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성혼(成渾)

[요약정보]

UCIG002+AKS-KHF_12C131D63CFFFFB1535X0
자(字)호원(浩原)
호(號)우계(牛溪)
시호(諡號)문간(文簡)
생년1535(중종 30)
졸년1598(선조 31)
시대조선전기
본관창녕(昌寧)
활동분야학자 > 성리학자
성수침(成守琛)
출생지서울 순화방(順和坊: 지금의 순화동)
저서『우계집』
저서『주문지결(朱門旨訣)』
저서『위학지방(爲學之方)』

[관련정보]

[상세내용]

성혼(成渾)
1535년(중종 30)∼1598년(선조 31). 조선 전기의 성리학자. 본관은 창녕(昌寧). 자는 호원(浩原), 호는 묵암(黙庵)우계(牛溪).
1. 가계 및 수학
현감 성수침(成守琛)의 아들로 서울 순화방(順和坊: 지금의 순화동)에서 태어났으며, 경기도 파주 우계에서 거주하였다.

1551년(명종 6)에 생원‧진사의 양장(兩場)초시에는 모두 합격하였으나 복시에 응하지 않고 학문에만 전심하였다. 그해 겨울에 백인걸(白人傑)의 문하에서 『상서(尙書)』를 배웠다.

1554년에는 같은 고을의 이이(李珥)와 사귀게 되면서 평생지기가 되었으며, 1568년(선조 1)에는 이황(李滉)을 뵙고서 깊은 영향을 받았다.

1561년에 어머니상을, 1564년에 아버지상을 당하였다.
2. 율곡과의 사칠이기설 논변
1568년 2월에 경기감사 윤현(尹鉉)의 천거로 전생서참봉(典牲署參奉)에 임명되고, 그 이듬해에는 목청전참봉(穆淸殿參奉)장원서장원(掌苑署掌苑)적성현감(積城縣監) 등에 제수되었으나 모두 사양하고, 조헌(趙憲) 등 사방에서 모여든 학도들의 교훈에 힘썼다.

그는 「서실의(書室儀)」 22조를 지어 벽에 걸어놓고 제생을 지도하였으며, 공부하는 방법에 관한 주자(朱子)의 글을 발췌하여 읽히기도 하였다.

1572년 여름에는 이이와 9차에 걸쳐 서신을 주고받으면서 사칠이기설(四七理氣說)을 논하였다.

일찍이 이황을 사숙하였으나 그의 이기호발설(理氣互發說)에 회의를 품고 있었는데, 『중용』 서(序)에서 주자 또한 인심도심(人心道心)을 양변으로 나누어 말한 것을 보고, 이황의 호발설도 불가할 것이 없겠다고 생각하여 이이에게 질문한 데서 시작되었다.
3. 관직사체
1573년 2월에 공조좌랑에, 7월에 장원에 제수되었으나 모두 부임하지 아니하였고, 그해 12월에 사헌부지평에 제수되었다. 과거 출신이 아닌 사람으로서 헌관(憲官)에 임명되기는 기묘사화 이후 처음 있는 일로서, 이는 이이의 주장으로 이루어진 것이었다.

그러나 그는 이를 모두 사임하였다.

1575년 6월에 다시 지평으로 불러 상경하였으나 병으로 사체(辭遞)하니 선조는 의원을 보내어 약을 지어보내기까지 하였다. 그리고 이어서 공조좌랑지평 등을 제수하였으나 사임하고 본가로 돌아가니 선조는 그의 체임을 허가할 수밖에 없었다.

그뒤 지평예빈시판관장흥고주부종묘서령광흥창주부장령장악원첨정(掌樂院僉正)으로 계속 불렀으나 나가지 않았다.

1581년 정월에는 종묘령(宗廟令)으로 체임되었으나 귀향은 허가받지 못하였다. 그해 2월에 사정전(思政殿)에 등대(登對)하여 학문과 정치 및 민정에 관하여 진달하였으며, 왕으로부터 급록이 아닌 특은(特恩)으로 미곡을 하사받았다.

그해 3월에는 장령에서 내섬시첨정(內贍寺僉正)으로 전직되고, 4월에는 장문의 봉사(封事)를 올렸는데, 그 요지는 신심(身心)의 수양과 의리의 소명(昭明)을 강조하는 한편 그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이어 군자와 소인을 등용함에 따라서 치란(治亂)이 결정된다고 역설하였다.

또 역법(役法)과 공법(貢法)의 민폐를 논하고 경장(更張)을 역설하되 혁폐도감(革弊都監)의 설치를 제의하였다.

그러나 그의 주장은 채택되지 못하였고, 그렇다고 귀향이 허가된 것도 아니었다. 녹봉을 거부하면 미숙(米菽)을 하사하면서 귀향을 허가하지 않았다. 이어 내섬시첨정풍저창수(豊儲倉守)를 역임하면서 선정전(宣政殿)에 등대하였으며, 특별히 경연에 출입하도록 명을 받았다.

그뒤 전설사수(典設司守)충무위사직(忠武衛司直)에 제수되었다. 그는 경연석상 또는 상소로 계속 퇴귀(退歸)를 청하였지만 도리어 겨울용 신탄(薪炭)을 명급하고 용양위상호군(龍驤衛上護軍)에 승배(陞拜)되었다. 그해 연말에 선조의 윤허를 받고 고향으로 돌아왔다.

1582년에는 다시 집의(執義)사옹원정(司饔院正)사재감정(司宰監正) 등으로 불렀으나 관직에 나가지 아니하니, 그 이듬해에 특지로 통정대부(通政大夫)에 가자하여 병조참지(兵曹參知)로, 이어 이조참의에 전직, 은대(銀帶)를 하사받았는데, 이는 이이이조판서로 있으면서 상경을 권유했기 때문이었다. 그리고 곧 이조참판에 특배되었다.

이러한 그의 관계 진출은 이이의 권유에 의한 것이었으며, 이이가 죽자 사귀(辭歸)를 청하였으나 허여되지 않고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를 맡았으며, 그해 7월에 파산(坡山)으로 돌아와 사직소를 올렸으나 겸직만 면하고, 그해 12월에는 경기감사를 통하여 내린 식물(食物)을 사급받았다.

1585년 정월에 찬집청당상(纂集廳堂上)으로, 5월에는 동지중추부사로 불렀으나 나가지 아니하였다.

그뒤 동인들이 득세하여 그를 공격하였으므로 자핵상소(自劾上疏)를 하였고, 1587년에는 자지문(自誌文)을 지어두기까지 하였다. 그는 이이가 죽은 뒤 서인의 영수 가운데 중진 지도자가 되었다.

1589년 기축옥사로 서인이 집권하면서 이조판서에 복귀하였는데, 동인의 최영경(崔永慶)이 원사(寃死)하자 동인의 화살이 그에게 집중되었지만, 사실은 그는 정철(鄭澈)에게 최영경을 구원하자는 서신을 보내기까지 한 것이었다.

1590년에는 양민(養民)‧보방(保邦)‧율탐(律貪)‧진현(進賢)의 방도를 논하는 장문의 봉사소(封事疏)를 올리고 귀향하였으며, 1591년에 『율곡집(栗谷集)』을 평정하였다.
4. 임진왜란 중 시무소 상소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아들 성문준(成文濬)에게 국난에 즈음하여 죄척지신(罪斥之臣)으로서 부난(赴難)할 수 없는 그의 처신을 밝히고, 안협(安峽)이천(伊川)연천(連川)삭녕(朔寧) 등지를 전전하면서 피난하다가 세자가 이천에서 주필(駐蹕)하면서 불러 전삭녕부사 김궤(金潰)의 의병군중(義兵軍中)에서 군무를 도왔으며, 8월에는 개성유수 이정형(李廷馨)의 군중에서 군무를 도왔고, 성천(成川)의 분조에서 세자를 배알하고 대조(大朝: 선조가 있는 곳)로 나갈 것 그가 성천을 떠나 의주로 향했다는 말을 듣고 대조에서 그를 의정부우참찬에 특배하였다. 그는 의주의 행조(行朝)에서 우참찬직을 사양하였으나 허락되지 않았고, 「편의시무9조(便宜時務九條)」를 올렸으며, 이어 대사헌우참찬을 지냈다.

1593년에 잦은 병으로 대가가 정주영유(永柔)해주를 거쳐 서울로 환도할 때 따르지 못하였고, 특히 해주에서는 중전을 유호(留扈)하였다.

1594년 석담정사(石潭精舍)에서 서울로 들어와 비국당상(備局堂上)좌참찬에 있으면서 「편의시무14조」를 올렸다. 이 건의는 시행되지 못하였다.

이무렵 명나라는 명군을 전면 철군시키면서 대왜강화를 강력히 요구해와 그는 영의정 유성룡(柳成龍)과 함께 명나라의 요청에 따르자고 건의하고, 또 허화완병(許和緩兵)을 건의한 이정암(李廷馣)을 옹호하다가 선조의 미움을 받았다.

특히 왜적과 내통하며 강화를 주장한 변몽룡(邊蒙龍)에게 왕은 비망기를 내렸는데, 여기에 유식인(有識人)의 동조자가 있다고 지적하여 선조는 은근히 성혼을 암시하였다. 이에 그는 용산으로 나와 걸해소(乞骸疏)를 올리고, 그길로 사직하고 연안의 각산(角山)에 우거하다가 1595년 2월에 파산의 고향으로 돌아왔다.

1597년에 정유재란이 일어나자, 윤방(尹昉)정사조(鄭士朝) 등이 부난의 취지로 상경하여 예궐할 것을 권하였지만, 죄가 큰 죄인으로 엄견(嚴譴)을 기다리는 처지임을 들어 대죄하고 있었다.
5. 저술
저서로는 『우계집』 6권 6책과 『주문지결(朱門旨訣)』 1권 1책, 『위학지방(爲學之方)』 1책이 있다. 그가 죽은 뒤 1602년에 기축옥사와 관련되어 삭탈관직되었다가 1633년에 복관사제(復官賜祭)되었고, 좌의정에 추증되었으며, 문간(文簡)이라는 시호가 내려졌다.

1681년(숙종 7)에 문묘에 배향되었고, 1689년에 한때 출향(黜享)되었다가 1694년에 다시 승무(陞廡)되었다. 제향서원으로는 여산(礪山)죽림서원(竹林書院), 창녕물계서원(勿溪書院), 해주소현서원(紹賢書院), 함흥운전서원(雲田書院), 파주파산서원(坡山書院) 등이 있다.

[참고문헌]

明宗實錄
宣祖實錄
牛溪集
牛溪年譜
牛溪先生年譜附錄
牛溪先生年譜補遺
牛溪先生年譜後錄
燃藜室記述(李肯翊)
儒敎淵源(張志淵)
朝鮮儒學史(玄相允, 民衆書館, 1949)
東國文廟十八賢年譜(韓國名賢遺蹟硏究所, 1966)
韓國儒學史(裵宗鎬, 延世大學校出版部, 1974)
韓國儒學史(李丙燾, 亞細亞文化社, 1987)

[집필자]

송찬식(宋贊植)

호 : "우계(牛溪)"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國朝人物志v2城中奇異之觀中年作亭漢濱扁以水月日邀騷人韻士觴詠偕樂當世名儒如退陶南冥東洲北窓栗谷牛溪諸先生咸敬重之其筆迹散在金石嘗自言吾所書康陵誌文最是着意筆他書皆不及上同南冥赴召時重
國朝人物志v2除吏判入謝請還三竄忽感疾口呼進北邊方略六條家人夢龍自寢房飛上天翌朝珥卒年四十九牛溪聞訃哭曰栗谷於道學洞見大原其所謂人心之發無二原理氣不可互發等語皆實見得眞吾師誠山河間氣三代
國朝人物志v2字浩源號牛溪又默庵昌寧人守琛子年十二三文思日進十七發解司馬兩試因疾不赴覆試自此絶意科業專精學問
國朝人物志v2巳蒙宥翼弼雖蒙上意覺察冤狀猶畏約懾伏知舊門人爭相館待學徒坌集嘗寓沔川僉樞金進礪家牛溪寄書曰主人仁賢後生向風晩暮漂泊得此於人可謂幸矣孤靑徐起謂學者曰爾輩欲知諸葛孔明乎惟
國朝人物志v2贍未嘗以科事爲屑誠孝出天日必冠帶參拜祠宇奉養偏慈盡其敬愛未嘗以褻服侍側前後強仕皆爲親屈每設壽席牛溪栗谷必偕至升堂稱觴盡歡而罷生理蕭條日不暇給家人生業了不關心在縣棄歸必倒箱篋恐其留物平居簞瓢
國朝人物志v2遠千里而往從窮喪無告者力救之自號四耐耐困耐飢耐寒耐暑也名山大川無所不往出入晦齋退溪栗谷牛溪之門又與南冥蘇齋遊東儒師友錄
國朝人物志v2公世恭曾孫戊子生員進士庚子文科左參贊襲封牙善君人物考子雲海字景游與牛溪栗谷爲道義交官止郡守雲海子夢鱗夢濂俱以文行知名
國朝人物志v2南原人參判喜子從南溟曺植學識見精博踐履篤實盧玉溪禛歎美之曰梁喜有子也晩從成牛溪爲師友硏精曰正學俗學在天理人欲與義利之間講求道理涵養德性而盡吾心行吾行常以五德與四端七情等
國朝人物志v2數紙皆某年以後書也仍敎曰永慶篋中有此書何欺罔也又出一詩曰永慶篋中有此詩何等語也問啓其詩有牛溪一夜風生虎仙李根搖有髮僧之句永慶曰臣素不解作詩友人李魯永慶以人傳說詩書示偶置篋
國朝人物志v2牛溪日記
國朝人物志v2壽女生澈于漢陽十歲父罹乙巳士禍流落南方從金河西麟厚奇高峯大升學稍長與栗谷牛溪相友善辛酉進士明宗壬戌文科壯元爲持平退溪李滉稱有古諫臣風歷玉堂修撰宣祖嗣
國朝人物志v2聖功臣封全陽府院君庚寅拜右議政至領議政與洪汝諄鄭仁弘金大來李弘老共斥栗谷牛溪削奪官職光海戊申竄慶興大臣率二品以上啓請賜死從之癸亥仁祖反正伸雪相臣錄兄
國朝人物志v2幸州人判尹大恒子服齊遵孫壬午生員進士庚寅文科選入檢閱湖堂初從士流遊後攻松江牛溪甲辰拜右議政至領議政上信任賢之常侍帷幄永昌大君㼁生上素不快於光海欲易世子私問
國朝人物志v2子幼時不與群兒戲凜然早成常有蜂入懷而螫焉於課學整疊其書從容起居解衽脫放之時僅七歲稍長遊栗谷牛溪門旣而時論大變酷被誣詆弘立不樂交游常閉門自守辛丑進士時太學欲爲牛溪伸白諸生畏忌莫敢先唱
國朝人物志v2才氣不肯苟合當世以是卒棲棲州郡少孤未冠受業於參贊白仁傑又事聽松成守琛聽松謂牛溪曰吾家後事必與金某議之與牛溪終身如骨肉請益之暇兼效其筆蹟人莫能辨眞僞慷慨嫉惡如讎自知不
國朝人物志v2人壬子生員官止縣監與栗谷生同鄕里早有求道志往謁退溪于陶山得聞古道又登灸于坡山牛溪甚推許焉往來講磨益知用心處嘗爲參奉上疏請於列聖陵下各立表石又言神德王后廢陵不可不
國朝人物志v2失所怙執喪盡禮幾滅性事母極孝溫凊之奉甘旨之供必親其手性好學窮經不屑屑於科業以故不第與栗谷牛溪相友善栗谷秉銓勸之仕不肯貽書示其意墓碣
國朝人物志v2計出爲開城留守仁弘最嫉之爲掌令欲劾義謙時栗谷爲都憲止之不聽栗谷議于牛溪曰我不從時輩必執此攻我勢須從之略搆啓草請罷義謙主意以爲身居戚里積失士心仁弘添以援附士類
國朝人物志v2字瑞仲雲海子官止敎官篤志自修不事擧子業游學牛溪門下士望甚重晩歲除童蒙敎官學徒坌集訓誨不倦俄而見光海政昏遂不復仕子漢明官止判官
國朝人物志v2慶州人官止參奉慕聽松之風自號聞松習其筆法宣廟癸甲之際黨禍大起復從牛溪大邦口無惡言所守確如事親甚孝無故未嘗不在側得一美味不先入口飮食之嫌於先諱者終身不食居喪廬墓晨
國朝人物志v2路不就仕籍卜築德陽山下名其齋安分與再從兄峒隱義健齊名而牛栗兩公亦加敬重遇春嘗贈牛溪詩曰霜天搖落群芳歇惟見東籬菊自黃有約不來誰共賞獨扳寒蕊嗅馨香墓誌
國朝人物志v2字士振豐川人丙子司馬官止直長性勁直操履甚確聞有好學篤行者必往交遊牛溪栗谷門爲士類所推重癸未栗谷被三司論劾牛溪幷被詆斥鐸時掌議太學倡諸生抗章伸救居父憂廬
國朝人物志v2字醇仲世居善山長遊漢師與人少許可服事牛溪常謁于坡山牛溪爲錄其語於雜記中金長生與之友善墓表
國朝人物志v2字子方高靈人用漑孫壬午司馬官至工曹參議封靈川君公年十八學于牛溪從栗谷問業一時勝流皆折行輩與交崔有源等告臨海君謀逆事甚暗昧欲籍重引公爲說遂錄
國朝人物志v2誠靑松人監役偰子參贊光彥孫官止府使謙愼自牧斂華就實蔚然稱寬厚長者從栗谷牛溪學碣銘弟宗敏
國朝人物志v2字守初號鼎谷又龍湖楊州人漢川尉無疆曾孫癸酉進士庚寅文科學于牛溪又遊守菴朴枝華之門選入史館翌年大臣有餘干之行修隙者盡陷一代士類存性亦坐罷壬辰倭警猝
國朝人物志v2耆俊弟己卯生員庚寅文科牧使天資樂易神識坦朗長身秀骨動止華雅與人交洞見肝肺人無不愛且敬早遊牛溪門士翕然稱之考淸江公之在北營虜陷慶源中外大駭壽俊以布衣抗疏願赴軍前與父俱死宜廟
國朝人物志v2廷立建牙張纛視其行裝一束書而已柳西崖在備邊司言曰才臣不難得淸如李廷立者何處來遊栗谷牛溪門得聞爲學之方性素寡欲於聲色貨利初無禁制之功而自不知其可好如癡人然其於生產作業輒白眼視空至讀書
國朝人物志v2經弱冠作持敬指南圖安東權應寅以學術名見而奇之曰退溪後誰能作此後師事栗谷又往拜牛溪又深究醫理其精透微妙非俗醫可及濟人甚多壬辰亂後因求言陳疏數千言體素齋李春英爲史官見之
國朝人物志v2字仁吉昌寧人壬午生員官止禁府都事文望振一時嘗與吳楸灘允謙金仙源尙容共事成牛溪于坡山名聲益彰己丑鄭汝立獄成湖南儒生有反以言事刑訊者麒瑞手疏訟其冤大爲奸黨所嫉
國朝人物志v2生裕吉幼穎異七歲能誦詩家近學宮習聞俎豆之事嘗隨父兄觀釋菜儀指禮樂器物悉辨其名諸生異之從牛溪學少多技藝精於算數如範數星曆靡不繹思而不自以爲能平居惟杜門看書庚辰文科官至右尹仕宦四十年
國朝人物志v2字誠甫德水人珥從子官止參奉少時器度峻整稱爲賢子弟旣長以文成公命受業於牛溪文成歿而群小搆誣未已乙酉抗章陳辨壬辰倭變奉文成公夫人盧氏爲避亂計自京下鄕夫人遇賊被禍
國朝人物志v2字擇甫安東人年十九讀論語見爲己之語卽興感焉聞牛溪成渾講道往學焉牛溪與處甚悅之將還語之曰年少之士雖有志於學鮮有端的用功之人君宜以眞實心地刻苦工夫勉焉自是委已從事
國朝人物志v2字仲高號碧山又號葛裘完山人寺正彥怡子己卯生員庚辰文科從栗谷牛溪有所質問操戈入室二先生樂其相長期以遠器識度夙成發韌趨正衆論膠擾必主乎善朋儕推重咸歎不如也
國朝人物志v2字達可號栗亭南陽人春卿之子從牛溪學癸卯生員進士癸丑文科吏曹參議甫髫齕所作驚人駱峯申光漢指庭前馬爲題限韻賦詩立就光漢
國朝人物志v2字善慶乙酉中司馬兩試官至參奉弱冠才業蔚然於文辭筆翰無不能焉內行甚備游栗谷牛溪門往來問學與金仙源黃秋浦李體素相善爲文章友誌銘
國朝人物志v2字士亨濟州人與兄千頃千會出入牛溪之門少見賞於重峯趙憲淸陰金尙憲亦與交厚用能成就其行業氣節蔚然爲南土之望登上庠官監察
國朝人物志v2屬文長於詩與權韠具容相友善家園有修竹慕之者求得一枝必誇於衆曰吾今日從姜子舒來矣受學於牛溪當兵革之世國大亂鄕父老聚子弟起兵而無所屬嘗重其名且曰當倚名族推晉暉爲將晉暉以少辭人物
國朝人物志v2字學器號守愚齋濟州人甫成童以文爲質往謁牛溪牛溪嘗語人曰榥才器不凡以學問文章自力而其文眞大手父西溪公壬辰將倡率同志以遏倭賊
國朝人物志v2字卓爾號雪蓑淸州人別提日休子乙巳進士壬子文科官至學正嘗偕諸友上章直牛溪之誣光海政亂峻杜門斂跡絶榮宦念卒年四十人物考
國朝人物志v2字長卿楊州人辛丑文科歷北評事書狀官中心坦夷慕古尙義嘗謁牛溪牛溪亟稱之弘國嘗自言曰丈夫處事當灑灑爾屈身偕俗恥也年二十六登第聲名藹蔚旣而鄭松江爲
國朝人物志v2字季中咸安人丙辰進士官至縣監在牛溪門人中年最幼穎悟詳順雖流離喪亂之除學業不廢爲堤川縣監民稱爲神明任絖金光炫以御史相繼
國朝人物志v2字士重豐川人牧使夢臣子癸未文科師事栗谷牛溪檢身若不及朝夕省飭時望甚重時倭釁已啓而朝廷恬嬉鉉憂念國事作詩有杜宇聲中氣自南默觀時事可知三
國朝人物志v2新子母夫人柳氏得異夢生暹嘗啼聲甚急母急就抱持纔出戶而壁忽頹人皆異之從栗谷學及栗谷牛溪被誣暹極力伸辨壬辰寇至李鎰爲將暹友人爲其從事當行暹謂鎰曰此人有老母無兄弟其義
國朝人物志v2字會元濟州人校理彭孫之孫從牛溪學卜居羅州之三鄕里壬辰倡義兵推金千鎰爲盟主入江華山璹晝伏夜行奔問行在特命除工曹佐
國朝人物志v2字寬甫號鳴皐豐川人少從牛溪成渾遊牛溪稱以慕學善士壬辰車駕西狩公慨然有執靮之志路塞不得通聞湖南倡義使金千鎰住兵江華往從之
國朝人物志v2字汝益號楸灘海州人監役希文子少從牛溪成渾受學牛溪甚器之以公輔器期待宣祖壬午進士丁酉文科丁巳以通信使東赴日本光海癸丑力爭追崇廢母之
國朝人物志v2字伯胤號梨川定宗別子宣城君茂生五世孫郡守克仁子天資絶高少受學于栗谷牛溪之門終日危坐略無倦容宣祖壬午進士甲午文科歷三司判禮曹時方議追崇弘胄辭曰臣雖蔑
國朝人物志v3字成之號洛西安東人文靖公礩五世孫忠穆公兪泓外孫受業于牛溪成渾之門癸亥與李貴金瑬擧義奉仁穆大妃命定策立仁祖皆自點之謀也兄自兼
國朝人物志v3字受益號晚晦牛峯人監司之信孫從風玉軒趙守倫學得聞牛溪緖餘光海朝守倫罹禍死親舊莫敢視有謙親執絞衾襲殮如禮又與同志抗疏極論母不可讐仍自錮于荒
國朝人物志v3兄久請斬爾瞻廢不仕仁祖反正敎曰李袤今可出而仕矣丙寅別試文科罷榜己巳更第丙子以後結茅牛溪深處不與世相聞戊寅爲弼善孝宗朝言事出補海美縣監又以譏侮當世左遷潭陽府使顯
國朝人物志v3諡忠正年十三丁內艱能式禮不懈壬辰倭亂以一卷書自隨賊去則披讀賊至則納諸袖中而走亂定請學于牛溪成渾渾遺愼誠書曰令胤遠訪淸明有志趣操不凡辛亥削鄭仁弘儒籍又陳疏痛辨光海大怒賴白沙
國朝人物志v3士深號迂齋宗室廣平大君璵七世孫父郡守郁娶判書長水黃廷彧女生厚源少從牛溪成渾門受業仁祖癸亥錄靖社三等勳封完南府院君乙亥文科孝宗丁酉拜右議政王妃於
國朝人物志v3字功甫號化堂平山人僉正黯子貌偉氣和年十八聘滄浪成文濬之女仍受業于崇祖牛溪成渾牛溪大稱其有大志期望最深乙卯進士文科李爾瞻以戚屬來賀致□敏一□之應大見忤遂出補
國朝人物志v3字君美平山人蔭仕至奉事景宗壬寅竄巨濟甲寅卒庚申邪黨方逞黜牛溪栗谷二先生于文廟君美偕諸生力爭尤庵宋時烈朝夕及禍又冒禍色往拜托以墓文人物考
朝鮮科宦譜n1-6책牛溪逸贊成諡文簡享文廟守 琛子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