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응기(金應箕)
[요약정보]
UCI | G002+AKS-KHF_13AE40C751AE30B1455X0 |
자(字) | 미수(眉叟) |
호(號) | 병암(屛菴) |
시호(諡號) | 문대(文戴) |
생년 | 1457(세조 3) |
졸년 | 1519(중종 14) |
시대 | 조선전기 |
본관 | 선산(善山) |
활동분야 | 문신 > 문신 |

부 | 김지경(金之慶) |
출신지 | 선산 |

[상세내용]
김응기(金應箕)
1457년(세조 3)∼1519년(중종 14).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 자는 미수(眉叟), 호는 병암(屛菴).
부친은 대사헌 김지경(金之慶)이며, 선산 출신이다.
1477년(성종 8)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검열이 되고, 1482년에 수찬에 오른 뒤 예조정랑‧성균관사유(成均館師儒)‧경연시강관(經筵侍講官)‧집의(執義)를 거쳐서, 1492년 홍문관직제학이 되었다.
이어서 좌‧우부승지를 거쳐 이듬해에는 도승지가 되었고, 1496년(연산군 2) 강원도관찰사로 나갔다가 곧 돌아와 동지성균관사‧관상감제조(觀象監提調)‧공안상정사제조(貢案詳定司提調)를 역임하였다.
1498년 호조참판이 되었으며, 이듬해에는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가 되어 천추사(千秋使)로 명나라에 다녀와 공조참판이 되었다.
1500년에 한성부판윤이 된 뒤 곧 형조판서가 되었으며, 지의금부사(知義禁府事)‧세자우빈객(世子右賓客)을 지내고, 1504년 갑자사화로 문외출송(門外黜送)당하였다.
1506년 중종이 즉위하자 이조판서가 된 뒤 병조‧공조‧예조판서를 차례로 지내고, 1513년(중종 8) 우의정이 되었으며, 좌의정을 거쳐 1518년 영중추부사(領中樞府事)가 되었다.
그는 학식이 넓어 천문‧지리‧수학에까지 정통하였고, 언행이 법도에 맞아 사람들은 그를 ‘동방의 부자(夫子)’라고 존경하였다. 성종의 신임이 두터워 10여년 동안 강연(講筵)을 맡았다. 시호는 문대(文戴)이다.
부친은 대사헌 김지경(金之慶)이며, 선산 출신이다.
1477년(성종 8)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검열이 되고, 1482년에 수찬에 오른 뒤 예조정랑‧성균관사유(成均館師儒)‧경연시강관(經筵侍講官)‧집의(執義)를 거쳐서, 1492년 홍문관직제학이 되었다.
이어서 좌‧우부승지를 거쳐 이듬해에는 도승지가 되었고, 1496년(연산군 2) 강원도관찰사로 나갔다가 곧 돌아와 동지성균관사‧관상감제조(觀象監提調)‧공안상정사제조(貢案詳定司提調)를 역임하였다.
1498년 호조참판이 되었으며, 이듬해에는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가 되어 천추사(千秋使)로 명나라에 다녀와 공조참판이 되었다.
1500년에 한성부판윤이 된 뒤 곧 형조판서가 되었으며, 지의금부사(知義禁府事)‧세자우빈객(世子右賓客)을 지내고, 1504년 갑자사화로 문외출송(門外黜送)당하였다.
1506년 중종이 즉위하자 이조판서가 된 뒤 병조‧공조‧예조판서를 차례로 지내고, 1513년(중종 8) 우의정이 되었으며, 좌의정을 거쳐 1518년 영중추부사(領中樞府事)가 되었다.
그는 학식이 넓어 천문‧지리‧수학에까지 정통하였고, 언행이 법도에 맞아 사람들은 그를 ‘동방의 부자(夫子)’라고 존경하였다. 성종의 신임이 두터워 10여년 동안 강연(講筵)을 맡았다. 시호는 문대(文戴)이다.
[참고문헌]
成宗實錄
燕山君日記
中宗實錄
國朝名臣錄
燃藜室記述
國朝榜目
國朝人物考
陰菴日記
燕山君日記
中宗實錄
國朝名臣錄
燃藜室記述
國朝榜目
國朝人物考
陰菴日記
[집필자]
홍순창(洪淳昶)
명 : "응기(應箕)"에 대한 용례
수정일 | 수정내역 |
---|---|
2005-11-30 | 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