함안서산서원(西山書院), 영월창절사(彰節祠), 의령향사(鄕祠) 등에 제향되었다.

저서로는 『추강집』『추강냉화(秋江冷話)』『사우명행록(師友名行錄)』『귀신론(鬼神論)』 등이 있다. 시호는 문정(文貞)이다.

[참고문헌]

端宗實錄
世祖實錄
成宗實錄
燕山君日記
中宗實錄
燃藜室記述
秋江集

[집필자]

이재호(李載浩)

성명 : "남효온(南孝溫)"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國朝編年v03南孝溫
國朝編年v04年用王荊公歐陽公集字鑄之其體小於庚子字而尤精名曰辛卯字又得中朝新板綱目字鑄之名曰癸丑字東閣雜記○布衣南孝溫請復昭陵上疏略曰臣謹按我世祖惠莊大王以天錫智勇挾日月之明得天人之助廓淸大難化家爲國宗社幾危而復安斯民
國朝編年v05方學者隨其器之大小充然有得而歸一經品題便成佳士一時道學文章之士皆出其門如金宏弼鄭汝昌金馹孫兪好仁曺偉南孝溫洪裕孫李宗準諸賢最拔萃其餘成就者亦多官至刑判壬子卒年六十諡文簡名臣錄國朝記事合錄堂命詞臣作記使左承旨
國朝編年v06愼謀逆伏誅其父專已追廢爲庶人且魯山君得罪宗社已降封君其母不宜尙保名位請追廢爲庶人改葬上從之成宗朝儒生南孝溫請復昭陵上疏傳曰今觀其時之言至爲詳密祖宗朝久事似不可輕易令政府府院君六曹參判以上漢城府堂上會議以啓丙
國朝編年v10則雖欲遲留其可得乎固將退也聞許其退而乃不退則是以去就爲市道也○朴啓賢於經席因論成三問之忠啓賢曰六臣傳南孝溫所著願上取覽則可知其詳上取六臣傳覽之驚憤下敎曰言多謬妄誣辱先祖子將搜探而悉焚之且治偶語其傳者之罪賴領
國朝彙鑑v1著作正字等官凡二十員其副提學以下皆兼經筵知製敎而藝文館減副學至修撰其奉敎以下八員專掌記注詞命之事幼學南孝溫上疏陳八條一正婚姻二擇守令三謹用舍四革內司五闢巫佛六興學校七正風俗八復昭陵其論謹用舍曰殿下引見慶延收
國朝彙鑑v1子也叔滋受業於吉再再受業於鄭夢周學有淵源宗直文章經術得之家庭爲一世冕四方學者出其門下甚多金宏弼鄭汝昌南孝溫金馹孫李黿乃其尤也上以貞熹王后當國家危疑之際參決庶政社稷賴安欲依大王例行三年之喪問議于政府六曹弘文館
紀年便攷v7南孝溫簡曾孫佺子端宗甲戌生字伯恭號秋江又杏雨又碧沙遊金宗直門宗直不敢名必曰吾秋江篤志好古有志節與金宏弼鄭汝
紀年便攷v7南孝溫
紀年便攷v7文宗朝拜司饔副正太學訓導端宗遜位後與再従祖謚胡戾念義隐居仁王山下及昇遐挈家遐舉于鳳山高風峻節與金時習南孝溫齊名甞作詩曰木因直伐不嫌直蘭以香燒尙守香成宗壬寅卒年四十九
紀年便攷v7安桑鷄孟聃子世宗外孫世宗錫名曰桑鷄號田隐以王室至親不立於世祖之朝屏居楮子島與金宗直南孝溫相唱酬與従弟應世同志宗直文集中有田隐四時詩官止都正云六世孫廷燮見下八世孫允中見下
紀年便攷v9曰金守溫誠孔門之罪人不當與於斯禮請黜之乃命守溫勿與於禮守溫甞上書自願出家成佛逃之山寺故臺言如此○㓜學南孝溫上䟽請復 昭陵䟽畧曰世祖大王廓清大難化家為國不意丙子餘禍 昭陵見廢二十餘年寃魂無依臣不知文宗在天之靈
紀年便攷v9若嚴重內實陰邪好傾陷人嗾諌官劾去玄碩圭規取都承旨又羅織南孝溫朱溪君深源之罪將欲䋄打士類公議齊憤至是副提學兪鎭奉教表沼沫䓁上䟽言近者雨土前史稱蔽賢及不肖食祿之應都
紀年便攷v9尤也有孝行學襲家庭為世儒宗奬進後學多有成就一經品題便成佳士金宏弼鄭汝昌以道學名金馹孫兪好仁曹偉李宗凖南孝溫洪裕孫以文章顯守職莅民居簡御煩待人接物渾然氣和苟非其義一介不取為吏參時成宗賜金帶曰郷為近侍久矣予知卿
紀年便攷v9許誡倜子世祖己卯文科能文章解音律退居豊德村墅常騎牛䉴笠釣魚為樂成宗朝屡召為承旨副學皆未久辭還南孝溫甞評曰奇士也為人磊落下覊恬於勢利有許氏風烈云
紀年便攷v9辛永禧碩相孫縣監壽聃子字德優號安亭金宗直門人中進士與金宏弼南孝溫友善知士禍將作隐居不仕文章行誼為世所推成俔以永禧詩謂出入蘓黃之門詩曰打麥聲高酒滿盆老人無事卧荒村呼童
東國歷代總目v02追罪南孝溫○世祖朝廢昭陵卽文宗王妃陵也
震史記略v1試○命造密符分授申叔舟韓明澮等以憑宣召以防機變○琉球國王尙德遣上官人信重請爵授二品職○十一月布衣南孝溫上疏陳八條一正婚姻二擇守三謹用舍四革內司五辟巫佛六興學校七正風俗八復昭陵曰世祖大王廓淸大亂化家爲國
震史記略v1洪請罷內佛堂頗有聲稱上亦嚮用士洪外若嚴重內實陰邪好以機術傾陷人嘗嗾臺官劾玄碩圭窺取都承旨又羅織南孝溫朱溪正之罪欲網打士類以媚勳戚公議齊憤副提學兪鎭應敎蔡壽安琛奉敎表㳂洙上疏曰臣等伏聞士洪密啓所言皆奸
震史記略v1朱溪君深源初深源明經有行前後五疏論陳治道又廷論姑母夫任士洪之奸竟被讒殺○十月大殺戊午黨人○追論南孝溫復昭陵罪剖棺斬屍○追論廢妃時獻議諸臣及復位時忤旨者凡百餘人不論存歿幷置極刑以尹弼啇李克均李世佐韓
羹墻錄v1也君臣之分已定非魯閔僖之比也遂躋於睿宗之上國朝寶鑑常訓輯編中宗八年癸酉追祔顯德王后于太廟成廟朝儒生南孝溫上疏請復昭陵不報至是筵臣有言文宗室無配位大違宗廟之禮上命考實錄以成宗有意未果難愼不卽決會雷震太廟庭
見睫錄v1成廟朝儒生南孝溫疏請復昭陵不報中廟癸酉雷震太廟木上命復陵都監堀尋移兆而玉匣無所見是夜監官夢后憑几帳儀衛召官勞之覺而
記聞v1山號昭陵光廟丙子成三問之亂后之母崔氏及弟權自新被極刑因再廢后榟宮移厝水濱居民僅識其處成廟朝布衣南孝溫上疏請復位時人指以爲枉至中廟癸酉兩司及玉堂廷爭踰時得允復位號如初卜吉遷葬于顯陵同塋異原提調宋軼金應箕
歷代帝王紀年v01秋江南孝溫字伯恭號云云宜寧人早喪父事母以孝聞爲人沖澹弘毅胷次灑落無一黑塵氣嘗受業於佔畢齋凡稱名勝之地足跡殆將遍
國朝捷錄v01敀安東權節沈璿元昊生六臣霧巷直學居原州坐必東向端宗喪心喪三年趙旅生六臣漁溪處士咸安有書院與元昊幷亨享南孝溫生六臣秋江金時習生六臣東峯成壽聃生六臣文斗宋石同嚴興道寧越官吏殮葬端宗
靑邱風雲v1直號佔畢齋字季昌燕山戊午以弔義帝文事追罪剖棺柳洵號老圃堂申叔舟盧公弼號菊逸齋金孟性號止止堂南孝溫號秋江成宗朝上疏請復昭陵不允至燕山甲子追罪剖尸金馹孫號濯纓燕山戊午被禍佔畢門人故也修史錄柳
韓史綮v1領中樞府事金守溫嘗爲文有願出家成佛之語此孔子之罪人也而今日預太學之宴其可乎王命黜守溫○嶺南布衣南孝溫慨文宗妃之廢上疏言曰昭陵見廢二十餘年冤魂無依臣不知文宗在天之靈肯獨享禴祠烝嘗哉縱曰已廢之主不當復
韓史綮v1壬子二十三年明孝宗弘治四年成均進士南孝溫卒孝溫旣廢居惟著文章以自娛嘗痛成三問等六忠臣之事爲之作傳門人曰如禍何孝溫曰吾豈惜一死終沒大賢之名
韓史綮v1癸酉八年明武宗正德八年春正月以金應箕爲右議政尋罷應箕澍之玄孫也○先是大臣用南孝溫遺議請復文宗妃位王難愼未決三月雷震宗廟庭樹王感之令群臣各陳所懷領中樞府事金應箕禮曹判書申用漑等皆以
國朝人物志v1笑破棄之或與市童游一日見領議政鄭昌孫過市大呼曰彼漢宜休人多危之絶交宗室秀川副正貞恩南孝溫安應世洪裕孫等終始不渝未幾妻歿復還山作頭陀形遊江陵襄陽間柳自漢宰襄陽待以禮
國朝人物志v1末加贈吏曹判書諡靖節莊陵志咸安郡西山書院祀趙旅元昊金時習李孟專成聃壽南孝溫右六賢世稱生六臣也
國朝人物志v1之後世祖壬午進士文科丙戌重試拔英科歷翰林官至大司憲有文名成宗朝任士洪論南孝溫復昭陵之罪瓊仝與焉大東韻玉任士洪字士毅豐川人贊成元濬子孝寧大君
國朝人物志v1爲一時儒宗誨人不倦知名之士多出其門金宏弼鄭汝昌以道德鳴金馹孫兪好仁曺偉李宗準南孝溫洪裕孫以文章顯其餘指授蹊徑以政事言語成名者甚衆成宗重之累官至刑曹判書築書室于金山
國朝人物志v1晉時遺風搆別墅于楊花渡具小艇漁網自刺漁船邀詩人騷客日賦詩自號西湖鷗鷺社人有俗客至自棹必避南孝溫詩所謂王孫解刺舟是也燕山戊午杖流遠地甲子七父子同日賜死戊午黨籍
國朝人物志v1字而直茂豐之弟英邁有氣槪解音律善琴自號西湖主人日與諸名士觴詠南孝溫有西湖主人琴賦燕山甲子與兄文淵百源弟而悅公擇公幹及其父牛山君七父子一時
國朝人物志v1戶曹佐郞爲人堂堂有死節可以托六尺之孤燕山主戊午以文忠諡畢齋杖流遠地甲子處斬南孝溫嘗曰益齋之後朴彭年之外孫二家之賢萃于二人中宗改玉贈都承旨戊午黨籍兄鼇字
國朝人物志v1科文科韓謹薦目曰性度堅確力於檢身孝行純篤才行卓異氣度毅然有古人風儀浣常以小學律身秋江南孝溫一見逆旅遂爲忘年友戊寅擧以卓行拜司紙至爲吏曹正郞及禍作浣廢斥家居後謫玄風而卒人物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