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이단하(李端夏)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774B2E8D558B1625X0
자(字)계주(季周)
호(號)송간(松磵)
시호(諡號)문충(文忠)
생년1625(인조 3)
졸년1689(숙종 15)
시대조선중기
본관덕수(德水)
활동분야문신 > 문신
이식(李植)
저서『외재집』

[상세내용]

이단하(李端夏)
1625년(인조 3)∼1689년(숙종 15).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자는 계주(季周), 호는 외재(畏齋)송간(松磵). 판서 이식(李植)의 아들이다.

음보(蔭補)로 벼슬에 나아가 공조좌랑으로 재직중 1662년(현종 3) 증광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그뒤 정언부교리용안현감헌납 등을 역임하였다.

한편, 북평사로 있을 때 감사 민정중(閔鼎重)과 함께 임진왜란 때의 의병장 정문부(鄭文孚)의 사적(史蹟)을 조사하여 조정에 알려 관직을 추증시키고, 사당을 세워 충렬사(忠烈祠)라는 사액을 내리게 하였으며, 부교리로 있을 때에는 귀양중의 제신들을 속히 사면할 것을 주청하기도 하였다.

1669년 이조정랑이 되어 각사(各司) 노비의 공안(貢案)을 정리할 것을 청하여 신공(身貢)을 반 필씩 감하게 하였다. 이어 교리경서교정청(經書校正廳)교정관이 되고, 훈련별대(訓鍊別隊)의 창설을 주청하여 시행하게 하였다.

그뒤 응교사간사인 등을 역임하고, 1671년 동부승지가 되고 다음해 이조참의가 되어 중종폐비 신씨(愼氏)의 신주를 신씨 본손의 집으로 옮기게 하였고, 1674년 대사성으로 대제학을 겸임하였다.

이어 숙종이 즉위한 뒤 서인으로서 제2차 복상문제로 숙청당한 의례제신(議禮諸臣)처벌의 부당성을 상소하다가 파직, 이듬해 삭직당하였다.

1680년(숙종 6) 경신대출척으로 풀려나와 이듬해 홍문관제학이 되어 『현종개수실록』 편찬에 참여하였다.

1682년 대사헌으로 각릉 기신(忌辰) 제사에 유과(油果) 및 과일 위에 덮는 채색꽃을 감하여 제사비용을 줄이도록 하였고, 1684년 예조판서가 되어 「사창절목(社倉節目)」『선묘보감(宣廟寶鑑)』을 지어올렸다.

1686년 우의정이 되어 사창설치의 다섯 가지 이익을 건의하였고, 죽을 죄인에 대하여 삼복(三覆: 三審制)을 실시할 것을 청하였다. 다음해 좌의정에 올랐으나 병으로 사직하고, 행판돈녕부사로 있다가 죽었다.

무력해진 의정부의 기능을 회복하기 위하여 비변사의정부의 직방(直房)으로 만들고, 그 곁에 한 방(房)을 비변사로 만들어 의정부와 함께 통하게 하고, 좌우찬성의 자리를 비워두지 말고 참찬과 함께 삼공을 도와 정치를 의논하게 할 것을 주장하였다. 그리고 사창제도를 철저히 실시하여 굶주리는 백성을 돌볼 것을 역설하였다.

송시열의 문하에서 자라나 조선 후기 경학에 있어서 대표할만한 학자이다. 용안(龍安)에 영당이 있다.

저서로는 문집인 『외재집』과 편서로 『북관지(北關誌)』가 있다.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참고문헌]

顯宗實錄
顯宗改修實錄
肅宗實錄
英祖實錄
燃藜室記述
國朝榜目

[집필자]

이장희(李章熙)

성명 : "이단하(李端夏)"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歷代總要v04在楊州健元陵西岡行錄肅宗御製誌文李端夏撰又有表石
紀年便攷v22子如斗洪瑞翼壻仁祖丁丑後悲憤慷慨廢擧自適屛居江湖晩爲父命黽勉從仕與宋時烈洪命夏李端夏遊語及復讎扼腕歎息官止縣監
紀年便攷v26鑄校書舘活字壬辰亂後校書舘活字散失殆盡以木字印書甚不精至是命戶曺判書金佐明鑄活字公私書籍頼以廣印○以李端夏金萬重洪錫龜金學培朴紳洪覩等為經書校正官會同校正於成均舘六人以文學著称覩尤精於字學○上幸温陽之温泉命
紀年便攷v26李端夏
紀年便攷v26李端夏植子仁祖乙丑生字季周號畏齋又松磵初號戀齋後號畏齋又號松磵居士九歲庚雀雛而死手瘞于園作文以吊曰島死人哭
紀年便攷v27大司憲李端夏以其費不貲亦非正禮䟽請减去上従之
紀年便攷v27李端夏纂進
紀年便攷v28李端夏
紀年便攷v28李端夏見顯宗朝文衡
紀年便攷v28氵+目+責}自娛崔錫鼎長東銓特擬判决事又上言以為張某傳業鮮于浹深扵易學且其精力尚旺不冝拘以年限除文川李端夏陳劄請使世良出入紸幄以䝺聖學朝廷竟不用其言所著有健順說易說易文類聚己卯卒年七十七
紀年便攷v28興判官登増廣歴三司五道伯㐀伯則再任官止崇政判敦寧入耆社以掌令伸救宋時烈斥補慶尚都事復為掌令伸救閔維重李端夏斥補忠牧戊子卒年八十四諡靖簡
東國歷代總目v02李端夏纂進
記聞v1和李浣武○配判樞文簡公趙絅追黜兼兵判忠肅公金佐明領相翼靖公鄭太和追配○主文金壽恒文谷趙復陽松谷金萬基李端夏守乙卯我朝今上元年
國朝捷錄v01追崇復位溫陵楊州七十里亥坐○中宗靖國時守勤不肯與焉諸勳臣撲殺之中宗臨御後勳臣不欲愼氏位坤極癈置于外宮李端夏上疏請建祠宇申奎爲端宗上疏仍請愼妃復位崔錫鼎白上立祠行祀一如順懷昭顯二世子例
國朝捷錄v01宗朝金壽恒見相錄趙復陽字仲初號松谷吏判肅廟入學時浦渚子持謙父文簡公金萬基字永叔瑞石府院君益熙侄文忠公李端夏植之子以堂上升典文見相錄肅廟朝金錫胄見相錄閔點字聖與號雙梧贊成金時讓女應協子南九萬見相錄李敏敍字彛仲
景孝殿郎廳先生案 判書 李端夏
職官考v01李端夏
文獻攷略v1○顯宗朝文學李端夏請退行世子冠禮疏曰按儀禮冠義有天子諸侯十二而冠之文說者曰人君之早冠也王敎之本不可以童子之道治焉又按冠
文獻攷略v1僉○肅宗壬戌八年十二月減去各陵忌辰祭油果及果品所加綵花以大司憲李端夏陳疏請減議大臣從之寶鑑合錄
山陵都監儀軌n1-2책監提調知事朴信圭工曹參判李翊相戶曹參判李翊禮曹判書李端夏觀象監提調副司直申翼相都承旨洪萬容
山陵都監儀軌n1-2책初七日 一未明摠護使中使觀象監提調申翼相禮曹判書 李端夏都承旨洪萬容都監堂上以下及相地官 副司果愼景尹漢城
莊陵封陵都監儀軌掌令尹舜擧爲寧越郡守時 撰魯陵志 備載其事 故相臣李端夏家 亦有所記錄 而 頗詳其事跡 如此之人 似當有旌
光海喪謄錄n1-1책十二月初十日左議政賑恤廳堂上請對引見入侍時行護軍 李端夏所啓王后考妣十六房四仲朔四名日兩忌辰祭祭需 例自奉
仁宣王后國恤謄錄: 甲寅(1674) - (1676)敎與大臣所 啓亦合權宜而禮典所載之外似難變通副提學李端夏以爲 天子諸候之喪第三日小斂乃是禮經而五禮儀所載實
[國朝寶鑑]監印廳儀軌n1-1책寶鑑十編隨箚以進上下敎嘉奬命賜馬箚曰議政府左參贊臣李端夏伏以臣先父臣植在仁祖 朝箚請刊正宣廟朝誣史朝廷遂以
[國朝寶鑑]監印廳儀軌n1-1책張九編十五張十編二十八張○正憲大夫行議政府左參贊臣李端夏
顯宗大王實錄改修廳義軌修廳都廳堂上 兼兵曹判書金錫胄 再箚遞 工曹參判李端夏 吏曹參判李敏敍 行弘文館副提學金萬重 都廳郞廳
顯宗大王實錄改修廳義軌 同月初十日 工曹參判李端夏請勿罷史局上疏 伏以臣民無祿 聖妃昇遐 萬姓悲疏如
顯宗大王實錄改修廳義軌 事力無以推移 不得不姑停是白如 乎 觀此工曹參判李端夏上疏 則移奉實錄於閑曠公廨只留 各司 有料布書吏.
顯宗大王實錄改修廳義軌月)十四日 實錄改修廳郞廳以摠裁官意 啓曰工曹參判李端夏上疏 備邊司覆 啓 本廳仍存勿罷 而 實錄移奉處所
顯宗大王實錄改修廳義軌 五月初三日 大臣備局堂上引見入侍時 禮曹判書李端夏所 啓趙師錫所達國朝典禮沿革考出 作爲一書事 不必
顯宗大王實錄改修廳義軌卒哭後 更 稟設局之意 入 啓蒙允 而又因本廳堂上李端夏上疏 堂上四員則仍存勿減郞廳及員役 姑爲減省事 覆
顯宗大王實錄改修廳義軌 同日(二十六日) 晝講入侍時 同知事李端夏所啓 在前則以謄錄郞廳一員 直 宿於 實錄廳 而近
顯宗大王實錄改修廳義軌印出矣 堂上多有事 故其所纂修不 能如所料已極可慮李端夏自初專任史事 而意外狼狽下鄕 史 事未免潰裂 不幸
顯宗大王實錄改修廳義軌實錄改修之役 因堂上不齊 漸至遷延 誠極可慮左參贊李端夏 狼狽下鄕之後 前後疏批不啻勤懇 且降別諭 聖意
顯宗大王實錄改修廳義軌謄錄郞廳竝錄 議政府領議政金壽恒 堂上 吏曹判書李端夏仕一百六十三日 工曹判書申晸仕三百十日 吏曹判書李
顯宗大王實錄改修廳義軌一 甘今結 八月初八日晝講入待時 本廳堂上行副護軍李端夏敎 是 別工作停罷之意榻前定奪 而別工作所屬書員.
徽陵誌李端夏撰臣朗原君偘書
靑邱風雲v1壽恒趙復陽字仲初吏判肅宗入學文衡浦渚翼子號松谷金萬基字永叔父益謙叔益煕號瑞巖石諡文忠李端夏字季周號松磵植子以通政陞文衡見肅宗相臣錄
靑邱風雲v1而疑以是論議岐異西人之中老少標榜立矣當時廟朝之士前輩五六人有金萬基金錫胄閔鼎重閔維重金壽興金壽恒李端夏李敏敍等咸宗宋時烈不與時議其號老論者以年位尊也趙持謙韓泰東等自成一黨以排勳戚自名淸流朴世采吳
東國續修文獻錄v1義人文右相淸白吏忠貞金錫胄字斯白號息庵堉孫文右相文忠南九萬字雲路號藥泉智后文領相致仕文忠李端夏字季周號畏齋荇后文左相文忠鄭載嵩字子高太和子文右相趙師錫字公擧號晩晦楊州人文左相忠憲李䎘字
東國續修文獻錄v1肅宗朝趙復陽仲初松谷豐壤人吏判金萬基永叔瑞石光山人兵判金錫胄見相李端夏見相南九萬見相閔點聖與雙梧驪興人贊成金萬重重叔西浦光山人兵判李敏敍彝卿西河全州人吏判閔黯見相南龍翼見
國朝人物志v3許積往解之只得革職素有雅量淸差大喝時家人親舊無不涕泣時術怡然曰死生在天非人力可得言笑如平日李端夏謂人曰李公臨不測之禍髭髮勝昔是誠不可及者同春宋公貽書曰聞公無絲毫動心使人增氣自愧相知
國朝人物志v3畏齋李端夏撰墓志
國朝人物志v3重子生稟絶異器量沈毅癸丑生員甲子文科拜禮兵兩佐郞歷副校理上命卜相加卜至六而大臣金壽恒李端夏請對稟旨以趙師錫拜相鎭周慨然曰置相大事而如是苟且遂投疏論之官至吏曹判書諡忠簡梅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