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이덕형(李德馨)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774B355D615B1561X0
자(字)명보(明甫)
호(號)한음(漢陰)
호(號)쌍송(雙松)
호(號)포옹산인(抱雍散人)
시호(諡號)문익(文翼)
생년1561(명종 16)
졸년1613(광해군 5)
시대조선중기
본관광주(廣州)
활동분야문신 > 문신
이민성(李敏聖)
처부이산해(李山海)
저서『한음문고(漢陰文稿)』

[상세내용]

이덕형(李德馨)
1561년(명종 16)∼1613년(광해군 5).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명보(明甫), 호는 한음(漢陰)쌍송(雙松)포옹산인(抱雍散人).

지중추부사 이민성(李敏聖)의 아들이며, 영의정 이산해(李山海)의 사위이다.

어려서부터 재주가 있고 침착하였으며, 문학에 통달하여 어린 나이로 양사언(楊士彦)과 막역한 사이였다.

1580년(선조 13) 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승문원(承文院)의 관원이 되었으며, 재주 있는 신하로 선발되어 선조로부터 서적을 하사받았다.

1582년 명나라에서 조사(詔使)로 온 왕경민(王敬民)이 그를 만나려 하였으나 사사로이 면대함은 도리에 어긋남을 들어 사양하였다. 이에 왕경민은 만나보지 못함을 아쉬워하며 그의 인격이 출중함을 칭찬하는 글귀를 전하였다. 이어 정자를 거쳐 1583년에 사가독서(賜暇讀書)를 하였고, 이듬해 서총대(瑞葱臺)의 응제(應製)에서 수석에 선발되었고, 이로부터 여러 차례에 걸쳐 수석을 차지하였다.

그뒤 부수찬정언부교리를 거쳐 이조좌랑이 되었고, 1588년 이조정랑으로서 일본사신 겐소(玄蘇) 등을 접대하여 그들의 존경을 받았다.

1590년 동부승지우부승지부제학대사간대사성 등을 차례로 역임하고, 이듬해 예조참판이 되어 대제학을 겸하였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 북상중인 왜장 고니시(小西行長)충주에서 그와 만날 것을 요청하자, 이를 받아들여 단기(單騎)로 적진으로 향하였으나 목적을 이루지 못하였다. 왕이 평양에 당도하였을 때 왜적이 벌써 대동강에 이르러 화의를 요청하자, 그는 단독으로 겐소와 회담하고 대의로써 그들의 침략을 공박하였다.

그뒤 정주까지 왕을 호종하였고, 청원사(請援使)명나라에 파견되어 명군의 파병을 성취시켰다. 돌아와 대사헌이 되어 명군을 맞이하였으며, 이어 한성판윤으로 명장 이여송(李如松)접반관(接伴官)이 되었는데, 전란중 줄곧 그와 행동을 같이하였다.

1593년 병조판서, 이듬해에는 이조판서훈련도감당상을 겸하였다.

1595년 경기황해평안함경 4도체찰부사가 되었으며, 1597년 정유재란이 일어나자 명나라 어사 양호(楊鎬)를 설복시켜 서울의 방어를 강화하는 한편, 스스로 명군과 울산까지 동행, 그들을 위무(慰撫)하였다.

그해에 우의정에 승진되고 이어 좌의정에 올라 훈련도감도제조를 겸하였다. 이어 명나라 제독 유정(劉綎)과 함께 순천에 이르러 통제사 이순신(李舜臣)과 함께 적장 고니시의 군사를 대파하였다.

1601년 행판중추부사(行判中樞府事)경상전라충청강원 4도체찰사를 겸하여 전란 뒤의 민심수습과 군대의 정비에 노력하였으며, 대마도정벌을 건의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이듬해 영의정에 올랐다.

1604년 이항복(李恒福)이 그의 공을 들어 호성공신(扈聖功臣)에 녹훈할 것을 건의하였으나 본인의 사양과 그를 시기하는 자의 반대로 책록되지 못하였다.

1606년 영중추부사가 되었다가, 1608년 광해군이 즉위하자 진주사(陳奏使)명나라에 다녀와서 다시 영의정이 되었다.

1613년(광해군 5) 이이첨의 사주를 받은 삼사에서 영창대군(永昌大君)의 처형과 폐모론을 들고 나오자 이항복과 함께 이를 극력 반대하였다. 이에 삼사가 모두 그를 모함하며 처형할 것을 주장하였으나, 광해군은 관직을 삭탈함으로써 이를 수습하였다.

그뒤 용진(龍津)으로 물러가 국사를 걱정하다 병으로 죽었다. 남인출신으로 북인의 영수 이산해의 사위가 되어 남인과 북인의 중간노선을 지키다가 뒤에 남인에 가담하였다.

어렸을 때 이항복과 절친한 사이로 기발한 장난을 잘하여 많은 일화가 전해지고 있다. 글씨에 뛰어났고, 포천용연서원(龍淵書院), 상주근암서원(近巖書院)에 제향되었다.

저서로 『한음문고(漢陰文稿)』가 있다. 시호는 문익(文翼)이다.

[참고문헌]

宣祖實錄
光海君日記
國朝人物考
燃藜室記述
白沙集

[집필자]

이장희(李章熙)

명 : "덕형(德馨)"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國朝編年v13德馨往年嘗爲宣慰使接待倭使故欲見之意
國朝編年v15爲明日攻城之用此賊雖據窟穴無水又乏粮不久當自盡○二十六日我兵與降倭持挨牌爲火攻且塡城下使賊不得取水也德馨與慄及諸將盡入本柵內土墻之間各以兵盡抵城底賊丸如雨透入牌死傷甚多不獲已撤回時有賊船浮泊藎江者天兵多放
國朝編年v16翼李恒福李德馨尹承勳柳永慶奇自獻沈喜壽許頊韓應寅都承旨柳夢寅等入侍上當門而臥加龍袍拖玉帶於上氣絶已久德馨曰古禮不絶於婦人之手請屛婦人又曰當靜而俟之大臣以下以次出擧哀就賓廳日已黑矣張燭而坐承傳色金鳳傳大妃之
紀年便攷v10勃既就幽室還出曰吾有勞於國無罪於身以此回啓主益怒後又禍及泉壤碎其骨子世俊魁武科官止南陽府使甲子禍玄孫德馨見下
東國歷代總目v02車駕進駐平壤○遣李德馨詣遼東乞援○德馨至六上書泣愬準請
郯述v02辛未德馨玄孫癸酉拜典籍
國朝人物志v2臨軒而柳成龍李德馨金命元李山海入侍上名光海曰某也無道戕害骨肉幽縶母后不可不廢德馨奏曰李恒福方在近地請招入同議上許之及夢覺語子弟曰吾其不久乎越二日歿年六十三兵使玄楫作詩
國朝人物志v2歲吐辭驚人楊蓬萊過訪屛所從爲酬唱數十篇曰君我師也庚辰文科時年二十一選入湖堂李珥薦進三人德馨與焉鵝溪李山海以女妻之辛卯拜大提學時年三十一東園金貴榮曰年少位卑行先諸老稍待才老
國朝人物志v3道右水使李德馨問于舜臣曰誰可代君者答曰忠義將略世無柳珩比者官雖卑可大用也德馨聞于朝有是除北胡構釁廟堂以會寧府當賊衝以珩爲府使仍陞北兵使珩居家有至行母病中索
國朝人物志v3字士興號茯菴廣州人文翼公德馨七代孫乙卯進士文科嘗奉使入燕京購剝攪車一輛歸獻于正廟令有司依樣制造頒于八路旣造未頒而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