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김종수(金鍾秀)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AE40C885C218B1728X0
자(字)정부(定夫)
호(號)몽오(夢梧)
시호(諡號)문충(文忠)
생년1728(영조 4)
졸년1799(정조 23)
시대조선후기
본관청풍(淸風)
활동분야관료 > 권신
김치만(金致萬)
증조부김구(金構)
처부윤득경(尹得敬)
출신지서울
저서『몽오집』

[상세내용]

김종수(金鍾秀)
1728년(영조 4)∼1799년(정조 23). 정조 때의 권신(權臣). 본관은 청풍(淸風). 자는 정부(定夫), 호는 진솔(眞率) 또는 몽오(夢梧). 서울 출신.

우의정 김구(金構)의 증손자이고, 시직(侍稷) 김치만(金致萬)의 아들이며, 교리 윤득경(尹得敬)의 사위이다.

1768년(영조 44)에 문과에 급제하여 예조정랑홍문관부수찬을 지내고, 왕세손을 시강원필선으로 성실히 보좌하였다.

이때 외척의 정치간여를 배제해야 한다는 의리론이 정조에게 깊은 감명을 주어, 뒷날 정치의 제1의리로 삼은 정조의 지극한 신임을 받았다.

1772년에는 청명(淸名)을 존중하고 공론을 회복하여 사림정치의 이상을 이루려는 이른바 청명류(淸名流)의 정치적 결사가 드러나 당파를 없애려는 영조에 의해 조정(趙晸)김치인(金致仁)정존겸(鄭存謙)이명식(李命植) 등과 함께 그 지도자로 지목되어 경상도 기장현금갑도(金甲島)로 유배되었다가 다음해에 방면되었다.

영조가 죽자 행장찬집당상(行狀纂輯堂上)이 되었고, 그뒤 승지경기도관찰사평안도관찰사를 거치고, 규장각의 제도가 정비되면서 제학에 임명되었다.

1781년(정조 5)에 대제학에 올랐고, 그뒤 이조판서병조판서를 거쳐 1789년에 우의정에 올랐다.

1792년에 영남만인소(嶺南萬人疏)가 올라와 사도세자를 위한 토역(討逆)을 주장하자, 예전에 정조와 대담하였던 내용인 “순(舜)‧주공(周公)과 같은 대공지정(大公至正)의 도리로서 부모를 섬김이 효도”라는 상소문을 올려 이 논의를 가라앉혔다.

다음해에 좌의정에 임명되었고, 1794년에 사도세자를 위한 토역을 다시 주장한 남인 채제공(蔡濟恭)과 양립할 수 없다는 의리를 굽히지 않음으로써 정조의 두 의리를 조제하는 탕평에 대한 배신으로 지목되어 평해에 유배, 남해에 이배되었다가 그해에 치사(致仕)하여 봉조하가 되었다.

순조 때에는 척신인 김구주(金龜柱)심환지(沈煥之)들과 당파를 이루어 정조를 기만하고 뒤에서 그 치적을 파괴하여 자신의 이익을 추구했다 하여 관작이 추탈되었다가 곧 회복되기도 했다.

1802년(순조 2)에 유언호(兪彦鎬)와 함께 정조묘정에 배향되었다. 임성주(任聖周)윤시동(尹蓍東)김상묵(金尙黙) 등과 친하게 교유하였는데, 어려서부터 경술(經術)로써 일세를 풍미하였다 한다.

정조윤시동채제공과 더불어 3인을 자신의 의리를 조제하는 탕평의 기둥으로 지적하였다.

『문신강제절목(文臣講製節目)』을 찬진하였으며, 저서로는 『몽오집』이 있다.

[참고문헌]

英祖實錄
正祖實錄
純祖實錄
夢梧集
本庵集
恩坡散稿

[집필자]

박광용(朴光用)
대표명김종수(金鍾秀)
종수(鍾秀)
성명김종수(金鍾秀)
시호문충(文忠)
정부(定夫)
몽촌(夢村)

성명 : "김종수(金鍾秀)"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歷代總要v04配享金鍾秀左議政文忠公兪彦鎬左議政文忠公
國朝彙鑑v5敎曰自庚戌至于今保護祖孫之親兼輔導之師及至庚申以後大功偉績可勝言哉予之有今日國之賴太平是誰之賜命追奪金鍾秀官爵黜廟廷配享三司及賓廳以鍾秀陰襲龜祿之凶言有疑亂矯誣之罪聲討齊發合辭屢請從之九年秋八月初九日丁酉元
見睫錄v1領相忠憲公徐命善左相文忠公金鍾秀左相文靖公李福源
待闡錄v5中五條逆案於渠斷案此不詳錄亦有無問目之供辭事極疏忽問郞一幷推考於是承旨李義翊初名商巖以商輅故今改名云金鍾秀疏略曰賊翔親訊之時以五條事下問一曰上書中溫室樹事也二曰寧得罪於儲君不敢違其指使者出於僥倖之心也三曰先
政堂故事v8作俑者當親問正刑以厲頹俗枝葉趨附旣皆嚴外況其本與窩主乎付処太輕金致仁海南遠竄又曰一黨復成三黨合勢向者金鍾秀之泰行天討金疏斥洪鳳漢庭請罪坮臣事爲承上意而請非言官是爲奉行天討云云義子之目鍾秀何逃陋矣一人不足道也
政堂故事v8淸黨柳焵兪恒柱美其名而倒其黨無狀亨元恍惚其說何足數也云云前大憲韓光會刋板柳焵楸子島兪恒柱黑山永爲庶民金鍾秀機張尹耆東甲山投畀傳曰祭文製下故領相家致祭金在魯廿三日傳曰昨日講對意蓋深矣諒其君心而宜皆慷慨而只以鄭
政堂故事v8大憲嚴璹大諫南玄老校理李坤合啓上曰負國忘先問其本則卽由義子能譎金鍾秀而淸類名類勸其叔而恐動軟弱其叔陷於誘而若此三黨趨附云云一女呼冤五月飛霜且於耽羅其若不虞新婦靑孀奚此東
國朝捷錄v01金鍾秀
國朝捷錄v01景源字大卿號江漢判府虎村十四代孫升源六寸父璣獨石爀七代孫台廷彧八代孫李福源見相錄祖判書正臣父判書喆輔金鍾秀見相錄李徽之補遺見相錄洪樂純補遺見相錄吳載純字文卿瑗之子判中文靖公號醇庵洪良浩字漢師號耳溪吏判敬謨祖
國朝捷錄v01正宗大王室領議政兪彦鎬領議政文忠公金鍾秀丁卯以罪黜代金熤入
景孝殿郎廳先生案 判書 金鍾秀
上號都監儀軌行司直臣金華鎭臣韓光會淸川君臣金鍾正判敦寧府事 臣金鍾秀行司直臣尹東暹行議政府右參贊臣金魯鎭行 漢城府判尹
上號都監儀軌入 之意敢啓傳曰知道 都監別單 玉冊文製述官大提學金鍾秀 預差行副司直吳載純 書寫官領敦寧府事洪樂性 預差
上號都監儀軌丙午十二月二十八日 都監郞廳以都提調意啓曰大提學 金鍾秀撰進玉冊文中有一句疊字兩處故改付標以入 之意敢啓傳
上號都監儀軌郞廳以都提調意啓曰本都監堂上 金憙罷職代行工曹判書金鍾秀差下合政院催促上來使 之察任何如傳曰判書在外情理勢
上號都監儀軌酌分等施賞 傳曰王大妃殿加上尊號玉冊文製述官大提學金鍾秀 加資書寫官領敦寧洪樂性玉寶篆文書寫官領議 致仁熟
上號都監儀軌啓下丁未正月初八日至 都監別單 玉冊文製述官大提學金鍾秀 書寫官領敦寧府事洪樂性 玉寶篆文書寫官議政府領議
國恤謄錄n1-2책吉地效靈園寢將遷援舊伐木申告用虔已上因傳敎大提學臣金鍾秀製進宗廟遣大臣破舊園告由祭祝文 修改祭兼行 載遷園
禁衛營謄錄n1-121책月十九日 今四月十八日專經文武臣殿講入侍時吏曹判書金鍾秀 所啓銓法至嚴至於事關掌旨後擧行者尤不欲闊狹 於格
禁衛營謄錄n1-121책法何如上曰依爲之同日入侍時右議政李所啓伏聞吏曹判書金鍾秀 以禁衛營郞廳望單子大違前例仰請勿施蒙允矣該營大將
禁衛營謄錄n1-121책鄕軍三哨京標下各色軍六百八十名依兵曹節目兼 大將臣金鍾秀率領結陣於板前屛門前路爲白乎旀 大駕詣景慕宮展拜敎
[國朝寶鑑]監印廳儀軌n1-1책役爲難難以出去矣 同月初十日(壬寅五月) 答大提學金鍾秀疏曰省疏具悉寶鑑印役方張本館事可 悶卿其勿辭俟少間
[國朝寶鑑]監印廳儀軌n1-1책兼弘文館大提學藝文 館大提學知成均館事奎章閣提學臣金鍾秀拜手稽首謹 跋
[國朝寶鑑]監印廳儀軌n1-1책徐命膺知中樞府事蔡濟恭判敦寧府事黃景源議政府左參贊金鍾秀刑曹判書兪彦鎬禮曹判書鄭民始平安監司徐浩修漢城府判
[國朝寶鑑]監印廳儀軌n1-1책章閣提學 李福源李徽之徐命膺蔡濟恭黃景源奎章閣提學金鍾秀 兪彦鎬原任奎章閣直提學鄭民始徐浩修沈念祖奎章 閣
重訂南漢志v1駐蹕臺在東門外正宗己亥幸寧陵時駐蹕於此守禦使金鍾秀奉敎書駐蹕臺三字鐫於路傍巖石上
昭寧綏吉園保管懸板謄錄n1-1책拜上之二秊資憲大夫吏曹判書兼知經筵事 藝文館提學臣金鍾秀奉 敎謹書
韓史綮v2曰能周全予與前父子者惟蔡濟恭一人誠予之純臣爾之恩人也予豈敢忘卿遂授以官至是而大用之陞蔡濟恭爲左議政以金鍾秀爲右議政鍾秀以文學名
東國續修文獻錄v1則止軒杞溪人文左相文忠李性源字善之廷龜后文左相文肅蔡濟恭字伯觀號樊菴平康人文領相追奪後伸文肅金鍾秀字定夫號夢梧構曾孫文左相追奪後伸文忠金憙字善之號芹窩國光后文右相孝簡李秉模字彝則端夏玄孫
東國續修文獻錄v1正宗朝黃景源大卿江漢長水人吏判徐命膺君受澹翁達城人吏判李福源見相李徽之見相洪樂純見相金鍾秀見相吳載純文景醇庵瑗子吏判洪良浩漢卿耳溪豐山人吏判徐有臣舜五達城人奉朝賀
東國續修文獻錄v1樊菴同樞膺一子平康人領相文肅李福源綏之吏判喆輔子延安人左相徐命膺君受澹翁吏判宗玉子大邱人二相文衡文靖金鍾秀定夫夢梧洗馬致萬子淸風人左相文忠兪彥鎬士京右尹直基子杞溪人左相忠文鄭民始晦叔昌師子溫陽人吏判忠憲趙曔
東國續修文獻錄v1鼎仲和幸州人八十二工判鄭昌順祚天溫陽人七十二吏判申光履綏叔平山人七十三工判蔡廷夏國輔平康人八十四知敦金鍾秀見相七十二尹師國賓卿漆原人八十二刑判李普溫聖和龍仁人七十知樞洪周萬交伯南陽人八十三知敦崔夢嵒乃說朗州
國朝人物志v3數十行僦居廣陵江上讀書久而後返醇菴吳載純以胤源及沈定鎭薦于朝上問於金鍾秀對曰胤源以經學聞於世貧甚所居不蔽風雨常與吳允常講磨壬子拜繕工監役呈病遞人問何爲不仕
睡翁先生日記n1-2책弘文館大提學藝文館大提學知成均館事 奎章閣提學淸風金鍾秀謹書 右我先祖睡翁先生日記而族叔閒溪公所抄出者 也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