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이계전(李季甸)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774ACC4C804B1404X0
자(字)병보(屛甫)
호(號)존양재(存養齋)
시호(諡號)문렬(文烈)
생년1404(태종 4)
졸년1459(세조 5)
시대조선전기
본관한산(韓山)
활동분야문신 > 문신
이종선(李種善)
조부이색(李穡)
외조부권근(權近)
공신호정난공신(靖難功臣)
공신호좌익공신(佐翼功臣)

[상세내용]

이계전(李季甸)
1404년(태종 4)∼1459년(세조 5). 조선 초기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병보(屛甫), 호는 존양재(存養齋). 이색(李穡)의 손자로, 이종선(李種善)의 아들이며, 모친은 권근(權近)의 딸이다.

1427년(세종 9)에 친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집현전학사가 되고, 1436년에 왕명으로 김문(金汶) 등과 『강목통감훈의(綱目通鑑訓義)』를 편찬하였다.

1445년 집현전직제학으로 있을 때에 세자(문종)가 사창(社倉)과 의창(義倉) 등의 현황에 대하여 묻자, 그는 “근년의 계속된 가뭄 때문에 사창과 의창이 본래의 기능을 다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다만, 굶주린 백성에게 곡식을 방출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현상이 2, 3년만 계속된다면 국가에 비축곡이 고갈되니, 앞으로는 스스로 생계를 보존할 수 없는 백성에게만 지급하여야 할 것입니다.”라고 대답하였다.

또한, 저화(楮貨)의 사용에 대하여 백성들의 불편이 많다는 점을 들고, 우리나라에서는 포목의 사용이 그 유래가 오래이고 불편이 없으니, 구태여 저화를 사용하여야 할 필요가 없다고 주장하였다. 그리고 당시 시행중이던 답험손실법(踏驗損失法)의 폐지를 주장하였다.

그에 의하면, 답험관의 정실에 의한 처리로 백성들의 원망이 날로 심해서 공법(貢法)을 제정하였던 것인데, 이를 계속 시행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는 것이었다.

이때 대간들이 한글의 제정‧보급과 불교에 대한 종실‧양반들의 호의적인 태도를 격렬히 비난하는 소를 올리자, 세종의 진노를 사서 대간들을 의금부에 하옥시키고 국문을 받게 하였다.

여러 사람들이 왕의 진노가 심하니 상소를 그만 단념하라고 만류하였으나, 그는 의금부에 하옥될 것을 각오하고 대간들의 언로를 막아서는 안된다고 계문(啓聞)하였다.

1447년 동부승지를 제수받았고, 1450년 좌부승지가 되었으며, 3개월 후에 도승지로 승진하였다.

1452년(문종 2) 『세종실록』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1453년(단종 1)의 계유정난에 참여하여 정인지(鄭麟趾) 등과 정난공신(靖難功臣)1등에 녹훈되었다. 같은해 호조판서에 이어 병조판서로 자리를 옮겼으며, 병조판서로 재임할 때 수양대군이 왕권강화를 위하여 육조직계체제(六曹直啓體制)를 부활하자 예조판서였던 하위지(河緯地) 등과 이를 반대하는 소를 올려 폐지를 주장하였다.

그러나 세조는 이를 용납하지 않고 더욱 전제권을 강화해 나갔다. 이에 불만을 품은 성삼문(成三問)집현전출신의 학자가 중심이 되어 세조제거운동을 일으켰으나 이에 참여하지 않고 세조를 도왔다. 이 공로로 신숙주(申叔舟) 등과 함께 좌익공신(佐翼功臣)에 녹훈되었다.

1455년(세조 1) 이조판서를 제수받았고, 다음해 판중추부사에 임명되었다. 같은해 7월에 그의 어머니가 죽자 조정에서는 미‧두 30석과 종이 100권, 석회 40석과 관곽 등을 보내어 극진한 조의를 표하였다.

1458년 세조가 그에게 특별히 교서를 내렸는데, 그 교서는 세조의 정권획득과정에서 보였던 협력과 사육신사건에 참여하지 않고 세조를 도운 공로에 대하여 칭송하는 내용이었다.

이듬해인 1459년 7월에 경기관찰사에 임명되었는데, 그해 9월에 죽었다. 시호는 문렬(文烈)이다.

[참고문헌]

世宗實錄
文宗實錄
端宗實錄
世祖實錄
國朝榜目

[집필자]

송정현(宋正炫)

성명 : "이계전(李季甸)"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國朝編年v03使李季甸白世祖同辭更啓世祖固辭曰予之所懷已盡陳於○上前然之予所陳私恩諸相所陳公論也予非沮公論但侯上裁耳獜趾等
國朝編年v03理光廟曰汝不食肉意固在此對曰然朝廷元老同日盡死詡生亦足矣又忍食肉乎因流涕光廟怒甚猶愛其才德不欲致之死李季甸力勸謫詡于外竟縊殺之朝廷盡變初詡之拜承宣也人皆來賀稠獨有憂色終夜未寐人或問之稠曰天道滿招損稠無功德於
紀年便攷v7李季甸韓山人種善子太宗甲申生字屏甫號存養齋世宗丁未以宗廟副承登親試屡為抗疏每進封章世宗曰季甸之疏又来矣端宗
紀年便攷v7戮乎 首陽曰汝不食肉意固在此對曰然生亦足矣又從以忍食肉乎仍流淚承首陽怒甚然愛其才德不欲置之死謫于槐山李季甸力賛安置于巨濟尋縊殺之曾受顧命於文宗謚貞簡
震史記略v1三十一年己巳英宗皇帝親征北元陷於虜郕王卽位改元景泰○選集賢殿學士鄭麟趾李思哲鄭昌孫李季甸安止金墩金銚金鉤金末申叔舟權擥朴仲孫崔恒金泮李石亨尹子雲魚孝瞻盧叔同梁誠之成任李克堪李鳴謙金禮蒙盧思
小華龜鑑v1筵十人帶書筵專任文翰朝夕飯時以內官爲待客隆待至矣得人甚盛白鵲巢集賢殿柳樹生雛皆白云鄭麟趾李思哲鄭昌孫李季甸安止金末生申叔舟朴沖孫崔恒金淡李石亨尹子雲魚孝瞻盧叔仝梁誠之成任李克堪李鳴謙金禮蒙盧思愼韓繼禧洪應李
野乘v1侍從封章盛於李季甸李甸在集賢
國朝捷錄v01見相韓確西原府院君見相李思哲甄城君安文公見相朴從愚成烈公雲城君太宗駙馬金孝誠延山君孝襄公崇政武南秀子李季甸文烈公贊成牧隱孫朴仲孫號栢堂字敬允密山君恭孝公崇祿權擥吉昌君見相錄南怡妻父洪達孫南陽君武見相崔恒寧城
職官考v01李季甸
東國續修文獻錄v1趾河東府院君見相臣韓確西原府院君見相臣李思哲甄城府院君文安公見相臣朴浚成烈公金孝誠延山君武崇政孝襄公李季甸贊成文烈公朴仲孫密山君崇祿恭孝公權擥吉昌府院君見相臣洪達孫南陽府院君見相臣崔恒寧城府院君見相臣韓明澮
東國續修文獻錄v1孫蓬原府院君忠靖公見相尹炯坡平府院君左贊恭簡公尹巖坡平府院君駙馬齊度公李季疄韓山府院君蔭贊成恭武公李季甸韓城府院君靖難功姜孟卿見相洪達孫見相靖難功崔恒見相靖難功田畇河陰君靖難功權攀花山君資憲駙馬安襄公
國朝人物志v1座後果如言筆苑雜紀上幸孟卿第仰視屋宇曰急徹蠹楹恐傷人首相國之第如此玆不亦美乎李季甸如燕主客郞中請賦早朝詩季甸窘甚書牧隱集中早朝大明宮詩大闢明堂曉色寒旌旗高拂玉闌干一律示
國朝人物志v1民以守琛爲首官至積城縣監年七十二卒以諫院啓贈執義昭代紀年人有請其先祖墓碣其文乃李季甸所撰先生點閱良久曰子識李季甸所爲乎對曰不知也先生曰南秋江所著許詡傳載此人之事遂不復
二十功臣會盟錄n1책 光國功臣李陽元嫡長孫學生臣李 箕老 靖難佐理功臣李季甸嫡長孫學生 臣李汝芳 靖國功臣權鈞嫡長孫學生臣權重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