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이현록(李顯祿)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774D604B85DB1684X0
자(字)영보(永甫)
생년1684(숙종 10)
졸년1730(영조 6)
시대조선중기
본관전주(全州)
활동분야문신 > 문신
이섭(李涉)
파평윤씨(坡平尹氏)
고조부이후원(李厚源)
외조부윤협(尹悏)

[상세내용]

이현록(李顯祿)
1684년(숙종 10)∼1730년(영조 6).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영보(永甫).

우의정 이후원(李厚源)의 현손으로, 완흥군(完興君) 이섭(李涉)의 아들이며, 모친은 파평윤씨(坡平尹氏)군자감정 윤협(尹悏)의 딸이다. 음서로 헌릉참봉(獻陵參奉)에 기용되어 장원서봉사(掌苑署奉事)제용감봉사(濟用監奉事)금구현령전주부판관 등을 거친 뒤 1722년(경종 2) 알성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예조좌랑에 올랐다.

그러나 그해에 신임사화로 노론이 추방되자 소론의 음모를 규탄하다가 순흥부에 유배되었고, 1724년에 영조가 즉위하면서 노론이 다시 집권하자 풀려나왔다.

그뒤 병조좌랑병조정랑이조좌랑부교리교리부응교응교지제교검상사인사간집의시강원문학필선 등을 역임하였다. 『숙종실록』 편찬시에는 의리를 밝히는 데 힘쓸 것을 간하기도 하였다.

1726년(영조 2) 종묘를 개수한 공로로 통정(通政)에 승계되어, 승지를 거쳐 병조참의예조참의대사간을 지내고, 홍주목사전라도관찰사로 나가 진휼과 교화 등에 힘썼다.

그러나 1727년 정미환국으로 다시 노론이 세력을 잃게 되자 파직되었다.

1728년 이인좌(李麟佐)의 난 때 공을 세워 완릉군(完陵君)에 봉해지고, 그 이듬해에는 형조참판호조참판으로 부총관비변사당상을 겸임하고, 이어 대사간대사헌 등을 역임하였다.

인품이 소탈하고 노론을 두둔하면서 의리를 밝히는 데 노력하였다.

[참고문헌]

景宗實錄
英祖實錄
國朝榜目
知守齋集

[집필자]

박정자(朴定子)
대표명이현록(李顯祿)
봉호완릉군(完陵君)
성명이현록(李顯祿)
영보(永甫)

성명 : "이현록(李顯祿)"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紀年便攷v30李顯祿厚源玄孫涉子金壽恒外孫權尙游婿肅宗甲子生字永甫丁亥以厚源嗣孫特除參奉景宗壬寅登謁聖目以黨逆不參會盟祭
紀年便攷v30李顯祿
紀年便攷v30星采洪彥度趙榮福金礪李喬岳兪崇李義宗尹在重李挺周任埅權譍朴師益尹泓李命熙姜啓溥李邦華權炅尹鳯儀尹得仁李顯祿李徴龜金昌發徐命伯李宜顯趙道彬李秉常李廷熽申晢李瑜黃梓慎無逸洪禹傳尹憲柱金㝎五宋必恒金宇采金元一西班
辛壬紀年提要v1安朴師益不參盟會泰仁尹泓同金山李命熙同珍山姜啓溥同善山李邦華同求禮權炅同醴川尹鳳儀同茂朱尹得仁同益山李顯祿同順興李徵龜同咸陽金昌發同豐基徐命伯邁坐請減靈巖李宜顯廷請唯雲山諾趙道彬同沃溝移咸陽李秉常同扶安李廷
職官考v01李顯祿
祔廟都監都廳儀軌單 永徽殿改題主官承政院左副承旨黃璿 預差禮曹參議李顯祿 丙午七月二十日禮曹 啓曰祔太廟時例有前期修理之擧
孝章宮日記點行三虞祭初獻官咸平君泓亞 獻官礪恩君終獻官完陵君李顯祿大祝正郞李 性孝退膳上仝
禁衛營謄錄n1-121책 乙巳六月十二日 軍色郞廳望柳復明陞堂上代兵曹佐郞李顯祿
宗廟改修都監儀軌n1-2책: 雍正 三年 乙巳(1725) 十月日午正月初四日啓下 三月二十六日至 都廳弘文館應敎李顯祿 乙巳十月十七日啓下 丙午二月十八日罷職 丙午二月
宗廟改修都監儀軌n1-2책: 雍正 三年 乙巳(1725) 十月日賜 給 提調判書申思喆右參贊沈宅賢判書權都廳 應敎李顯祿執義徐宗爕竝加資 判書黃一夏‧洪致 中已遞於始役之
睡翁先生日記n1-2책意亦可以仰揣其在崇奬風礪之道合 施節惠之典矣參贊官李顯祿曰朝家於行誼卓異 之人輒施贈職賜諡之典者前後非一宋
睡翁先生日記n1-2책六月二十五日判書李宜顯參判洪禹傳參議李顯祿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