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김치인(金致仁)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AE40CE58C778B1716X0
자(字)공서(公恕)
호(號)고정(古亭)
시호(諡號)헌숙(憲肅)
생년1716(숙종 42)
졸년1790(정조 14)
시대조선후기
본관청풍(淸風)
활동분야문신 > 문신
김재로(金在魯)
조부김구(金構)

[상세내용]

김치인(金致仁)
1716년(숙종 42)∼1790년(정조 14).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청풍(淸風). 자는 공서(公恕), 호는 고정(古亭). 우의정 김구(金構)의 손자이고, 영의정 김재로(金在魯)의 아들이다.

1747년(영조 23) 생원시에 합격, 이듬해 춘당대문과(春塘臺文科)에 장원하여 예문관전적사간원정언을 거쳐 문경어사(聞慶御史)문경현감의 탐욕을 복명하였다. 이어 지평과 문학을 거쳐 1750년에는 호남어사로 활약하였다.

1752년 승지에 오르고, 이어 대사간비변사부제조(備邊司副提調)대사성부제학이조참판개성유수 등을 지냈다.

1762년 이후 이조호조형조판서를 지냈으며, 1765년 우의정에 올라 내의원도제조(內醫院都提調)를 겸하였다.

이듬해 좌의정을 거쳐 영의정이 되었다.

그뒤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영중추부사를 거쳐 다시 영의정을 지냈다.

1772년 당파를 조성했다는 죄로 직산현(稷山縣)으로 유배되었으나, 반년 만에 풀려나 영중추부사로 다시 서용되고, 봉조하(奉朝賀)가 되었다. 정조가 즉위하자 판중추부사로 기용되어 고부 겸 승습주청사(告訃兼承襲奏請使)의 정사로서 청나라에 다녀왔다.

그뒤 다시 영부사(領府事)를 거쳐 봉조하가 되어 『명의록(明義錄)』 편찬을 주관하고, 1785년에는 『대전통편』 편찬을 주관했다.

이듬해 영의정으로 기용되어 정조의 명으로 당쟁의 조정에 힘썼다.

성품이 치밀하고 결단력이 있는 인물로, 나라의 전고(典故)에 정통하여 이를 정사에 활용하는 데 능하였다.

편저로 『명의록』『열성지장통기(列聖誌狀通記)』가 있다. 시호는 헌숙(憲肅)이다.

[참고문헌]

英祖實錄
正祖實錄

[집필자]

오갑균(吳甲均)
대표명김치인(金致仁)
치인(致仁)
성명김치인(金致仁)
공서(公恕)
고정(古亭)

명 : "치인(致仁)"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待闡錄v3壬辰秋金致仁之啓未已自荐棘至按律先是崔益男論致仁之罪而致仁乃以不可顧嫌自請討益男至是臺啓以此爲論洪金各有黨與互相傾軋至欲相殺洪敗而金張及壬辰洪起而金
待闡錄v3壬辰秋金致仁之啓未已自荐棘至按律先是崔益男論致仁之罪而致仁乃以不可顧嫌自請討益男至是臺啓以此爲論洪金各有黨與互相傾軋至欲相殺洪敗而金張及壬辰洪起而金敗又因他事
待闡錄v4忽請放李魯春兪岳柱等蓋魯春所犯至重且大凶謀旣發至有疏句之襲用夏賊凶書句語太半皆是實非在下所敢請放者而致仁肆然請放有若泄冤而疏鬱者然上乃下一冊字示之致仁仍陳箚數行似若訟尤不過曰率爾開口上賜批曰省箚具悉卿懇筵
待闡錄v4至有疏句之襲用夏賊凶書句語太半皆是實非在下所敢請放者而致仁肆然請放有若泄冤而疏鬱者然上乃下一冊字示之致仁仍陳箚數行似若訟尤不過曰率爾開口上賜批曰省箚具悉卿懇筵退後聞因承宣轉對之奏始詳知卿意矣事係年久予亦不
玄駒說v1仁 之罪狀而首言世孫宜拜謁思悼墓與廟而久而不行請上留意而有曰一隅東城廟貌凄凉十里中浦墓木已拱云云因以致仁 爲師傅而不以仰奏請行爲罪上震怒焚其疏初竄大靜旋因臺啓加棘旋諷坮諫請拿鞠聽之時益男 三倍其行而去已越
玄駒說v1壬辰秋金致仁 之啓未已自荐棘至請按律先是崔益男 論致仁 之罪而致仁 乃以不可顧嫌自請討益男 至是坮啓以此爲論啓之辭也
玄駒說v1壬辰秋金致仁 之啓未已自荐棘至請按律先是崔益男 論致仁 之罪而致仁 乃以不可顧嫌自請討益男 至是坮啓以此爲論啓之辭也
蓬壺日記v2雖甚痛惋苟欲知夏賊之徒黨也根柢也則惟在於一問魯春故方待用刑之時更申訊鞫之請矣豈意今日遽有金致仁之事哉致仁卽一國所謂元老也其年齒也地位也受恩之厚也得君之專也果何如且於十五年廢棄之餘一朝界之以鼎軸之首殿下擧國
韓史綮v2不諳公體何以爲方伯臨民乎卽叱令還上藥且令辭職勿行王聞而嘉歎使御醫齎藥往陽仍諭勿罪載瓉前領議政金致仁卒致仁爲人抗直其爲相也每入朝於英祖岸紗帽而進英祖曰卿帽甚岸危對曰臣事事屈於殿下不可竝帽而屈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