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김응기(金應箕)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AE40C751AE30B1455X0
자(字)미수(眉叟)
호(號)병암(屛菴)
시호(諡號)문대(文戴)
생년1457(세조 3)
졸년1519(중종 14)
시대조선전기
본관선산(善山)
활동분야문신 > 문신
김지경(金之慶)
출신지선산

[상세내용]

김응기(金應箕)
1457년(세조 3)∼1519년(중종 14).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 자는 미수(眉叟), 호는 병암(屛菴).

부친은 대사헌 김지경(金之慶)이며, 선산 출신이다.

1477년(성종 8)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검열이 되고, 1482년에 수찬에 오른 뒤 예조정랑성균관사유(成均館師儒)경연시강관(經筵侍講官)집의(執義)를 거쳐서, 1492년 홍문관직제학이 되었다.

이어서 좌‧우부승지를 거쳐 이듬해에는 도승지가 되었고, 1496년(연산군 2) 강원도관찰사로 나갔다가 곧 돌아와 동지성균관사관상감제조(觀象監提調)공안상정사제조(貢案詳定司提調)를 역임하였다.

1498년 호조참판이 되었으며, 이듬해에는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가 되어 천추사(千秋使)명나라에 다녀와 공조참판이 되었다.

1500년에 한성부판윤이 된 뒤 곧 형조판서가 되었으며, 지의금부사(知義禁府事)세자우빈객(世子右賓客)을 지내고, 1504년 갑자사화로 문외출송(門外黜送)당하였다.

1506년 중종이 즉위하자 이조판서가 된 뒤 병조공조예조판서를 차례로 지내고, 1513년(중종 8) 우의정이 되었으며, 좌의정을 거쳐 1518년 영중추부사(領中樞府事)가 되었다.

그는 학식이 넓어 천문‧지리‧수학에까지 정통하였고, 언행이 법도에 맞아 사람들은 그를 ‘동방의 부자(夫子)’라고 존경하였다. 성종의 신임이 두터워 10여년 동안 강연(講筵)을 맡았다. 시호는 문대(文戴)이다.

[참고문헌]

成宗實錄
燕山君日記
中宗實錄
國朝名臣錄
燃藜室記述
國朝榜目
國朝人物考
陰菴日記

[집필자]

홍순창(洪淳昶)

명 : "응기(應箕)"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國朝編年v06復則延訪之意安在此事國論皆然不必留難也順孫曰前日與成希顔金應箕往吊柳順汀之卒嘗議此事希顔以爲追復當矣應箕亦以爲前議誤矣持平柳灌曰凡事須以實而後可以應答天譴今引群臣延訪闕失夫國家之事安有大於昭陵之事乎須於今
紀年便攷v5曾孫應箕見下玄孫振宗見下
紀年便攷v11酉登春埸試厯南床翰林踐履端重操存誠敬平生無疾言遽色大為成宗所器重中宗癸酉入相至左先是三公闕朝野屬望於應箕成希顏颺言曰應箕雖美如金玉當國家有爲之日無能徃来至是始拜相為人端厚博學天文地理筭數之學無不精通及其為
紀年便攷v11翰林踐履端重操存誠敬平生無疾言遽色大為成宗所器重中宗癸酉入相至左先是三公闕朝野屬望於應箕成希顏颺言曰應箕雖美如金玉當國家有爲之日無能徃来至是始拜相為人端厚博學天文地理筭數之學無不精通及其為相名損於素望己卯
震乘總v3監鄭光弼拜相司鄭光弼爲右議政時三公有闕朝野屬望金應箕成希顔獨颺言應箕雖美如金玉當國家有爲之日無能往來應箕踐履端重操存誠敬平生無疾言遽色大爲成廟所器重而希顔不稽象論妄加貶毁朝論惜之光弼風骨奇偉胸次恢曠外和內
震乘總v3廟松木追復昭陵祔太廟見文宗記○以咸鏡監鄭光弼拜相司鄭光弼爲右議政時三公有闕朝野屬望金應箕成希顔獨颺言應箕雖美如金玉當國家有爲之日無能往來應箕踐履端重操存誠敬平生無疾言遽色大爲成廟所器重而希顔不稽象論妄加貶
寒臯觀外史v3應箕字伯春號屏庵善山人官左相謚文戴公弼字希亮號菊逸齋交河人官領敦
寒臯觀外史v8原注除職人謂之政 ○文瑾字士輝甘泉人號梅溪官刑参○應箕字伯春號屏庵善山人謚文戴光弼字士勛號守夫東萊人謚文翼配享中廟廟庭繼孟字希醇號墨巌全義人謚文平衮字士華
寒臯觀外史v10至是力薦之由監司而加階爲賛成賛成而爲政承皆希顏之力也三公有闕朝野皆屬望於領事金應箕上卜相於宰樞宋軼薦應箕柳洵意在應箕而重違希顏之旨并薦光弼希顏獨颺言曰今日擇相當以灮弼爲得以申用漑爲次如應箕雖如精金美玉當國
寒臯觀外史v10監司而加階爲賛成賛成而爲政承皆希顏之力也三公有闕朝野皆屬望於領事金應箕上卜相於宰樞宋軼薦應箕柳洵意在應箕而重違希顏之旨并薦光弼希顏獨颺言曰今日擇相當以灮弼爲得以申用漑爲次如應箕雖如精金美玉當國家有爲之時無
寒臯觀外史v10卜相於宰樞宋軼薦應箕柳洵意在應箕而重違希顏之旨并薦光弼希顏獨颺言曰今日擇相當以灮弼爲得以申用漑爲次如應箕雖如精金美玉當國家有爲之時無能徃當且已位極樞府與聞國政不必更登
寒臯觀外史v10當且已位極樞府與聞國政不必更登台司實沮入相之路也應箕踐履端重操存誠敬平生無疾言遽色大爲成廟所器重希顏不稽衆論妄加譏貶取舍顚倒朝論惜之應箕字伯春號屏庵善山
寒臯觀外史v10應箕字伯春號屏庵善山人官左相謚文戴軼字可中礪山人官領相謚肅靖用漑字漑之號二樂亭高霛人官左相謚文景
國朝人物志v1澍曾孫世宗朝以蔭進累歷臺諫論事不撓四爲監司所至皆治官至知中樞府事諡景質子應箕文科左相大東韻玉之慶弟成慶字子榮成宗壬辰文科獻納國朝榜目
國朝人物志v1監司五曹判書平生無疾言遽色大爲上所器三公有闕朝野皆屬望上嘗卜相於宰樞宋軼薦應箕柳洵亦意在應箕而重違成希顏之志竝薦鄭光弼希顏颺言曰今日擇相以鄭光弼爲得申用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