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임성주(任聖周)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784C131C8FCB1711X0
자(字)중사(仲思)
호(號)녹문(鹿門)
시호(諡號)문경(文敬)
생년1711(숙종 37)
졸년1788(정조 12)
시대조선후기
본관풍천(豊川)
활동분야학자 > 유생
출신지청풍(淸風)
저서『녹문집』

[상세내용]

임성주(任聖周)
1711년(숙종 37)∼1788년(정조 12). 조선 중기의 학자. 본관은 풍천(豊川). 자는 중사(仲思), 호는 녹문(鹿門). 청풍(淸風) 출신.

이재(李縡)의 문인이다. 청주에 거주하다가 1733년(영조 9) 사마시에 합격, 1750년 세자익위사세마(世子翊衛司洗馬)가 되고 시직(侍直)에 승진하였으나 곧 사직하고 1758년 공주의 녹문(鹿門)에 은거하였다.

1776년 정조가 즉위한 뒤 동궁을 보도(輔導)하고 지방관을 지내다가 다시 녹문에 은거하여 학문연구로 여생을 보냈다.

초년에는 스승의 학설을 신봉하여 인물성동론(人物性同論)을 주장하였으나 중년에 이르러 기존의 학설을 비판하고 호락(湖洛)의 양론을 기일원론적(氣一元論的)입장에서 종합하여 자신의 학설을 수립하였다.

저서로 『녹문집』 26권이 있으며, 그 가운데 「녹려잡지(鹿廬雜識)」‧「산록(散錄)」 등이 중요하다. 당시 인성(人性)과 물성(物性)의 동이(同異)에 대한 입장의 차이로 호론(湖論)과 낙론(洛論)이 분열되었다.

인물성동이론(人物性同異論)은 정주(程朱)의 이일분수설(理一分殊說)에 기초를 두고 있다. 이 이일분수를 해결하기 위한 시도로서 기정진(奇正鎭)이 분수지리(分殊之理)의 개별성의 논리적 근거를 이일지리(理一之理)에 정초시키려고 한 반면, 그는 보편성의 근거를 기 자체에서 찾고 있다.

그는 우주의 본원적 일기(一氣)를 제시하여 그것을 원기(元氣)라고 하였는데, 이것은 장재(張載)가 말한 태허태화(太虛太和) 및 맹자의 호연지기(浩然之氣)에 해당된다. 보편적 일자(一者)가 현상계의 개체로 나타날 때 띠는 특수성을 그는 생의(生意)를 본질로 하는 기의 자기원인적 전개로 보고 자연이연(自然而然)한 내재적 법칙을 도(道) 또는 이(理)라고 하여, 기와 논리적으로 일단 구별된 소이연자(所以然者)를 이로 보려는 주희(朱熹)의 이기론(理氣論)을 비판한다.

이와같은 일원적 이기론의 구조로써 이일분수설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기일분수설을 제시한다. 그는 태극으로부터 음양오행, 만상(萬象)으로서의 전개를 원기가 분수지기(分殊之氣)로 개체화되는 과정이라고 보고, 기에 특수성만을 인정하는 이일분수설을 비판하여 이의 보편성은 곧 기의 보편성에 근거하고 있다고 주장하였다.

그는 이일분수설은 주리적(主理的)으로 말한 것이므로 분수도 이에 속하여야 하며, 주기적(主氣的)으로 말한다면 기일분수라고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인성론(人性論)에 있어서 성즉기(性卽氣)를 주장하고 있는데, 본연지성(本然之性)과 기질지성(氣質之性)도 구분하지 않고 인성의 선(善)은 곧 기질의 선이요, 기질 이외에 선한 성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니다.

기질의 본체는 담일(湛一)한 것으로 천지의 본원적 기와 상통하는 것인데, 기기(氣機)가 움직일 때 사재(渣滓)가 용사(用事)함으로써 심성이 흐려져 본래의 선성(善性)이 엄폐된다고 하였다. 인성주의 철학은 일원론적 구조 위에서 정초되고 있으며, 이기를 기일원론적 관념으로 통일함으로써 조선조 성리학의 결정(結晶)을 이루었다고 볼 수 있다.

[참고문헌]

鹿門集
韓國儒學史(裵宗鎬, 延世大學校出版部, 1974)

[집필자]

최영진(崔英辰)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