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순효(孫舜孝)
[요약정보]
UCI | G002+AKS-KHF_13C190C21CD6A8B1427X0 |
자(字) | 경보(敬甫) |
호(號) | 칠휴거사(七休居士) |
시호(諡號) | 문정(文貞) |
생년 | 1427(세종 9) |
졸년 | 1497(연산군 3) |
시대 | 조선전기 |
본관 | 평해(平海) |
활동분야 | 문신 > 문신 |

부 | 손밀(孫密) |
외조부 | 조온보(趙溫寶) |

[관련정보]
[상세내용]
손순효(孫舜孝)
1427년(세종 9)∼1497년(연산군 3). 조선 초기의 문신. 본관은 평해(平海). 자는 경보(敬甫), 호는 물재(勿齋)‧칠휴거사(七休居士).
부친은 군수 손밀(孫密)이며, 모친은 정선군사(旌善郡事) 조온보(趙溫寶)의 딸이다.
1451년(문종 1) 생원시에 합격하고 1453년(단종 1) 증광문과에 을과로, 1457년(세조 3)에는 감찰로 문과중시에 정과로 각각 급제하였다. 이어 경창부승에 발탁되고, 병조좌랑‧형조정랑‧집의‧전한 등을 역임하였다.
1471년(성종 2) 17조의 시무책을 올려 채택되어 형조참의에 특진되었으나 직무상 과오가 있다 하여 상호군으로 전임되었다.
그뒤 장례원판결사가 되어 소송문제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처리하였으며, 1475년 부제학을 거쳐 동부승지‧우부승지‧좌승지를 지내고, 1478년 도승지가 되었다. 이어 강원도관찰사로 나가 선정을 베풀고, 호조참판‧형조참판을 지내면서 왕비 윤씨(尹氏)의 폐위를 반대하였다.
1480년 지중추부사로 정조사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온 뒤 공조판서‧경기도관찰사‧대사헌‧한성부판윤‧병조판서 등을 역임하였다.
1485년 임사홍(任士洪)을 두둔하다가 왕의 비위에 거슬려 경상도관찰사로 나아가 연해안 방어책을 강구하였다. 이어 우찬성을 거쳐 판중추부사를 지냈으며, 고령으로 사퇴를 청하였으나 허락받지 못하고 궤장(几杖)을 하사받았다.
성리학에 조예가 깊었고, 특히 『중용』‧『대학』‧『역경』 등에 정통하였으며, 문장이 뛰어나고 대나무 그림에 능하였다. 『세조실록』 편찬에 참여하였고, 찬서(撰書)로는 『식료찬요(食療撰要)』가 있다. 시호는 문정(文貞)이다.
부친은 군수 손밀(孫密)이며, 모친은 정선군사(旌善郡事) 조온보(趙溫寶)의 딸이다.
1451년(문종 1) 생원시에 합격하고 1453년(단종 1) 증광문과에 을과로, 1457년(세조 3)에는 감찰로 문과중시에 정과로 각각 급제하였다. 이어 경창부승에 발탁되고, 병조좌랑‧형조정랑‧집의‧전한 등을 역임하였다.
1471년(성종 2) 17조의 시무책을 올려 채택되어 형조참의에 특진되었으나 직무상 과오가 있다 하여 상호군으로 전임되었다.
그뒤 장례원판결사가 되어 소송문제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처리하였으며, 1475년 부제학을 거쳐 동부승지‧우부승지‧좌승지를 지내고, 1478년 도승지가 되었다. 이어 강원도관찰사로 나가 선정을 베풀고, 호조참판‧형조참판을 지내면서 왕비 윤씨(尹氏)의 폐위를 반대하였다.
1480년 지중추부사로 정조사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온 뒤 공조판서‧경기도관찰사‧대사헌‧한성부판윤‧병조판서 등을 역임하였다.
1485년 임사홍(任士洪)을 두둔하다가 왕의 비위에 거슬려 경상도관찰사로 나아가 연해안 방어책을 강구하였다. 이어 우찬성을 거쳐 판중추부사를 지냈으며, 고령으로 사퇴를 청하였으나 허락받지 못하고 궤장(几杖)을 하사받았다.
성리학에 조예가 깊었고, 특히 『중용』‧『대학』‧『역경』 등에 정통하였으며, 문장이 뛰어나고 대나무 그림에 능하였다. 『세조실록』 편찬에 참여하였고, 찬서(撰書)로는 『식료찬요(食療撰要)』가 있다. 시호는 문정(文貞)이다.
[참고문헌]
世祖實錄
成宗實錄
國朝榜目
國朝人物考
成宗實錄
國朝榜目
國朝人物考
[이미지]
[집필자]
최완기(崔完基)
대표명 | 손순효(孫舜孝) |
명 | 순효(舜孝) |
성명 | 손공순효(孫公舜孝), 손순효(孫舜孝) |
시호 | 문정(文貞) |
자 | 경보(敬甫) |
호 | 물재(勿齋), 칠휴(七休), 칠휴거사(七休居士) |
명 : "순효(舜孝)"에 대한 용례
수정일 | 수정내역 |
---|---|
2005-11-30 | 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