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한응인(韓應寅)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D55CC751C778B1554X0
자(字)춘경(春卿)
호(號)유촌(柳村)
시호(諡號)충정(忠靖)
생년1554(명종 9)
졸년1614(광해군 6)
시대조선중기
본관청주(淸州)
활동분야문신 > 문신
한경남(韓敬男)
저서『백졸재유고』
공신호광국공신(光國功臣)
공신호평난공신(平難功臣)

[상세내용]

한응인(韓應寅)
1554년(명종 9)∼1614년(광해군 6).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춘경(春卿), 호는 백졸재(百拙齋)유촌(柳村). 부사직(副司直) 한경남(韓敬男)의 아들이다.

1576년(선조 9) 사마시를 거쳐, 이듬해 알성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예문관에 뽑혔고, 곧이어 승정원주서예조좌랑병조좌랑지평정언을 지내고, 1584년 종계변무주청사(宗系辨誣奏請使)서장관(書狀官)으로 명나라에 다녀와서 성균관직강을 거쳐, 1588년 선천군수로 부임하여 이듬해 정여립(鄭汝立)의 모반사건을 적발, 그 공으로 호조참의가 되고, 이어 도승지가 되었다.

1590년 종계변무의 공으로 광국공신(光國功臣) 2등에 오르고, 정여립 모반을 고변한 공으로 평난공신(平難功臣) 1등에 책록되었다.

1591년 예조판서에 승진하여 진주사(陳奏使)로 다시 명나라에 들어가 일본도요토미(豊臣秀吉)명나라를 공격하기 위하여 조선에 길을 빌려 달라는 사실을 고하여 명나라조선에 대한 의심을 풀게 하였다.

이듬해 돌아오는 길에 의주에서 왜란이 일어났다는 소식을 듣고 개성에 이르자 피난길에 오른 선조를 만나 왕을 따라 다시 평양으로 갔다가, 제도도순찰사(諸道都巡察使)임진강 방어에 임하였다.

그러나 가토(加藤淸正)의 유인작전에 속아 전군이 붕괴하자, 왕을 뒤따라 의주의 행재소(行在所)로 달려가 공조판서에 임명되었다. 요동(遼東)에 건너가 원병(援兵)의 급속한 출병을 요구하였고, 12월 이여송(李如松)이 원군을 이끌고 압록강을 건너자 한어(漢語)에 능한 그는 접반관(接伴官)으로 이여송을 맞이하였다.

이듬해 청평군(淸平君)에 봉해지고, 서울이 수복되자 질서회복에 힘썼으며, 호조판서로서 군량미 보급에 진력하였다.

1595년 주청사(奏請使)명나라에 다녀오고, 다음해 평안감사로서 당시 평안도에 있던 많은 명나라 장병과의 화합을 도모하였다.

1599년 사은사(謝恩使)로 다시 명나라에 정유재란 때의 원군을 사례하고 돌아와서 우찬성에 올랐다.

1600년 이조판서, 다음해 호조판서병조판서를 거쳐, 1605년 부원군(府院君)에 진봉되고, 1607년 우의정에 올랐다. 시호는 충정(忠靖)이다. 초서(草書)에 뛰어났으며, 저서로는 『백졸재유고』가 있다.

[참고문헌]

宣祖實錄
宣祖修正實錄
光海君日記
國朝榜目
燃藜室記述
國朝人物考

[집필자]

이장희(李章熙)

명 : "응인(應寅)"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國朝編年v12等陳奏日本恐䝱我國欲入犯上國等情且辨咨內流言之誣令僉知崔岦製奏文甚委曲而不能悉陳通事答問之事猶畏諱也應寅等入皇京帝出御皇極殿引入慰諭懃懇賞賚加厚降勑奬諭皇帝久不御朝外國使臣親承臨問前未有也○由是又遣申點等
國朝編年v13日道路訛傳倭人遠來足繭困倒可制挺擊也行朝聞而信之方恨金命元不守漢江促令命元渡津進前圖復京城命元不敢會應寅以奏請使回自燕京西界土兵數千人亦至皆嘗虜精銳遂以應寅爲大元帥領之進屯臨津相機進戰且令勿受命元節制應寅
國朝捷錄v01字敬夫淸州人應寅六代孫用和從叔丙戌拜至令進士師範子丙申付處丁酉放兢履曾祖祖配義牧使曾祖壽遠五代祖德及壽遠卽沙溪外孫
國朝人物志v2以爲必勝歡呼踊躍已而賊七八赤身舞劍而出直衝我陣左右軍一時大潰申硈以下四散奔走投江而死時命元應寅忠侃俱着靑段衣忠侃遂騎馬而走江上之軍見其走一時呼曰元帥走矣遂潰去命元應寅親出呼曰
國朝人物志v2子生員進士丁丑文科拜注書記事明敏嘗入侍經筵適驟雨亂瀉筵臣奏對聲不登徹上曰啓辭宜分明應寅應聲書曰簷溜亂耳奏聲宜高一時稱善己丑汝立獄起超授戶曹參議錄平難光國勳封淸平府院君
國朝人物志v3字元之號玄石淸州人忠靖公應寅子以善八分國家廟主多用其筆當世塚刻文字率皆書之辛丑進士光海己酉文科薦入翰苑丙子爲開城留守
國朝人物志v3字子耇淸州人淸寧君德及子應寅孫癸酉生員進士官至牧使外祖沙溪金長生敎之其所奬礪異於諸子孫爲江華經歷孝宗引見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