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윤선도(尹善道)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724C120B3C4B1587X0
자(字)약이(約而)
호(號)해옹(海翁)
생년1587(선조 20)
졸년1671(현종 12)
시대조선중기
본관해남(海南)
활동분야문신 > 문신
윤유기(尹唯幾)
생부윤유심(尹唯深)
출생지서울

[상세내용]

윤선도(尹善道)
1587년(선조 20)∼1671년(현종 12). 조선 중기의 문신‧시조작가. 본관은 해남(海南). 자는 약이(約而), 호는 고산(孤山) 또는 해옹(海翁).

예빈시부정(禮賓寺副正)을 지낸 윤유심(尹唯深)의 아들이며, 강원도관찰사를 지낸 윤유기(尹唯幾)의 양자이다.
1. 가계와 출사
서울에서 출생하였으나 8세 때 큰아버지에게 입양되어, 해남으로 내려가 살았다. 당시 금서(禁書)였던 「소학(小學)」을 보고 감명을 받아 평생의 좌우명으로 삼았다.

18세에 진사초시에 합격하고, 20세에 승보시(陞補試)에 1등하였으며 향시와 진사시에 연이어 합격하였다.
2. 병진소
1616년(광해군 8)성균관유생으로서 이이첨(李爾瞻)박승종(朴承宗)유희분(柳希奮) 등 당시 집권세력의 죄상을 격렬하게 규탄하는 「병진소(丙辰疏)」를 올려, 이로 인하여 이이첨 일파의 모함을 받아 함경도 경원으로 유배되었다. 그곳에서 「견회요(遣懷謠)」 5수와 「우후요(雨後謠)」 1수 등 시조 6수를 지었다.

1년 뒤 경상남도 기장으로 유배지를 옮겼다가, 1623년 인조반정으로 이이첨 일파가 처형된 뒤 풀려나 의금부도사로 제수되었으나 3개월 만에 사직하고 해남으로 내려갔다.

그뒤 찰방 등에 임명되었으나 모두 사양하였다.
3. 보길도 생활
1628년(인조 6) 별시문과 초시에 장원으로 합격하여 봉림대군(鳳林大君)인평대군(麟坪大君)사부(師傅)가 되었고, 사부는 관직을 겸할 수 없음에도 특명으로 공조좌랑형조정랑한성부서윤 등을 5년간이나 역임하였다.

1633년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뒤 예조정랑사헌부지평 등을 지냈다.

그러나 1634년 강석기(姜碩期)의 모함으로 성산현감(星山縣監)으로 좌천된 뒤, 이듬해 파직되었다.

그뒤 해남에서 지내던 중 병자호란이 일어나 왕이 항복하고 적과 화의했다는 소식에 접하자, 이를 욕되게 생각하고 제주도로 가던 중 보길도(甫吉島)의 수려한 경치에 이끌려 그곳에 정착하게 되었다. 정착한 그 일대를 ‘부용동(芙蓉洞)’이라 이름하고 격자봉(格紫峰)아래 집을 지어 낙서재(樂書齋)라 하였다. 그는 조상이 물려준 막대한 재산으로 십이정각(十二亭閣)‧세연정(洗然亭)‧회수당(回水堂)‧석실(石室) 등을 지어놓고 마음껏 풍류를 즐겼다.

그러나 난이 평정된 뒤 서울에 돌아와서도 왕에게 문안드리지 않았다는 죄목으로 1638년 다시 경상북도 영덕으로 귀양갔다가 이듬해에 풀려났다.
4. 시가문학
이로부터 10년 동안 정치와는 관계없이 보길도의 부용동과 새로 발견한 금쇄동(金鎖洞)의 산수 자연 속에서 한가한 생활을 즐겼다.

이때 금쇄동을 배경으로 「산중신곡(山中新曲)」‧「산중속신곡(山中續新曲)」‧「고금영(古今詠)」‧「증반금(贈伴琴)」 등을 지었다.

그뒤 1651년(효종 2)에는 정신적 안정 속에서 보길도를 배경으로 「어부사시사(漁父四時詞)」를 지었다. 다음해 효종의 부름을 받아 예조참의가 되었으나 서인의 모략으로 사직하고 경기도 양주고산(孤山)에 은거하였다. 마지막 작품인 「몽천요(夢天謠)」는 이곳에서 지은 것이다.

1657년, 71세에 다시 벼슬길에 올라 동부승지에 이르렀으나 서인 송시열(宋時烈)일파와 맞서다가 삭탈관직되었다. 이 무렵 「시무팔조소(時務八條疏)」와 「논원두표소(論元斗杓疏)」를 올려 왕권의 확립을 강력히 주장하였다.

1659년 효종이 죽자 예론문제(禮論問題)로 서인파와 맞서다가 패배하여 삼수에 유배되었다가, 1667년 풀려나 부용동에서 살다가 그곳 낙서재에서 85세로 죽었다.
5. 평가
정치적으로 열세에 있던 남인가문에 태어나서 집권세력인 서인 일파에 강력하게 맞서 왕권강화를 주장하다가, 20여 년의 유배생활과 19년의 은거생활을 하였다.

그러나 조상으로부터 물려받은 유산으로 화려한 은거생활을 누릴 수 있었고, 그의 탁월한 문학적 역량은 이러한 생활 속에서 표출되었다. 그는 자연을 문학의 제재로 채택한 시조작가 가운데 가장 탁월한 역량을 나타낸 것으로 평가되는데, 그 특징은 자연을 제재로 하되 그것을 사회의 공통적 언어관습과 결부시켜 나타내기도 하고, 혹은 개성적 판단에 의한 어떤 관념을 표상하기 위하여 그것을 임의로 선택하기도 한 데에 있다.

또, 대부분의 경우 자연은 엄격히 유교적인 윤리세계와 관련을 맺는 것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자연과 직립적인 대결을 보인다든가 생활현장으로서의 생동하는 자연은 보이지 않는다. 이것은 그가 자연이 주는 시련이나 고통을 전혀 체험하지 못하고 유족한 삶만을 누렸기 때문이다.

문집 『고산선생유고(孤山先生遺稿)』에 한시문(漢詩文)이 실려 있으며, 별집(別集)에도 한시문과 35수의 시조, 40수의 단가(어부사시사)가 실려 있다.

또, 친필로 된 가첩(歌帖)으로 「산중신곡」, 「금쇄동집고(金鎖洞集古)」 2책이 전한다. 정철(鄭澈)박인로(朴仁老)와 함께 조선시대 삼대가인(三大歌人)으로 불리는데, 이들과는 달리 가사(歌辭)는 없고 단가와 시조만 75수나 창작한 점이 특이하다. 시호는 충헌(忠憲)이다.

[참고문헌]

孤山硏究(李在秀, 學文社, 1955)
松江과 孤山의 詩境(崔珍源, 成均館大學校論文集 3, 1958)
高麗末‧李朝初의 漁父歌(李佑成, 成均館大學校論文集 9, 1964)
尹孤山論(鄭炳昱, 月刊文學 9, 1969)
尹善道의 自然觀(尹星根, 文化批評 7‧8, 1970)

[집필자]

김학성(金學成)

성명 : "윤선도(尹善道)"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歷代總要v04孝廟大喪議慈懿大妃服制吏判宋時烈主四種說朞年而首相鄭太和以國制朞年定行尹鐫許穆尹善道權諰輩以斬衰三年爲是陳疏力爭遂有甲寅追罪之擧
國朝編年v18沂墓誌○秋八月謁先聖試士取奇俊格等十人○別試取鄭昕等七人○重試取李大燁等七人○冬十一月白虹貫日○進士尹善道疏曰臣伏見近來爲股肱耳目喉舌之官論思風憲銓選之任者無非爾瞻腹心間有一二非其輩流而參錯於其中者必其爲人
國朝編年v18進士尹善道連姻柳希奮受其旨陳疏論爾瞻罪幷論希奮承宗與國同休戚之臣知爾瞻之奸而不言之罪以掩其跡李爾瞻論妄言竄北道
紀年便攷v16所著者讀朱子之論因有所感以著東漢節義之弊而已 仁祖癸亥反正後復官爵建祠于務安至賜額後撤孝宗戊戌前参議尹善道為介清上䟽長皇辨白呈政院至十度皆見却
紀年便攷v23尹善道衢曾孫以副正惟深子爲仲父兵參惟幾后尹暾婿字約而號海翁又孤山光海壬子進士從草野抗䟽請斬李爾瞻朴承宗柳希
紀年便攷v24地以求自安元翼曰早已聞之果奇士也癸酉生進俱中丁丑後廢擧謝世卜居于鷄龍之西講學談理以遺逸薦入仕嘗救權諰尹善道以此金萬基塞其臺望歷進善官止持平朝廷屢徵之皆以病辭顯宗壬子卒年七十二贈吏參祭酒玄孫光顏見下
紀年便攷v24誠號炭翁聰明穎悟絶異於人弱冠已有盛名仁祖丙子薦拜大君師傅戊子拜諮議歷進善顯宗庚子下旨特拜右尹是年疏救尹善道忤時議罷職退居越九年宋浚吉白上曰權諰愛君憂國老而彌篤不可終棄遂拜左尹有學行坦率無表襮並日而食處之晏如
紀年便攷v24南坡仁祖乙酉登別試歷翰林奉敎舍人以持平論趙氏母子事曰先王寵姬殛死先王愛子流竄引禮論論啓宋時烈以掌令救尹善道肅宗乙卯以副學陳疏言慈聖未有垂簾之事向者楨㮒汚衊之事慈殿猝御殿室親自隔窓臣隣顚倒瞻聆俱駭云云以吏判請
紀年便攷v25引武王臣文母之說時烈曰朱子旣引劉侍讀之言以爲子無臣母之義蓋邑姜也後人何敢爲此言乎許穆上疏論朞年之失禮尹善道權諰以斬衰三年爲是陳疏力爭考諸實錄貞熹王后之於睿宗小祥從吉矣遂依此施行後論說紛紜至有甲寅之擧
紀年便攷v25先是尹善道以水原府治爲上格龍天風水千載一遇之地議定新陵于水原上納其言李景奭李時白元斗杓李厚源李澥宋時烈宋浚吉等
紀年便攷v25痛及顯宗卽位乞骸骨不許鐫又流言於國中曰宋時烈有二心於國家時烈懼遂歸田里戊申入相至左致仕癸丑尹鐫使許穆尹善道等上疏論以竝禮亂統因兩司啓罷職削黜肅宗乙卯竄德源登鐵嶺有行登鐵嶺顚我心還如鐵之句又栫棘于長鬐己未鐫爲
紀年便攷v25後之習知中原程途遠近曲折每畫出師之路如指諸諸指掌顯宗己酉歸自淸謂淸可伐然國家無意用兵剛直之性出於天論尹善道逸居蔑義不宜擢寘近密以以副校理入對所奏明剴兩宋曰君側一日不可無此人肅宗己未配長興庚申入相至左爲相迎宋
紀年便攷v25湖戊子進壯己丑登庭試歷翰林典翰舍人銓郞孝宗朝選湖堂官止副學或拜或不就德望重一世而退臥山林文章氣節兼備尹善道伸救鄭介淸以爲正學端相力辨其非每承朝旨必下堂祗肅齎旨至者雖儓隷必待以賓聞大駕行幸則必下庭跪伏詩如暗燈
紀年便攷v25不可屈也浚吉笑曰第觀之彼非眞隱者也浚吉任政所薦甚衆而不爲鐫一言故終上之世官不過進善由是鐫功齒及上薨使尹善道上書言浚吉違禮亂統兪棨白上燒其書安置善道于三水府浚吉退去懷德爲吏判屢徵始入京趙絅上書言浚吉乖禮貶先王
紀年便攷v25林川仁祖昇遐與趙錫胤上疏言旣有仁宗今同用一字未安上不悅解諫職竄穩城量移寧越壬辰放歸田里上疏辨尹鐫許穆尹善道論禮之非宋時烈議北伐將以棨爲贊畫使棨之學識幾與宋時烈及宋浚吉相上下時烈浚吉甚敬重之兩家門人尹拯謂以其
紀年便攷v25試隨事敢言不悅者多終閼於檢舍玉堂之選嘗力救直言得罪者上怒與其人同竄極邊因大臣救只削其職又劾大官示罷之尹善道因禮訟將嫁禍格辨之甚晳請進善趙涑褒贈以書狀赴燕□之死脅令趨班格堅臥不起顯宗丁未福建人林寅觀等九十餘人
紀年便攷v25叔安訥后景曾從子本生閔聖徽壻仁祖甲子生字允迪號臺山乙酉進士孝宗丁酉登謁聖歷三司官止大司諫詩有家法嘗劾尹善道驕蹇李悖行禮論之禍進說卞破子光夏見下
紀年便攷v26者削奪官爵放歸田里副提學兪棨等言善道䟽語意凶慘請焚其䟽放逐四裔上従之命竄三水府○右尹權諰上䟽諭禮仍救尹善道尹善道竄配命下之後權諰上䟽曰大王大妃今日當為三年之制必然無疑今雖義起可質百世惜乎時烈浚吉棨之賢而未察
紀年便攷v26除服决不可為而三年之喪决不可不為也臣以此疏之不入此言之行不行卜主勢之固不固國祚之延不延也䟽入上下教曰尹善道心術不正敢上陰險之䟽詆譛上下之間所當䋲以重律而有不忍罪者削奪官爵放歸田里副提學兪棨等言善道䟽語意凶慘
紀年便攷v26吉劄論服制上䟽申辨仍進喪服圖及練服變改之節上以穆所進問議於宋時烈時烈又㩀禮辨明上遂従朞服之議○前參議尹善道上䟽論禮命竄三水府䟽曰孝宗大王之喪大王大妃之服考諸禮經當為齊哀三年昭然明矣當初禮官服制儀注定為朞年之
紀年便攷v26尹善道竄配命下之後權諰上䟽曰大王大妃今日當為三年之制必然無疑今雖義起可質百世惜乎時烈浚吉棨之賢而未察當為三
紀年便攷v26聖賜第非古䂓陳達取三人直赴殿試也○因旱審理放徒流以下一百九十餘人减等十九人○前判中樞府事趙絅上䟽伸救尹善道䟽曰殿下警灾之道審理寃獄最為第一議也而尹善道之獨不入於審理何也善道之罪惟以宗統嫡統為孝廟左袒也當善道
紀年便攷v26䟽曰殿下警灾之道審理寃獄最為第一議也而尹善道之獨不入於審理何也善道之罪惟以宗統嫡統為孝廟左袒也當善道投䟽之日誰為殿下進焚䟽之䇿也高麗恭愍王焚李存
紀年便攷v26倉者六萬一千二百八十石儲置本道者八萬五千八百五十四石以應中外需用○修撰洪宇遠上䟽論宋時烈議禮之錯伸救尹善道權諰趙絅䟽曰尹善道曾以宋時烈議禮之失投䟽攻斥朝論大發因此圍置極邉然其宗統嫡統之說實為明白的確不可易之
紀年便攷v26䟽曰尹善道曾以宋時烈議禮之失投䟽攻斥朝論大發因此圍置極邉然其宗統嫡統之說實為明白的確不可易之論也時烈雖以山林宿
紀年便攷v26勝境後得清江遺址乃夢中境也仍以夢灘為號仁祖己卯二十進士孝宗庚寅以參奉登増廣歴三司銓郞官止通政海伯甞論尹善道滛悖之習與李端相金夀恒交好而文章行義相伯仲孫徳夀見下玄孫翊會見下
紀年便攷v27選遠竄南龍翼削黜○命吳始復洪宇遠李袤李元楨李德周并復官㮒㯙圍籬煥爀放歸田里○命故右議政許穆致祭故㕘議尹善道父子謚爵還給故吏曺判書尹鐫復官賜祭○罪人李光漢李金重夏金煥䖏斬金益勳朴斌物故李立身南斗北并瘐死獄中○
東國歷代總目v02顯宗大王諱棩字景直孝宗大王世子在位十五年壽三十四庚子元年淸世祖順治十七年流尹善道○宋時烈等秉國政尹䥴忌忮之倡言大喪大妃宜服三年而定爲期制是卑主貳宗嗾善道疏訐上焚其章竄北邊而許穆洪宇
記聞v1後不得爲三年之文而爲朞許穆引長子死第二子亦名長子而服斬之文而爲斬許穆因宋三宰箚復疏陳卞嫡庶之別尹善道祖述其說上疏爭卞而語極悖亂有承父紹天命體祖立王之後猶不得爲嫡統而嫡統猶在於他人則是假世子乎攝皇帝乎等
大東彙纂v1白日明孤臣一死等毛輕交章直欲扶宗社肯恨今朝瘴海行癸亥反正寵加二資云云名臣錄孝廟在鳳林邸受學於師傳尹善道仍問處身之方對曰公子王孫芳樹下淸歌妙舞落花前豈不爲千古名作乎蓋諷以韜晦也孝廟每語諸駙馬曰當日善道愛
俟百錄v1欲以其妄發之言歸之於見識之誤也人必以余言爲詬宋而不知余言之深出於護宋也其後宋之書啓曰臣竊伏見尹善道疏辭則其所斥議禮之得失如臣迷暗固不敢知而其他所以斥臣之罪者則無有不是者也特善道論之太甚而已吁宋終
俟百錄v1疑之是歲夏掌令許穆陳疏以期服爲非是請因練日政爲齊衰三年蓋驪江之說也命收議於儒臣尤庵獻議辨其謬已而尹善道投疏主三年之論而專攻尤庵語意險凶蓋托於論禮而爲逞凶之計也朝野莫不駭憤時驪江在城中又貽書於穆以爲王家
俟百錄v1光潤此豈不反爲病乎始臣之來也身旣犯染故不敢入闕退伏郊外矣昨者特遣史官敎以欲爲引見故臣敢爲入來矣上曰尹善道旣出凶疏意外趙絅又發罔測之言使卿及右贊成不得安心寧有如此之時乎時烈曰當初獻議時宋浚吉言甚簡約故不
俟百錄v1已也殿下今日側身警災之道未所不至而其中審理冤獄最爲第一議也一國大小輕重縲絏之人疇不擧論於審理之中而尹善道之獨不入於審理何哉善道以必死之人生而投北聖恩固大於抑未知善道之罪何罪耶善道之罪唯於以宗統嫡統爲
俟百錄v1政院啓曰觀此上疏措語用意則全爲尹善道立幟鼓煽當初假托論禮之餘論一則曰善道之罪惟在於以宗統嫡統爲孝宗左袒上以盡忠於先王而下以勉殿下追孝之
俟百錄v1伏以臣竊伏見前參議尹善道曾以前贊成宋時烈議禮之失投疏攻斥時烈朝論大發善道仍此圍置極邊厥後仍審理量移北靑臺章又發復還前配所
野乘v1進士尹善道極言爾瞻誤國之罪
野乘v1純出江上獨爾瞻視事筠為腹心投書交搆皆筠所爲儒士李澗龜川君睟錦山君誠胤極論爾瞻纉男䓁奸囬申卞尹善道䟽入并竄龜就道詩曰為國舟忠白日明孤臣一死䓁毛軽封章直欲扶宗社莫恨今朝瘴海行及反正復官爵望見賊适於朝行
龍問門答v1人之中豈無君子西人之中亦無小人也余曰非但至壬戌至己巳戊申而皆南人之罪也子所謂云云之君子如許穆尹鎸尹善道輩首起已亥禮論搆殺尤翁其徒權大運睦來善閔黯等暗結希載釀出廢母之議其所謂禮訟者是爲己巳之張本也原曰
歷代帝王紀年v01李景奭尙輔白軒尹善道約而孤山參議尹宣擧吉甫魯西
郯述v04座目未詳○副學李顯英應敎沈之源本館錄金坽栦淰柳滉尹善道四人未參金霱洪許啓李尙馨閔光勳栦堣朴筵洪柱一李之恒吳達濟十人加入
國朝人物志v3㯙驟被嚴刑曰烏鳶卵破鳳凰不至有鄭介淸者心行邪詖嘗著排節義論斥東漢士宣祖嘗命榜示至是尹善道因事伸救至以爲正學端相力辨其非官至副提學諡文貞人物考兄一相號靑湖
國朝人物志v3主子登科甲目墀始歷三司出守水原倣呂氏鄕約設爲敎條行之一年民皆趨善爲大司諫劾尹善道貪黷縱肆曰名與實背德之賊也每自歎曰時不古矣頭臚已如許乃搆屋交河仍以河濱翁自號官至大司
國朝人物志v3欲創石欄世城以持平爭之曰晉公厚斂爲雕墻不君之譏式至于今願上察焉事遂寢拜承旨時尹善道權諰竝被臺斥將去朝上使世城諭之世城方欲稟啓上怒猝令下吏以大臣陳箚寢其命人物
國朝人物志v3朝言事出補海美縣監又以譏侮當世左遷潭陽府使顯宗卽位召以司諫許穆疏論邦禮袤謂尹善道曰邦禮大論何必使許掌令專美善道慷慨上書見配絶域袤送之江上相視而笑自是屛居田里
國朝人物志v3司諫請誅江都守將勿罪斥和諸臣爲大司憲入對直斥麟坪大君營私斂怨語甚切直趙絅疏救尹善道上特罷之兩司請竄南重以爲疏固可惡求言之日不宜重譴遂引遞祔禮太廟南重爲禮曹判書導
國朝人物志v3孝廟於序爲次嫡大王大妃不可服三年定以期年進善尹鑴使掌令許穆再上疏以爲非是尹善道乘時亦上疏上惡其陰譎棨疏請屛裔從之鑴以宗統之說激怒衆聽棨遂上箚略曰今日之大不幸者宗統之說憑
國朝人物志v3京人代納徵漁戶倍之海民皆疏散坽啓請令各道覈問一切禁抑言甚切至上嘉納之辛卯復爲掌令時尹善道以甘盤舊恩擢嘉善坽劾其行已淫侈狀甲午爲洪州牧使修理軍政招輯流亡民樹石頌德官至工曹參判
國朝人物志v3愚伏鄭經世女經世期以遠到庚午除洗馬不就沙溪歿仍師愼獨齋金集庚子論禮被尹善道劾遂待罪南歸辛丑以參贊召入京疏論時事四月趙絅疏斥甚深遂自劾乞退乙巳上幸溫泉以大司
國朝人物志v3差日本通信副使到國都倭人享之呈變幻淫巧奇怪百戲絅不爲一顧倭人心憚之不復敢衒技辛丑上疏言尹善道無罪盛斥焚疏之論三司啓請削黜上只命罷職官至大提學判中樞府事入耆社選入淸白吏案年八十四
國朝人物志v3杖流而死孝宗昇遐請行朱子君臣喪服議慈懿大妃所宜服以朞年爲定許穆疏斥朞年之失尹善道又疏論之權諰疏請原宥善道萬基遂與兪棨論善道之凶悖甲寅以肅宗國舅拜領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2010-06-01숙종실록에 따르면, 1679년 8월 2일에 시호 충헌(忠憲)을 내리고, 1680년 윤8월 10일에 시호를 삭탈했다가 1689년 2월 13일에 다시 복권함. 이를 근거하여 시호 충헌(忠憲) 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