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정재희(鄭載禧)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815C7ACD76CB1631X0
자(字)자순(子純)
호(號)양촌(陽村)
생년1631(인조 9)
졸년1711(숙종 37)
시대조선중기
본관동래(東萊)
활동분야문신 > 문신
정지화(鄭知和)
생부정지화(鄭至和)
조부정광경(鄭廣敬)

[상세내용]

정재희(鄭載禧)
1631년(인조 9)∼1711년(숙종 37).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자는 자순(子純), 호는 양촌(陽村).

이조판서 정광경(鄭廣敬)의 손자로, 정지화(鄭至和)의 아들이며, 좌의정 정지화(鄭知和)에게 입양되었다.

효종의 넷째 부마인 동평위(東平尉) 정재륜(鄭載崙)과는 재종간이다.

1660년(현종 1)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고, 승문원부정자로 임용되어 『효종실록』 편찬에 참여하였다.

1665년 이후 사헌부지평장령집의사간원정언을 거쳤고, 홍문록에 뽑힌 뒤 홍문관수찬을 거쳐서 1674년에는 동부승지가 되었다.

집의로 재직 때는 진주목사가 환곡을 이용하여 부정축재한 사실을 적발하기도 하였다.

1680년(숙종 6) 경신환국 이후 승지로서 조지겸(趙持謙)과 함께 역관의 말만 믿고 연행에서 귀환한 정사 오시수(吳始壽)를 사사(賜死)한 결정은 잘못된 것이라 하여 송시열(宋時烈)을 비난하였고, 다음해에는 경기도관찰사로서 김석주(金錫胄)의 심복인 남두북(南斗北)을 비판하는 등, 노소분열 초기부터 소론의 입장에 동조하였다.

이후 남인 재집권기까지는 주로 대사헌도승지대사간을 역임하였다.

1694년 갑술환국이 되고, 폐서인(廢庶人)된 민비의 복위를 도모하였던 노론 김춘택(金春澤), 소론 한중혁(韓重赫)의 옥사가 남인 민암(閔黯) 등의 옥사로 전복되었을 때, 동의금부사로서 국옥에 참여하였다.

이때 그는 서문중(徐文重)과 함께 압슬 같은 혹형을 피하면서 재판을 신중히 진행할 것을 주장하였는데, 당시는 노소대립이 격화된 때였으므로 노론인 지평 정호(鄭澔)로부터 복위된 곤전을 위해하려는 민암 같은 무리를 옹호하려는 당파적 경향으로서 그 술수는 남곤(南袞)심정(沈貞)과 같다고 하는 비난을 받고 정치계에 환멸을 느껴서 관직을 버리고 고향인 경기도 과천으로 돌아간 뒤 다시 관계에 돌아오지 않았다.

이후 소론의 지도자인 남구만(南九萬)서문중이 계속 다시 임용할 것을 주장하여 대사헌좌참찬개성유수 등이 제수되었으나 응하지 않았고, 평안감사예조판서가 제수되었을 때는 성외까지 왔다가 병을 칭탁하여 사직하고 그날로 귀향하였다.

[참고문헌]

顯宗實錄
顯宗改修實錄
肅宗實錄
國朝榜目

[집필자]

박광용(朴光用)
대표명정재희(鄭載禧)
성명정재희(鄭載禧)
자순(子純)
양촌(陽村), 용호(龍湖)

성명 : "정재희(鄭載禧)"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紀年便攷v26鄭載禧
紀年便攷v26鄭載禧以察訪至和子為叔父知和后仁祖辛未生字子純號陽村又龍湖顯宗庚子登明經科官止崇祿禮判八枚卜退休不起父子連
景孝殿郎廳先生案 判書 鄭載禧
郯述v03鄭載禧
山陵都監儀軌n1-2책非後 稟處何如康熙十九年十二月十三日同副承旨 臣 鄭載禧次知 啓依允 庚申十一月十三日都監郞廳以摠護使意
明聖王后國恤儀軌n1-1책信圭 癸亥十二月初五日以甲子四月初五日至 禮曹參判鄭載禧 癸亥十二月初五日以甲子二月十八日大司諫遷轉代 參
仁敬王后國恤謄錄n1-3책膳封進之意回移何如康熙十九年十一月初九日 左承旨臣鄭載禧次知啓依允
禁衛營謄錄n1-121책本府■何如■乞喩若只■■旣速■爲白只爲 戶曹判書趙鄭載禧李頥命○尹世紀崔奎瑞閔鎭厚趙相愚禁衛大將兵曹判書尹
禁衛營謄錄n1-121책邏被捉乙仍于依法決棍爲白臥乎事兵曹判書望戶曹判書趙鄭載禧○李頥命趙相愚崔奎瑞 閔鎭厚禁衛大將兵曹判書李頥命
禁衛營謄錄n1-121책則何以爲之敢稟傳曰發牌郎廳分付兵曹判書望戶曹判書趙鄭載禧■趙相愚尹崔奎瑞閔鎭厚
禁衛營謄錄n1-121책段依前以入 直訓鍊都監砲手替把爲白臥乎事兵曹判書望鄭載禧尹崔奎瑞閔鎭厚○李 金昌協李益壽 道敎是十二月十八
孝宗大王實錄纂修廳儀軌副正字李翊相權知承文院副正字鄭載嵩權知承文院副正字鄭載禧權知承文院副正字申厚載權知承文院副正字李猶龍權知承
孝宗大王實錄纂修廳儀軌十八日啓下辛丑二月初一日畢役減下 權知承文院副正字鄭載禧 庚子八月二十八日啓下辛丑二月初一日畢役減下 權知
璿源譜略校正廳儀軌申汝哲行司直吳始復行贊善尹極知中樞 朴世堂禮曹判書鄭載禧吏曹判書閔鎭周刑曹判書金鎭龜左參 贊李彦綱戶曹判書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2010-06-18 조선왕조실록 효종 7년 8월 29일 자 "공주는 바로 상의 넷째 딸이다."라는 내용을 참고하여 정재륜을 효종의 다섯째 부마에서 넷째부마로 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