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립(李廷立)
[요약정보]
UCI | G002+AKS-KHF_13C774C815B9BDB1556X0 |
자(字) | 자정(子政) |
호(號) | 계은(溪隱) |
시호(諡號) | 문희(文僖) |
생년 | 1556(명종 11) |
졸년 | 1595(선조 28) |
시대 | 조선중기 |
본관 | 광주(廣州) |
활동분야 | 문신 > 문신 |

부 | 이시무(李時茂) |
외조부 | 이억(李億) |
저서 | 『계은집』 |
공신호 | 평난공신(平難功臣) |

[관련정보]
[상세내용]
이정립(李廷立)
1556년(명종 11)∼1595년(선조 28).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자정(子政), 호는 계은(溪隱).
부친은 판결사 이시무(李時茂)이며, 모친은 종실(宗室) 의원군(義原君) 이억(李億)의 딸이다. 이이(李珥)‧성혼(成渾)의 문인이다.
1576년 사마시에 합격, 1580년에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승문원에 들어갔다.
1582년에 수찬으로 있을 때, 대제학 이이에게 추천되어 이덕형(李德馨)‧이항복(李恒福)과 함께 경연(經筵)에서 『통감강목(通鑑綱目)』을 시강하여 삼학사(三學士)의 한 사람으로 칭송을 받았다. 그해 사관(史官)이 되고, 예조좌랑‧정언이 되었다.
이듬해 사가독서(賜暇讀書)를 하였다. 이조좌랑으로 있을 때 어사가 되어 호남에 내려가 기근에 허덕이는 백성을 진구하였다.
그뒤 형조참의‧좌승지 등을 거쳐, 1589년(선조 22)에 기축옥사를 다스린 공으로 평난공신(平難功臣)이 되었다. 장령‧집의‧응교‧직제학을 거쳐, 1592년 임진왜란 때에는 예조참의로 왕을 호종하였다. 왕의 행차가 금교역(金郊驛)에 이르렀을 때에 그가 선조에게, 종묘와 사직의 위판(位版)이 지금 개성에 남아 있다고 아뢰니 선조가 크게 놀라면서 즉시 모셔오라 하였다.
그는 급히 개성으로 달려가, 사람들이 모두 “이미 적장이 와 있으니 죽음이 있을 뿐이다.”고 말렸으나, 죽음을 무릅쓰고 성에 들어가 종묘사직의 위판을 평양으로 모셔갔다. 이어 병조참판이 되었다가 1593년에 부친상을 당하여 한때 관직을 떠났다.
1595년에 한성부좌윤‧황해도관찰사를 역임, 광림군(廣林君)에 봉하여졌고, 1596년에 대사성이 되었다.
뒤에 영의정에 추증되었으며, 저서로는 『계은집』이 있다. 시호는 문희(文僖)이다.
부친은 판결사 이시무(李時茂)이며, 모친은 종실(宗室) 의원군(義原君) 이억(李億)의 딸이다. 이이(李珥)‧성혼(成渾)의 문인이다.
1576년 사마시에 합격, 1580년에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승문원에 들어갔다.
1582년에 수찬으로 있을 때, 대제학 이이에게 추천되어 이덕형(李德馨)‧이항복(李恒福)과 함께 경연(經筵)에서 『통감강목(通鑑綱目)』을 시강하여 삼학사(三學士)의 한 사람으로 칭송을 받았다. 그해 사관(史官)이 되고, 예조좌랑‧정언이 되었다.
이듬해 사가독서(賜暇讀書)를 하였다. 이조좌랑으로 있을 때 어사가 되어 호남에 내려가 기근에 허덕이는 백성을 진구하였다.
그뒤 형조참의‧좌승지 등을 거쳐, 1589년(선조 22)에 기축옥사를 다스린 공으로 평난공신(平難功臣)이 되었다. 장령‧집의‧응교‧직제학을 거쳐, 1592년 임진왜란 때에는 예조참의로 왕을 호종하였다. 왕의 행차가 금교역(金郊驛)에 이르렀을 때에 그가 선조에게, 종묘와 사직의 위판(位版)이 지금 개성에 남아 있다고 아뢰니 선조가 크게 놀라면서 즉시 모셔오라 하였다.
그는 급히 개성으로 달려가, 사람들이 모두 “이미 적장이 와 있으니 죽음이 있을 뿐이다.”고 말렸으나, 죽음을 무릅쓰고 성에 들어가 종묘사직의 위판을 평양으로 모셔갔다. 이어 병조참판이 되었다가 1593년에 부친상을 당하여 한때 관직을 떠났다.
1595년에 한성부좌윤‧황해도관찰사를 역임, 광림군(廣林君)에 봉하여졌고, 1596년에 대사성이 되었다.
뒤에 영의정에 추증되었으며, 저서로는 『계은집』이 있다. 시호는 문희(文僖)이다.
[참고문헌]
宣祖實錄
國朝榜目
國朝人物考
淸選考
國朝榜目
國朝人物考
淸選考
[집필자]
이재범(李在範)
수정일 | 수정내역 |
---|---|
2005-11-30 | 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