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석희(申錫禧)
[요약정보]
UCI | G002+AKS-KHF_13C2E0C11DD76CB1808X0 |
자(字) | 사수(士綬) |
호(號) | 위사(韋史) |
시호(諡號) | 효문(孝文) |
생년 | 1808(순조 8) |
졸년 | 1873(고종 10) |
시대 | 조선후기 |
본관 | 평산(平山) |
활동분야 | 문신 > 문신 |

부 | 신재정(申在正) |
생부 | 신재업(申在業) |

[관련정보]
[상세내용]
신석희(申錫禧)
1808년(순조 8)∼1873년(고종 10).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자는 사수(士綬), 호는 위사(韋史). 신재업(申在業)의 아들이다. 신재정(申在正)에게 입양되었다.
1848년(헌종 14) 5월 증광별시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849년(철종 즉위) 11월 오정수(吳正秀)‧박규수(朴珪壽) 등과 함께 홍문록(弘文錄)에 올랐으며, 이후 황해도암행어사‧규장각직각‧도청응교(都廳應敎) 등을 역임하였고, 1854년에는 순천부사로서 수재피해수습에 진력하기도 하였다.
이듬해 6월 성균관대사성으로 전보된 이후에는 홍문관부제학‧이조참의‧규장각직제학‧이조참판‧황해도관찰사‧도총관‧예조판서‧한성부판윤 등을 거쳐 1863년 형조판서에 이르렀다.
1864년(고종 1) 김병학(金炳學)‧강시영(姜時永) 등과 함께 실록교정청의 당상이 되었으며, 홍문관제학‧예문관제학‧대사헌‧규장각제학‧이조판서‧예조판서‧수원유수 등을 역임하였다.
1873년 1월 사은정사(謝恩正使)로 선임되었으나, 병으로 인하여 이근필(李根弼)과 교체되었다. 같은해 2월 예문관제학을 역임하였다. 시호는 효문(孝文)이다.
1848년(헌종 14) 5월 증광별시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849년(철종 즉위) 11월 오정수(吳正秀)‧박규수(朴珪壽) 등과 함께 홍문록(弘文錄)에 올랐으며, 이후 황해도암행어사‧규장각직각‧도청응교(都廳應敎) 등을 역임하였고, 1854년에는 순천부사로서 수재피해수습에 진력하기도 하였다.
이듬해 6월 성균관대사성으로 전보된 이후에는 홍문관부제학‧이조참의‧규장각직제학‧이조참판‧황해도관찰사‧도총관‧예조판서‧한성부판윤 등을 거쳐 1863년 형조판서에 이르렀다.
1864년(고종 1) 김병학(金炳學)‧강시영(姜時永) 등과 함께 실록교정청의 당상이 되었으며, 홍문관제학‧예문관제학‧대사헌‧규장각제학‧이조판서‧예조판서‧수원유수 등을 역임하였다.
1873년 1월 사은정사(謝恩正使)로 선임되었으나, 병으로 인하여 이근필(李根弼)과 교체되었다. 같은해 2월 예문관제학을 역임하였다. 시호는 효문(孝文)이다.
[참고문헌]
哲宗實錄
高宗實錄
國朝榜目
增補文獻備考
淸選考
高宗實錄
國朝榜目
增補文獻備考
淸選考
[집필자]
남인국(南仁國)
명 : "석희(錫禧)"에 대한 용례
수정일 | 수정내역 |
---|---|
2005-11-30 | 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