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손순효(孫舜孝)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190C21CD6A8B1427X0
자(字)경보(敬甫)
호(號)칠휴거사(七休居士)
시호(諡號)문정(文貞)
생년1427(세종 9)
졸년1497(연산군 3)
시대조선전기
본관평해(平海)
활동분야문신 > 문신
손밀(孫密)
외조부조온보(趙溫寶)

[상세내용]

손순효(孫舜孝)
1427년(세종 9)∼1497년(연산군 3). 조선 초기의 문신. 본관은 평해(平海). 자는 경보(敬甫), 호는 물재(勿齋)칠휴거사(七休居士).

부친은 군수 손밀(孫密)이며, 모친은 정선군사(旌善郡事) 조온보(趙溫寶)의 딸이다.

1451년(문종 1) 생원시에 합격하고 1453년(단종 1) 증광문과에 을과로, 1457년(세조 3)에는 감찰로 문과중시에 정과로 각각 급제하였다. 이어 경창부승에 발탁되고, 병조좌랑형조정랑집의전한 등을 역임하였다.

1471년(성종 2) 17조의 시무책을 올려 채택되어 형조참의에 특진되었으나 직무상 과오가 있다 하여 상호군으로 전임되었다.

그뒤 장례원판결사가 되어 소송문제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처리하였으며, 1475년 부제학을 거쳐 동부승지우부승지좌승지를 지내고, 1478년 도승지가 되었다. 이어 강원도관찰사로 나가 선정을 베풀고, 호조참판형조참판을 지내면서 왕비 윤씨(尹氏)의 폐위를 반대하였다.

1480년 지중추부사정조사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온 뒤 공조판서경기도관찰사대사헌한성부판윤병조판서 등을 역임하였다.

1485년 임사홍(任士洪)을 두둔하다가 왕의 비위에 거슬려 경상도관찰사로 나아가 연해안 방어책을 강구하였다. 이어 우찬성을 거쳐 판중추부사를 지냈으며, 고령으로 사퇴를 청하였으나 허락받지 못하고 궤장(几杖)을 하사받았다.

성리학에 조예가 깊었고, 특히 『중용』『대학』『역경』 등에 정통하였으며, 문장이 뛰어나고 대나무 그림에 능하였다. 『세조실록』 편찬에 참여하였고, 찬서(撰書)로는 『식료찬요(食療撰要)』가 있다. 시호는 문정(文貞)이다.

[참고문헌]

世祖實錄
成宗實錄
國朝榜目
國朝人物考

[집필자]

최완기(崔完基)

명 : "순효(舜孝)"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國朝編年v04性情之說問李坡上曰禮判若失對當罰大杯坡曰性情無心李克基曰心統性情焉有無心而無性情乎坡失對上曰宜罰大杯舜孝曰元首明哉股肱良哉庶事康哉元自叢挫股肱惰哉庶事惰哉此唐虞之賡歌上曰工判其亦論忠恕之道舜孝曰中心爲忠如
紀年便攷v9寘酒仁政殿酒半舜孝知燕山不克負荷登御榻撫床曰此座可惜 上曰吾亦非不知之而不忍廢也舜孝曰女謁太盛言語未廣上俯與語臺諌啓曰人臣登御床大不敬又附耳語大無禮宻啓何事 上曰以予不聽諌也且戒女色
紀年便攷v9寘酒仁政殿酒半舜孝知燕山不克負荷登御榻撫床曰此座可惜 上曰吾亦非不知之而不忍廢也舜孝曰女謁太盛言語未廣上俯與語臺諌啓曰
紀年便攷v9主於忠信好飮酒無過三盃際遇 成廟殺尹妃時以監司在外上疏諌之為嶺伯過孝烈門閭必下馬再拜鄭夢周祠堂在永川舜孝過境馬上醉睡昏昏一老翁鬚髮皤如衣冠偉然自言圃隐且云所居頹廢風雨不庇舜孝驚詢故老得其遺址與郡人營之堂成
紀年便攷v9門閭必下馬再拜鄭夢周祠堂在永川舜孝過境馬上醉睡昏昏一老翁鬚髮皤如衣冠偉然自言圃隐且云所居頹廢風雨不庇舜孝驚詢故老得其遺址與郡人營之堂成躬奠以落之就金烏山下吉再故居為文以奠知燕山不克負荷以東伯忽入朝醉至榻前
郯述v03舜孝子八十
國朝人物志v1公可招致講書以觀其器文宗辛未生員壯元端宗癸酉文科第二世祖丁丑重試成宗朝舜孝論時政十七事上嘉納上廢妃尹氏舜孝上疏極言不納陞資憲奉使如明還拜京畿監司
國朝人物志v1字義之號栗亭廣州人屢擧不第學術精粹成宗朝贊成孫舜孝以經明行修薦之起家爲栗峯察訪入對講筵極論性理之原天地日月星辰之度數纚纚如貫珠應對如流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