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이순신(李舜臣)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774C21CC2E0B1545X0
자(字)여해(汝諧)
시호(諡號)충무(忠武)
봉호덕풍부원군(德豊府院君)
생년1545(인종 1)
졸년1598(선조 31)
시대조선중기
본관덕수(德水)
활동분야무신 > 명장
이정(李貞)
조부이백록(李百祿)
증조부이거(李琚)
외조부변수림(卞守琳)
이희신(李羲臣)
이요신(李堯臣)
이우신(李禹臣)
출생지서울 건천동
제향충렬사(忠烈祠)
제향충민사(忠愍祠)
제향현충사(顯忠祠)
공신선무공신(宣武功臣)

[상세내용]

이순신(李舜臣)
1545년(인종 1)∼1598년(선조 31). 조선 중기의 명장. 자는 여해(汝諧)(주1)
『국조인물지(國朝人物志)』 2권 "이순신" 항목 참고.
. 본관은 덕수(德水).

부친은 이정(李貞)이며, 모친은 초계변씨(草溪卞氏)변수림(卞守琳)의 딸이다. 서울 건천동(乾川洞)에서 출생하였다.
1. 가계
그의 가계는 고려중랑장을 지낸 이돈수(李敦守)로부터 내려오는 문반(文班)의 가문으로, 이순신은 그의 12대손이 된다. 5대조인 이변(李邊)영중추부사(領中樞府事)홍문관대제학을 지냈고, 증조부 이거(李琚)병조참의에 이르렀다. 조부는 이백록(李百祿)이다. 형제로는 이희신(李羲臣)이요신(李堯臣)의 두 형과 아우 이우신(李禹臣)이 있다. 이 이름은 돌림자인 신(臣)자 위에 삼황오제(三皇五帝) 중에서 복희씨(伏羲氏)요(堯)순(舜)우(禹)의 이름을 따서 붙인 것이다. 그의 시골 본가는 충청남도 아산군 염치면 백암리이나, 생가인 서울 건천동에서 자랐다.
2. 출사와 관직
28세에 훈련원별과(訓鍊院別科)에 응시하였으나 말에서 떨어져서 실격하였다. 1576년(선조 9) 식년무과에 병과로 급제하여(주2)
무과급제
고려대학교 소장 『병자 식년 문무과 방목(丙子式年文武科榜目)』 참고.
권지훈련원봉사(權知訓鍊院奉事)로 관직에 나갔으며, 이어 함경도동구비보권관(董仇非堡權管)에 보직되고, 이듬해에 발포수군만호(鉢浦水軍萬戶)를 거쳐, 1583년 건원보권관(乾原堡權管)훈련원참군(訓鍊院參軍)을 역임하고, 1586년에는 사복시주부가 되었다. 이어 조산보만호 겸 녹도둔전사의(造山堡萬戶兼鹿島屯田事宜)가 되었는데, 이때 그는 국방의 강화를 위하여 군사를 더 보내줄 것을 요청하였으나 들어주지 않던 차에 호인(胡人)의 침입을 받고 적은 군사로 막아낼 수 없어 피하였다. 조정은 그것이 그의 죄라 하여 문책하였다. 그는 중형을 면하기는 하였으나, 첫번째로 백의종군(白衣從軍)하게 되었다.

그뒤 전라도관찰사 이광(李洸)에게 발탁되어 전라도조방장(助防將)선전관 등이 되고, 1589년 정읍현감으로 있을 때 유성룡의 추천으로 고사리첨사(高沙里僉使)로 승진, 이어 절충장군(折衝將軍)으로 만포첨사(滿浦僉使)진도군수 등을 지내고, 47세가 되던 해에 전라좌도수군절도사가 되었다. 그는 왜침에 대비하여 좌수영(左水營)에서 전선(戰船)을 건조하고 군비를 확충하였다.
3. 임진왜란 발발
1592년 4월 14일 임진왜란이 발발했는데, 이 소식이 전라좌수영에 전달된 것은 이틀 뒤였다. 이날은 국기일(國忌日)이었으므로 그는 공무를 보지 않고 있었는데, 해질 무렵 경상우수사 원균(元均)으로부터 왜선 350여 척이 부산에 정박중이라는 통보에 이어 부산과 동래가 함락되었다는 급보가 들어왔다. 그때 부산 앞바다의 방어를 맡은 경상좌수영의 수군은 왜군을 공격하지도 않았고, 경상좌수사 박홍(朴泓)은 부산이 함락된 뒤 군사를 이끌고 동래 방면에 도착하였으나 동래가 함락되는 것을 보고는 육지로 도망하였다. 또, 거제도에 근거를 둔 원균은 적과의 접전을 회피함으로써 일본군은 조선수군과 한번 싸우지도 않고 제해권을 장악하였다. 소식을 들은 이순신은 전선을 정비하는 한편, 전황을 면밀히 분석한 후, 5월 2일 기함에 승선하였다.
4. 옥포대첩
4일 새벽 전선 24척, 협선(狹船) 15척, 포작선(鮑作船) 46척의 대선단을 이끌고 출항하였다. 이틀 뒤 한산도(閑山島)에 이르러 원균의 선단을 만났다. 원균의 선단은 전선 3척과 협선 2척에 불과하였으나 연합함대를 조직하지 않을 수 없었다. 7일 옥포(玉浦) 앞바다를 지날 무렵 30여척의 적선을 발견하였다. 왜군은 육지에서 약탈을 하다가 급히 배에 올라 도망하려 하였으나 조선수군의 포화와 화시(火矢)에 26척이 격파되고 많은 왜병이 궤멸되었다. 이 싸움은 그의 최초의 해전으로 기록된다.
5. 노량대첩
옥포해전 다음날 고성적진포(赤珍浦)에 정박중인 왜선 13척을 불태웠다. 전력과 전선을 정비한 뒤 기다리던 그는 일본수군 주력함대가 서쪽으로 나아간다는 정보가 들어오자, 전라우수사 이억기(李億祺)에게 합동하여 왜선을 격파할 것을 제의하였다. 그러나 원균으로부터 왜선 10여 척이 사천곤양 등지로 진출하였다는 보고를 받고 출동일을 변경하여 선제공격 하기로 하였다. 5월 29일 거북선을 앞세우고 여수를 출항하였다. 노량(露梁) 앞바다에 이르러 전선 3척을 인솔하고 있던 원균이 와서 적의 상황을 설명하였다. 조선수군은 일본수군이 정박중인 사천으로 달려갔다. 왜군은 대부분 상륙하여 있었고 해변에는 왜선 12척이 있었다. 그는 공격이 용이하지 않자 그들을 바다로 유인하여 왜선 12척을 파괴하고 많은 왜군을 섬멸하였다. 이 싸움에서 군관(軍官) 나대용(羅大用) 등이 부상하였고, 그도 적의 조총탄에 맞아 왼쪽어깨에 부상을 입었다. 이 싸움에서 최초로 출동한 거북선의 위력이 인정을 받았다.
6. 당항포대첩
6월 2일 왜선이 당포(唐浦)에 정박중이라는 보고를 받은 그는 곧 그곳으로 달려갔다. 당포선창에는 일본수군장 가메이(龜井玆矩)구루시마(來島通元)가 인솔하는 대선 9척, 중‧소선 12척이 정박하고 성 안팎에서 방화와 약탈을 자행하다 조선수군을 보고 발포하였으나 거북선을 앞세운 조선수군의 맹렬한 공격에 왜장 구루시마가 전사하였다. 며칠 후 전라우수사 이억기가 합류하였다. 5일 아침 연합함대는 거제로 향하였다. 이때 피난민으로부터 첩보를 듣고 연합함대는 당항포로 향하였다. 당항포 내만(內灣)에는 왜의 대선 9척, 중선 4척, 소선 13척이 정박중이었다. 조선수군을 발견한 일본수군은 먼저 공격을 가해왔다. 아군의 전선들은 적선을 포위하고 맹공을 가하였다. 이 싸움에서 왜군은 대패하였고 왜선은 모두 소실되었다. 이 공로로 자헌대부(資憲大夫)에 승품(陞品)되었다.
7. 한산대첩
그뒤 그는 다시 선제공격으로 거제가덕의 일본수군을 격멸하기 위하여 우수사 이억기와 연합함대를 조직하였고, 7월 6일 전라좌‧우수군이 출동하여 노량해상에서 경상우수사 원균의 전선 7척과도 합세하였다. 이때 일본군은 패배를 만회하기 위하여 견내량(見乃梁)에 적장 와키사카(脇坂安治) 등이 인솔한 대선 36척, 중선 24척, 소선 13척이 정박하고 있었다. 그는 견내량이 지형이 좁고 활동이 불편하다는 판단 아래 약간의 판옥선(板屋船)으로 일본의 수군을 공격하면서 한산도 앞바다로 유인한 뒤 학익진(鶴翼陣)을 쳐 일제히 총통(銃筒)을 발사하는 등 맹렬한 공격을 가하여 층각선(層閣船) 7척, 대선 28척, 중선 17척, 소선 7척을 격파하였다. 이 싸움에서 와키사카사베에(脇坂左兵衛)와타나베(渡邊七右衛門)를 위시하여 이름있는 일본 장수들이 전사하였다. 그는 이 공으로 정헌대부(正憲大夫)에 승계(陞階)하였다.
8. 부산포대첩
한산대첩 후 그는 안골포(安骨浦)의 적선을 격파하였다. 와키사카와 합동작전을 하려던 구키(九鬼嘉隆)가토(加藤嘉明) 등의 일본 수군장은 와키사카의 수군이 전멸하였다는 소식을 듣고 안골포에 정박중이었다. 그는 적선을 유인하여 공격하려 하였으나 나오지 않자, 하루 종일 교대로 공격하여 대선을 거의 파괴하였다. 그는 3차출동의 결과 가덕도 서쪽의 제해권을 장악한 후 부산포 공격의 결단을 내렸다. 전라좌‧우도의 연합함대가 9월 1일 오전 절영도(絶影島)에 이르렀을 때, 왜선 수척이 연합함대를 보고 도주하였다. 절영도에서는 수척의 적선을 부순 후 척후선을 부산포에 보내어 탐지한 결과, 왜선 약 500척이 해안에 정박해 있고 대선 4척이 초량(草梁)으로 나오고 있음을 알았다. 적이 부산포를 요새화한 것을 알게 된 여러 장수들은 깊이 들어가기를 꺼렸으나, 그는 진격을 재촉하였다. 우부장(右部將) 정운(鄭運) 등이 선두에 서서 왜대선 4척을 공격하여 불사르니, 뒤에 있던 전선들도 함께 돌진하였다. 정박중인 일본수군은 나오지 못하고 있다가 아군이 공격하자, 모두 산으로 올라가 아군에게 총통과 화전을 쏘았다. 아군은 이에 맞서 더욱 맹공을 가하며 종일토록 교전하여 적선 100여척을 격파하였다. 이 싸움에서 적의 피해는 말할 수 없이 컸으며, 아군도 이 해전에서 30여명의 사망자를 냈고 특히 녹도만호(鹿島萬戶) 정운이 전사하였다.
9. 정유재란과 실각
1593년 다시 부산과 웅천의 적 수군을 궤멸, 남해안 일대의 적군을 완전히 소탕하고 한산도로 본영을 옮겼다. 그뒤 최초로 삼도수군통제사(三道水軍統制使)가 되었다. 이듬해 명나라 수군이 파병되어 오자, 죽도(竹島)에 진을 옮기고, 이어 장문포(長門浦)에서 왜군을 격파하여 서해안 진출을 막았다. 그뒤 명나라와 일본간의 강화회담이 진행되면서 전쟁이 소강상태에 들어가자, 그는 군사훈련, 군비확충, 산업장려 등에 힘썼다. 1597년 회담이 깨어지고 정유재란이 일어났다. 그런데 왜장 고니시(小西行長)의 부하이며 이중간첩인 요시라(要時羅)경상우병사 김응서(金應瑞)에게 가토(加藤淸正)가 바다를 건너올 것이니 수군을 시켜 사로잡을 것을 조선 조정에 은밀히 알려왔다. 조정에서는 이순신에게 이를 실행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그런데 이순신이 출동하였으나, 가토는 이미 서생포(西生浦)에 들어온 뒤였다. 이때, 경상우수사 원균은 이순신이 왕명을 어겼다고 모함하는 상소를 올렸다. 상소를 받은 선조는 원균의 상소만을 믿고 이순신이 명령을 어기고 출전을 지연하였다는 죄를 들어 그에게 벌을 주고 원균으로 하여금 그 직을 대신하게 하였다. 한양으로 압송된 그에게 가혹한 고문이 가해졌다. 그러나 그는 자초지종을 고하였고, 죽음 직전에서 그는 우의정 정탁(鄭琢)의 변호로 목숨을 건지고 도원수 권율(權慄)의 밑에서 두 번째 백의종군을 하게 되었다. 남해안으로 향하던 도중 어머니의 부고를 받고 잠시 들러 성복(成服)을 마친 다음 다시 남쪽으로 향하였다. 그해 7월 원균이 적의 유인에 빠져 거제 칠천량(漆川洋)에서 전멸됨으로써 이순신이 길러온 함대는 궤멸되었다.
10. 재기용과 명량해전
원균의 패배 소식이 조정에 알려지자, 다시 이순신통제사로 기용하였다. 재임용된 그는 남해 등지를 두루 살폈으나 남은 군사 120인에 병선은 고작 12척에 불과하였다. 그러나 실망하지 않고 수전에서 적을 맞아 싸울 것을 결심하였다. 명량해전(鳴梁海戰)에 앞서 장병에게 필승의 신념을 일깨운 다음, 9월 16일 12척의 전선과 빈약한 병력을 거느리고 명량에서 133척의 적군과 전투를 벌여 적선 31척을 부수는 전과를 올렸다. 이 싸움은 재차 통제사로 부임한 뒤의 최초의 대첩이며, 사기가 꺽인 조선 수군을 재기시키는 데 결정적인 구실하였다. 그는 다시 제해권을 다시 장악한 후 보화도(寶花島: 목포의 高下島)를 본거로 삼았다가, 다음해 2월에 고금도(古今島)로 군영을 옮겼고, 백성들을 모집하여 둔전을 경작시켰다. 장병과 난민(難民)이 모여들어 군진(軍鎭)의 위용도 예전 한산도 시절에 비하여 10배를 능가할 정도로 성세를 이루었다. 이렇듯 단시일에 제해권을 회복하고 수군을 재기시킬 수 있었던 것은 오로지 그의 개인적 능력에 의한 것이었다.
11. 노량해전과 순국
1598년 11월 19일, 노량에서 퇴각하기 위하여 집결한 500척의 적선을 발견하고 명나라 수군제독 진린(陳璘)과 같이 공격하였다. 그러나 그는 후퇴하는 적선을 향하여 맹공을 가하다 도중에 유탄에 맞아 전사하였다. 그러나 아들과 휘하 장수들은 계속 전투를 하여 왜군을 대파하였다.
12. 사후의 존숭
사후 1604년 선무공신(宣武功臣) 1등에 녹훈되고 덕풍부원군(德豊府院君)에 추봉되었으며,(주3)
덕풍부원군추봉
『국조인물지(國朝人物志)』 2권 "이순신" 항목 참고.
좌의정에 추증, 1793년(정조 17) 다시 영의정이 더해졌다. 묘는 충청남도 아산시 음봉면 어라산(於羅山)에 있으며, 왕이 지은 비문과 충신문(忠臣門)이 건립되었다. 충무의 충렬사(忠烈祠), 순천충민사(忠愍祠), 아산현충사(顯忠祠) 등에 제향되었다. 현충사는 고장 유생들의 상소에 따라 1707년(숙종 33)에 건립되었다. 일제강점기 때에 동아일보사 주도로 전국민의 성금을 모아 보수하였고, 제3공화국 때 박정희(朴正熙) 대통령의 지시로 성역화되고 유품 전시관이 마련되었다. 시호는 충무(忠武)이다. 저서로는 『난중일기』, 『이충무공전서』가 전한다.

[참고문헌]

宣祖實錄
宣祖修正實錄
西厓集
燃藜室記述
亂中雜錄
李忠武公全書
宣廟中興誌
亂中日記草
懲毖錄
明史
脇坂家傳記
The Influence of the Sea on the Political History of Japan(G. A. Ballard, New York, E. P. Company, 1921)
忠武公縱橫談(李殷相, 思想界, 1955)
聖雄李忠武公論(千寬宇, 韓國史의 再發見, 一潮閣, 1974)
李舜臣(崔永禧, 韓國의 人間像 2, 新丘文化社, 1973)
李舜臣(崔碩男, 韓國人物大系 3, 博友社, 1972)
文化財大觀―史蹟篇下―(文化財管理局, 1976)

[집필자]

이장희(李章熙)

명 : "순신(舜臣)"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歷代總要v04全羅左水使李舜臣渡截水路連破賊兵大戰十數皆全勝特置三道水軍統制使以舜臣拜之
國朝編年v13於封疆此處乃兩湖咽喉之地失此則兩湖危矣今吾衆雖散猶可保聚湖南水軍可請來援也均從其計遣栗浦萬戶李英男詣舜臣請援舜臣方聚舟師于前洋欲待寇至而戰聞英男言諸將多以爲我守我壃且不足何暇赴他道耶唯鹿島萬戶鄭運軍官宋希
國朝編年v14住嶺南○秋七月全羅左水使李舜臣請移營閑山島從之島在巨濟南三十里山勢周廻便於藏船倭船欲犯湖南則必由是路舜臣以本鎭僻左難於控禦故有是請○提督李如松撤兵廻上自江西如黃州迎送仍自黃州進次海州內殿世子自江西來會臨海
國朝編年v15鮮善水戰若要諸海中可以致勝愼毋失之應瑞馳啓其事朝廷不信海平君尹根壽以爲機會不可失屢啓之上令黃愼卽馳見舜臣密諭此意舜臣曰海道艱險賊必多設伏兵以待多率船則賊無不知之理小其數則反爲所襲遂不行時羅又至謂應瑞曰淸正
國朝編年v19一說莞李舜臣家侄當舜臣中丸時年少能代領破賊故有名稱到今以酒敗事且惑於府妓醉到妓家方睡猝聞賊至挽以起之卽上府鳴鼓聚兵賊已突入
紀年便攷v14賊連陷諸鎮舟師向加徳慶尙右水使元均請援於舜臣舜臣乃領八十餘艘會均於閒山島過賊于玉浦督戰焚其船二十六海波盡蕩賊散走復戰于露梁追至泗川洋焚賊船十三賊
紀年便攷v14餘艘會均於閒山島過賊于玉浦督戰焚其船二十六海波盡蕩賊散走復戰于露梁追至泗川洋焚賊船十三賊皆溺死是戰也舜臣左肩中丸猶終日督戰戰罷始使人以刀尖挑出捷聞百官相賀陞舜臣階嘉善先是以己意剏造龜船捷速如飛橫行賊船中所
紀年便攷v14舜臣自本营進陣遇賊船於唐浦掩撃大破之旣而右水使李億祺領舟師来會遂偕至唐項浦遇賊船大戰射殺賊将推破三十船賊
紀年便攷v14賊連陷諸鎮舟師向加徳慶尙右水使元均請援於舜臣舜臣乃領八十餘艘會均於閒山島過賊于玉浦督戰焚其船二十六海波盡蕩賊散走復戰于露梁追至泗川洋焚賊船十三賊皆溺
紀年便攷v14倭大發舟師向湖南舜臣與李億祺各率所部進遇賊于見乃梁鏖盡賊船七十餘艘腥血漲海又逆撃援兵于安骨浦敗之賊登㟁而走燒其船四千餘艘
紀年便攷v14祺各率所部進遇賊于見乃梁鏖盡賊船七十餘艘腥血漲海又逆撃援兵于安骨浦敗之賊登㟁而走燒其船四千餘艘事聞進舜臣正憲階下書褒美先是行長到平壤投書曰日本舟師十萬又從西海来未知大王龍馭白此何之盖賊夲欲水陸合勢頼此一戰
紀年便攷v14師来會遂偕至唐項浦遇賊船大戰射殺賊将推破三十船賊登陸而散又戰于永登浦捕淂全船殱之自此軍聲大振捷聞賞加舜臣資憲也
紀年便攷v14復戰于露梁追至泗川洋焚賊船十三賊皆溺死是戰也舜臣左肩中丸猶終日督戰戰罷始使人以刀尖挑出捷聞百官相賀陞舜臣階嘉善先是以己意剏造龜船捷速如飛橫行賊船中所向披靡以此常勝
紀年便攷v15舜臣請移营閒山島島在巨齊之南倭欲犯湖南則必由是路且使於藏船故也従之以三道水軍不相統攝故特寘統制以主之舜臣以陸地困於軍興請於軆府但付一靣海浦則粮械白足乃煮海販塩積糓巨萬营舍器械旡不完備募民而完聚則為一巨鎮
紀年便攷v15舜臣請移营閒山島島在巨齊之南倭欲犯湖南則必由是路且使於藏船故也従之以三道水軍不相統攝故特寘統制以主之舜臣
紀年便攷v15臣舜臣曰海遍艱險賊必多設㐲兵以待遂不行時羅又至謂應瑞曰清正今已下陸何不截要陣中佯為恨惜之意事闻朝儀咎舜臣 上遣司成南以信徃閒山島廉訪四奏曰清正留海島七日舜臣退遛失機於是拿鞫亦多元均搆䚾之害也鄭琢擖言舜臣名
紀年便攷v15密言於應瑞曰今和事不成由於清正吾甚疾之某日清正當渡海朝鮮善水戰若要諸海中可以致勝應瑞馳啓 上密諭舜臣舜臣曰海遍艱險賊必多設㐲兵以待遂不行時羅又至謂應瑞曰清正今已下陸何不截要陣中佯為恨惜之意事闻朝儀咎舜臣
紀年便攷v15七日舜臣退遛失機於是拿鞫亦多元均搆䚾之害也鄭琢擖言舜臣名將不可殺乃侖减死削職白衣從軍以元均代爲統制使舜臣母在牙山憂悸而殁舜臣出獄道過牙山成服卽徃權慄麾下從軍
紀年便攷v15曰清正今已下陸何不截要陣中佯為恨惜之意事闻朝儀咎舜臣 上遣司成南以信徃閒山島廉訪四奏曰清正留海島七日舜臣退遛失機於是拿鞫亦多元均搆䚾之害也鄭琢擖言舜臣名將不可殺乃侖减死削職白衣從軍以元均代爲統制使舜臣母在
紀年便攷v15先是清正䓁忌舜臣欲縱反问以去之行長使要時羅徃来金應瑞陣輸城納款應瑞信之特加存恤至是又使時羅密言於應瑞曰今和事不成由於
紀年便攷v15時羅密言於應瑞曰今和事不成由於清正吾甚疾之某日清正當渡海朝鮮善水戰若要諸海中可以致勝應瑞馳啓 上密諭舜臣舜臣曰海遍艱險賊必多設㐲兵以待遂不行時羅又至謂應瑞曰清正今已下陸何不截要陣中佯為恨惜之意事闻朝儀咎舜
紀年便攷v15拿鞫亦多元均搆䚾之害也鄭琢擖言舜臣名將不可殺乃侖减死削職白衣從軍以元均代爲統制使舜臣母在牙山憂悸而殁舜臣出獄道過牙山成服卽徃權慄麾下從軍
紀年便攷v15咎舜臣 上遣司成南以信徃閒山島廉訪四奏曰清正留海島七日舜臣退遛失機於是拿鞫亦多元均搆䚾之害也鄭琢擖言舜臣名將不可殺乃侖减死削職白衣從軍以元均代爲統制使舜臣母在牙山憂悸而殁舜臣出獄道過牙山成服卽徃權慄麾下從
紀年便攷v15舜臣至珍島列艦碧波亭下賊船四五百獻海而上其将馬多時素善水戰衆皆汹惧舜臣乃令避船亂排列為疑兵自領戰艦當前直出直衝賊陣破賊三十餘艘撃揖謦衆乗勝而進賊不敢抵敵舉軍而退遂殺馬多時
紀年便攷v15均悉变舜臣約束日事醉酗倭自島中突出掩之均失亡將士退至㓒川島權憟督令更進均益憤懣醉卽夜半賊又襲之軍大潰均搶搳舟登
紀年便攷v15舜臣至珍島列艦碧波亭下賊船四五百獻海而上其将馬多時素善水戰衆皆汹惧舜臣乃令避船亂排列為疑兵自領戰艦當前直
紀年便攷v15曰今日固决死願天必殱此賊祝罷自領兵先進露果撃破倭兵焚賊船五十艘斬首二百餘級戰酣行長從外洋脫出泗川賊圍舜臣屢重璘犯圍直入救之賊又圍璘船哉及璘天兵從高㪚噴筒於賊船風急火烈賊船數百頃刻焚燒海波盡赤舜臣望見璘船被
紀年便攷v15殺之行長遂以銀百両寳刀五十柄進於璘曰兵貴不血請假途還國璘許之賊又發數船舜臣邀殺之賊患之又以銃釰遺舜臣舜臣却之曰我自壬辰殺賊旡數所淂鋔釰自足爲用賊又因璘遺以銀両涵肉舜臣曰此賊於天朝有難赦之罪老爺反欲受賂耶是
紀年便攷v15百頃刻焚燒海波盡赤舜臣望見璘船被圍合力血戰焚賊船二百進至南海界親犯失石手自撃鼓飛丸中其胷左右扶入帳中舜臣曰戰方急慎勿言我死言訖而絶賊旣退璘使人謝救已望見統制船壬卒相争首級曰充制必死矣問之果然
紀年便攷v15師盡殺之行長遂以銀百両寳刀五十柄進於璘曰兵貴不血請假途還國璘許之賊又發數船舜臣邀殺之賊患之又以銃釰遺舜臣舜臣却之曰我自壬辰殺賊旡數所淂鋔釰自足爲用賊又因璘遺以銀両涵肉舜臣曰此賊於天朝有難赦之罪老爺反欲受賂
紀年便攷v15賊船十餘艘先渡猫島舟師盡殺之行長遂以銀百両寳刀五十柄進於璘曰兵貴不血請假途還國璘許之賊又發數船舜臣邀殺之賊患之又以銃釰遺舜臣舜臣却之曰我自壬辰殺賊旡數所淂鋔釰自足爲用賊又因璘遺以銀両涵肉舜臣曰此賊於
紀年便攷v15璘善水戰性悍驁與人多忤時舜臣在古今島聞其至大畋漁盛備酒饌以待備軍儀遠迎大宴犒師将士旡不醉飽相語曰是家果良将也璘亦心喜之尋獲賊首四
紀年便攷v15之曰我自壬辰殺賊旡數所淂鋔釰自足爲用賊又因璘遺以銀両涵肉舜臣曰此賊於天朝有難赦之罪老爺反欲受賂耶是夜舜臣於船上跪祝于天曰今日固决死願天必殱此賊祝罷自領兵先進露果撃破倭兵焚賊船五十艘斬首二百餘級戰酣行長從外
紀年便攷v15遂督軍追趕三路合勢斬九十八級大軍圍賊砦密通陳璘水陸夾坆明兵力屈遂自焚其船僅淂脫○陳璘與李舜臣大破倭師舜臣中丸卒干軍中賊船十餘艘先渡猫島舟師盡殺之行長遂以銀百両寳刀五十柄進於璘曰兵貴不血請假途還國璘許之賊又
紀年便攷v15又發數船舜臣邀殺之賊患之又以銃釰遺舜臣舜臣却之曰我自壬辰殺賊旡數所淂鋔釰自足爲用賊又因璘遺以銀両涵肉舜臣曰此賊於天朝有難赦之罪老爺反欲受賂耶是夜舜臣於船上跪祝于天曰今日固决死願天必殱此賊祝罷自領兵先進露果
紀年便攷v15遠迎大宴犒師将士旡不醉飽相語曰是家果良将也璘亦心喜之尋獲賊首四十級悉以与璘為㘦璘盖喜過望自是每事必咨舜臣璘上書于 上曰李舜臣有經天緯地之才補夭浴日之㓛
紀年便攷v15出泗川賊圍舜臣屢重璘犯圍直入救之賊又圍璘船哉及璘天兵從高㪚噴筒於賊船風急火烈賊船數百頃刻焚燒海波盡赤舜臣望見璘船被圍合力血戰焚賊船二百進至南海界親犯失石手自撃鼓飛丸中其胷左右扶入帳中舜臣曰戰方急慎勿言我死
紀年便攷v17字茂伯著勳於露梁之戰蔭仕歴任實治稱清簡官止僉正錄原從㓛贈左承旨曾孫弘茂見下玄孫鳯祥見下五世孫漢膺見下舜臣兄堯臣字汝欽號栗谷受業於李滉之門中進士子菶荄見下
紀年便攷v17使將士雲集軍聲復振戊戌進陣于古今島 天將劉都督綎見圍甚急舜臣進露梁救之忽中丸而卒年四十四 天將陳璘見舜臣治兵設策歎服曰當為文下大將乃上書于上曰統制使有經天緯地之才補天洛日之㓛又奏聞于 帝帝嘉之賜都督印至今
紀年便攷v17于 帝帝嘉之賜都督印至今蔵子營舜臣嘗有詩曰誓海魚龍動盟山草木知讀者垂淚初兵判金貴榮欲以庶女與舜臣為妾舜臣不肯曰吾初出仕路豈敢托跡權門媒進耶在軍七年未嘗近女色贈右相加贈左相追錄宣武元㓛贈德豊府院君領相謚忠武
紀年便攷v17丁酉清正再渡海朝廷以不能逆擊使元均代為上將及舜臣對獄 上原之以白衣送元帥陣中使之戴罪自效未幾均敗起復舜臣為銃制使將士雲集軍聲復振戊戌進陣于古今島 天將劉都督綎見圍甚急舜臣進露梁救之忽中丸而卒年四十四 天將
紀年便攷v17㓛又奏聞于 帝帝嘉之賜都督印至今蔵子營舜臣嘗有詩曰誓海魚龍動盟山草木知讀者垂淚初兵判金貴榮欲以庶女與舜臣為妾舜臣不肯曰吾初出仕路豈敢托跡權門媒進耶在軍七年未嘗近女色贈右相加贈左相追錄宣武元㓛贈德豊府院君領
紀年便攷v17策歎服曰當為文下大將乃上書于上曰統制使有經天緯地之才補天洛日之㓛又奏聞于 帝帝嘉之賜都督印至今蔵子營舜臣嘗有詩曰誓海魚龍動盟山草木知讀者垂淚初兵判金貴榮欲以庶女與舜臣為妾舜臣不肯曰吾初出仕路豈敢托跡權門媒
紀年便攷v17送元帥陣中使之戴罪自效未幾均敗起復舜臣為銃制使將士雲集軍聲復振戊戌進陣于古今島 天將劉都督綎見圍甚急舜臣進露梁救之忽中丸而卒年四十四 天將陳璘見舜臣治兵設策歎服曰當為文下大將乃上書于上曰統制使有經天緯地之
紀年便攷v17連進資憲正憲階每戰勝戒諸將曰狃勝必驕諸將慎之癸巳拜統制使丁酉清正再渡海朝廷以不能逆擊使元均代為上將及舜臣對獄 上原之以白衣送元帥陣中使之戴罪自效未幾均敗起復舜臣為銃制使將士雲集軍聲復振戊戌進陣于古今島 天
紀年便攷v18魯鴻咸豊一云長興人軍資正平國子明宗庚申生字汝信宣祖壬辰選壯士赴李舜臣且戰且行舜臣極稱獎錄從功增秩厯訓錬副正庚子登武科性亢直與世寡合晩為會寧鎭萬户遂謝病歸光海戊午建虜大寇帝下詔徵兵金
紀年便攷v18酉至閑山洋終日鏖戰而死之年三十七與李舜臣終始共濟追錄宣武功二等封完興君贈兵判正祖朝賜謚毅愍忠孝兩旌與舜臣共院享庶子輪蔭仕都事不就以父骨未葬為至痛屡遷不起特補濟判纔叙而殁贈右尹特命孝旌
紀年便攷v18李菶堯臣子舜臣從子明宗癸亥生字子繁宣祖庚辰十八登武科厯寳城順天壬辰随其叔舜臣討倭立功戊戌代其叔屡戰全勝錄宣武原從功
紀年便攷v18海時斥補三陟浦僉使仁祖朝仍避世于鎭川山中孝宗庚寅卒年八十八弟荄字子深宣祖癸卯登武科官止主簿壬辰随其叔舜臣討倭立功錄宣武原從功年八十卒
紀年便攷v18李菶堯臣子舜臣從子明宗癸亥生字子繁宣祖庚辰十八登武科厯寳城順天壬辰随其叔舜臣討倭立功戊戌代其叔屡戰全勝錄宣武原從功陞嘉善光海時斥補三陟浦僉使仁祖朝仍避世于鎭川山中孝宗庚寅卒年八
紀年便攷v18上呼問珩父祖名曰勉力國事毌忝爾祖考特賜馬奬之自是感泣背湼盡忠報國四字以自矢李德馨問李舜臣曰誰可代君者舜臣曰忠義膽畧世無柳某之比官雖卑可大用也德馨乃言于朝珩以海南縣監率舟師從舜臣於閑山舜臣卒後討倭大捷厯水使
紀年便攷v18矢李德馨問李舜臣曰誰可代君者舜臣曰忠義膽畧世無柳某之比官雖卑可大用也德馨乃言于朝珩以海南縣監率舟師從舜臣於閑山舜臣卒後討倭大捷厯水使右兵北兵平兵黃兵官止統使為人倜儻重然諾好施與不矝伐善騎射好讀書雖屡典大藩
紀年便攷v18實承仕郞轙子字誠甫號誠窩宣祖丙子登武科官止訓鍊奉事壬辰募義兵從李舜臣至南海挺身先登斬首数百矢窮力盡與舜臣同日殉節
紀年便攷v18臣蒼頭数人亂掠民家雞犬大仁縛而杖之幾死舜臣大怒拿致營門大仁大呼曰縱奴作獘又欲殺無罪之人何以號令三道乎舜臣大奇之即觧其縛留置幕下屡立戰功丁酉閑山之潰大仁投水或泅或浮凡三日夜而猶于握大刀弓矢終不肯捨
紀年便攷v18賤丐食資生登武科宣祖壬辰居在石堡村村與左水營相接一日統制使李舜臣蒼頭数人亂掠民家雞犬大仁縛而杖之幾死舜臣大怒拿致營門大仁大呼曰縱奴作獘又欲殺無罪之人何以號令三道乎舜臣大奇之即觧其縛留置幕下屡立戰功丁酉閑山
紀年便攷v18宗男為護行將擢授承旨甲午遞晉州牧使李舜臣啓請為舟師助將分管沿海五邑軍從戰閑山場門永登見乃梁皆以捷聞然舜臣以譛就理宗男亦不顯孝宗朝因其子營臣貤贈特命贈宗男兵參子營臣見下
東國歷代總目v02統制使李舜臣擊破倭兵中流丸卒○舜臣率舟師擊倭屢大捷賊船不敢向西至是遇賊於露梁鏖戰大破之爲流丸所中遂卒露梁在南海縣
東國歷代總目v02賜祭故忠臣宋象賢趙憲李舜臣之墓○舜臣等墓俱在忠淸道內上幸溫泉時賜祭
國朝捷錄v01石陵君與舜臣協力擊倭代爲統制戰死追封統制使俊良子
國朝人物志v1子孝祖奉禮孝祖子琚成宗庚子生員文科參議世稱虎掌令國朝榜目邊五代孫舜臣統制使
國朝人物志v2罷之丁酉賊復益兵臨我而詒我令我列舟師於釜山前洋覘我虛實統制使李舜臣不聽用事者以爲誤事舜臣以罪去元翼啓曰此人得罪大事去矣上問於元翼元翼復極言之未及上元均來代之非上意也
國朝人物志v2色均見之憮然而還自是意不合事事携貳於億祺丁酉命拿鞫李舜臣使元均代之億祺就別握舜臣手曰所恃者惟完平體相在嶺南耳時上遣御史南以信按廉事實而南與元爲姻婭反
國朝人物志v2字馨甫號默軒德水人琚玄孫鄭寒岡門人癸卯進士以學行爲王子師傅戊申文科季父舜臣爲統制使芬從在軍中讀書猶不輟舜臣使掌軍務文書及接待明將芬聰明強記應酬當理兩陣將士莫不嘆
國朝人物志v2遂進資通政再下嶺南遇賊釜山前洋破其船四隻浩在郡時治猛抑豪右京官按廉至境受怨遽罷舜臣大惜之及爲三道統制使遂請浩爲舟師防將轉授蛟龍山城守禦將時南原被圍日急明將摠兵
國朝人物志v2字信伯礪山人甲午武科歷訓鍊院正壬辰與弟智島萬戶希立同赴李舜臣麾下舜臣知有忘家殉國之志薦於都元帥權慄丁酉慄差大立倡義別將使捍海寇遂諭集亡逃者廣募
國朝人物志v2甲午遞晉州牧使李舜臣啓請爲舟師助將分管沿海五邑軍從戰閑山場門永登見乃梁皆以捷聞然舜臣以譖就理宗男亦不顯甲子适變宗男子榮臣以豐川府使奮義討賊死之人物考
國朝人物志v2固城前洋三戰三勝至唐浦悉燒倭舡進攻唐項賊合擊大破之又邀其歸路純信獨以所部兵擊殺數十百舜臣特條上功勞曰純信戮力攻戰專師伐賊者四而每勝不以斬馘爲功唐項之役斬倭陷陣功最高諸將惟此人能以
國朝人物志v2元均敗舟師盡覆汝悰船獨完碧波之戰汝悰爲上功戊戌戰于鹿島前洋擧帆直前廝殺無遺舜臣褒啓十一月舜臣大會舟師鏖戰于露梁倭兵大敗中興戰功此爲第一而汝悰爲諸將先官至虞候錄宣
國朝人物志v2生壬辰在石堡村村與左水營相接一日統制使李舜臣蒼頭數人亂掠民家鷄犬大仁縛而杖之幾死舜臣大怒拿致營門大仁大呼曰縱奴作弊又欲殺無罪之人何以號令三道乎舜臣大奇之卽解其縛留置幕下屢
國朝人物志v2亂均手下只有四船退保昆陽海口遣裨將李英男往見全羅左水使李舜臣請與合力禦敵舜臣辭以所守各有界限不聽會光陽縣監魚泳潭順天府使權俊馳詣舜臣力贊下海之計泳潭又自請
國朝人物志v2宣祖丙子武科爲造山萬戶設屯田于鹿屯島以地遠兵少屢請添兵兵使李鎰不許及秋熟虜果大至舜臣挺身拒戰追擊破之鎰欲以挑釁殺以自解陳刑具將斬之軍官環視泣訣勸之酒舜臣曰死生命也飮醉
國朝人物志v3字子固陽川人宣祖壬辰武科歷宣傳官備邊郞李統制舜臣一見奇之許以爲將帥才柳相成龍授東國地圖勉之曰爲將者知地利阨塞則屯守制勝在此爲會寧府使嘗
國朝人物志v3猶植立射賊意氣自如血流下凝如塊入帳中良久乃蘇復督戰益急賊屍蔽海拜慶尙道右水使李德馨問于舜臣曰誰可代君者答曰忠義將略世無柳珩比者官雖卑可大用也德馨聞于朝有是除北胡構釁廟堂
國朝人物志v3字悅甫德水人舜臣從子年纔二十從舜臣助戰多功露梁之役舜臣中丸而卒莞素有膽力卽抱尸入房匿不發喪督戰如故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