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기대승(奇大升)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AE30B300C2B9B1527X0
자(字)명언(明彦)
호(號)고봉(高峰)
호(號)존재(存齋)
시호(諡號)문헌(文憲)
생년1527(중종 22)
졸년1572(선조 5)
시대조선전기
본관행주(幸州)
활동분야문신 > 문신
기진(奇進)
외조부강영수(姜永壽)
저서『논사록』
저서『왕복서(往復書)』
저서『이기왕복서』
저서『주자문록(朱子文錄)』
저서『고봉집』

[상세내용]

기대승(奇大升)
1527년(중종 22)∼1572년(선조 5). 조선 중기의 문신‧성리학자. 본관은 행주(幸州). 자는 명언(明彦), 호는 고봉(高峰) 또는 존재(存齋).

부친은 기진(奇進)이고, 모친은 강영수(姜永壽)의 딸이며, 기묘명현의 한 사람인 기준(奇遵)은 그의 계부(季父)이다. 이황(李滉)의 문인이다.

1549년(명종 4) 사마시(司馬試)에, 1558년 식년문과에 을과로 급제한 뒤 승문원부정자예문관검열 겸 춘추관기사관을 거쳐 1563년 3월 승정원주서에 임명되었다.

그해 8월 이량(李樑)의 시기로 삭직되었다. 그러나 종형 기대항(奇大恒)의 상소로 복귀하여 홍문관부수찬이 되었다.

이듬해 2월에 검토관으로 언론의 개방을 역설하였다.

1565년 병조좌랑이조정랑을 거쳐, 이듬해 사헌부지평홍문관교리사헌부헌납의정부검상(議政府檢詳)사인(舍人)을 역임하였다.

1567년 원접사(遠接使)종사관(從事官)이 되었고, 같은해 선조가 즉위하자 사헌부집의가 되었으며, 이어 전한(典翰)이 되어서는 조광조(趙光祖)이언적(李彦迪)에 대한 추증을 건의하였다.

1568년(선조 1) 우부승지시독관(侍讀官)을 겸직하였고, 1570년 대사성으로 있다가 영의정 이준경(李浚慶)과의 불화로 해직당하였다.

1571년 홍문관부제학 겸 경연수찬관예문관직제학으로 임명되었으나 부임하지 않았다.

1572년 성균관대사성에 임명되었고, 이어 종계변무주청사(宗系辨誣奏請使)로 임명되었으며, 대사간공조참의를 지내다가 병으로 벼슬을 그만두고 귀향하던 도중 고부(古阜)에서 객사하였다. 그의 관로생활에 변화가 많았던 것은 그의 직설적인 성격과 당시의 불안정한 정치상황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그의 학문에 대한 의욕은 남보다 강하였다. 문과에 응시하기 위하여 서울로 가던 중 김인후(金麟厚)이항(李恒) 등과 만나 태극설(太極說)을 논한 바 있고, 정지운(鄭之雲)의 천명도설(天命圖說)을 얻어보게 되자 이황을 찾아가 의견을 나눌 기회를 가지게 되었다.

그뒤 이황과 12년에 걸쳐 서한을 교환하였는데, 그 가운데 1559년에서 1566년까지 8년 동안에 이루어진, 이른바 사칠논변(四七論辨)은 유학사상 지대한 영향을 끼친 논쟁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는 이황의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에 반대하고 “사단칠정이 모두 다 정(情)이다.”라고 하여 주정설(主情說)을 주장하였으며, 이황의 이기호발설(理氣互發說)을 수정하여 정발이동기감설(情發理動氣感說)을 강조하였다.

또, 이약기강설(理弱氣强說)을 주장, 주기설(主氣說)을 제창함으로써 이황의 주리설(主理說)과 맞섰다.

그의 인물됨은 기묘명현인 조광조의 후예답게 경세택민(經世澤民)을 위한 정열을 간직하였고, 정치적 식견은 명종선조 두 왕에 대한 경연강론(經筵講論)에 담겨 있다.

이 강론은 『논사록(論思錄)』으로 엮어 간행되었는데, 그 내용은 이재양민론(理財養民論)‧숭례론(崇禮論)‧언로통색론(言路通塞論)으로 분류된다. 그는 학행(學行)이 겸비된 사유(士儒)로서 학문에 있어서는 그의 사칠이기설에서 이황과 쌍벽을 이루었고, 행동에 있어서는 지치주의적(至治主義的)인 탁견을 진주(進奏)하였다.

그의 대표적인 제자로는 정운룡(鄭雲龍)고경명(高敬命)최경회(崔慶會)최시망(崔時望) 등이 있다.

광주월봉서원(月峰書院)에 제향되었다. 시호는 문헌(文憲)이다.

문집으로 원집 3책, 속집 2책, 별집부록 1책, 『논사록』 1책, 『왕복서(往復書)』 3책, 『이기왕복서』 1책, 『주자문록(朱子文錄)』 4책 등이 포함된 모두 15책의 『고봉집』이 있다.

[참고문헌]

明宗實錄
宣祖實錄
高峰集

[집필자]

이을호(李乙浩)

성명 : "기대승(奇大升)"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國朝編年v08囑諸僚薦柳永吉爲其代蓋其密友也其時正郞朴素立佐郞尹斗壽頗持淸論不從其言廷賓銜之又如李文馨許曄不肯附樑奇大升尹根壽以後進士類推許樑黨忌之於是李戡爲大司憲劾文馨曄素立斗壽根壽大升等浮薄相煽削職黜外沈義謙乃樑之甥
國朝編年v09遠接使大提學朴思元從事官奇大升館伴吏曹判書閔箕
國朝編年v09喜奏捷上嘉其功加資秀文聞壯胡皆遁乃愧懼疽發背死○全羅右水使林晋追捕黑山島水賊上命加嘉善臺諫請改正不允奇大升曰我祖▣宗朝命田霖討海浪賊盡討而來命於開城府賜一等樂以爲之賞賜則不過鞍具馬一匹而已今者浮海凶醜自送其
國朝編年v10之南冥憤鬱無聊適奇高峯典李俊民同爲承旨言河家事曰此事南冥必詳知之欲問乎此老俊民通于南冥南冥大怒憤罵曰奇大升將欲拿鞫余而問之張皇其說適其時金孝元見南冥曰今之人名爲士類而付托外戚其可乎蓋以高峯諸公附沈義謙也南冥
國朝編年v12光芒燭地淳早知爲學之方受業于花潭徐敬德得聞性理中事李退溪滉多所啓發退溪常稱與朴淳相對炯然一條淸氷高峯奇大升亦言剖柝義理明辨剴切吾所不及其見重類此十月聖節使工曹參判尹根壽廻自京師帝降勅頒賜會典全部初根壽之行兼
紀年便攷v13高敬命孟英子中宗癸巳生字而順號霽峯又苔軒水苔槎奇大升成守琛門人文章豪逸且有詩名明宗壬子二十生進俱中戊午魁明經科選湖堂歴春坊以金百匀婿被斥家居十九年家在光
紀年便攷v13奇大升
紀年便攷v13之認其劵故黜之博通古今精練典故與李■辨四端七情之同異屢千言論議發越學者是之 上問當今學問於李滉滉對日奇大升博洽超詣鎭見其比斯可謂通儒平日奏對言語史官錄為二卷名曰論思錄曹植曰此人得志必誤國事大升亦以植爲擾亂朝
紀年便攷v13奇大升参奉進子遵從子中宗丁亥生字明彥號高峯又存齋李滉門人㓜時就鄕塾有客試之以聯句舉食字應殾曰食無求飽君子道
紀年便攷v13鄭澈迎日人洪五世孫判官惟沉子中宗丙申生字季㴠號松江又臨汀金麟厚門人從奇大升李珥成渾遊明宗辛酉進士壬戌魁别試選湖堂歴銓郞舎人典翰直學忠清耿介氣岸豪爽文章亦如其人以峭直見忤於時軰
紀年便攷v13李海壽鐸子中宗丙申生字大仲號藥圃金有孚字元老號三友堂金安國門人門人又成守深門人與尹根壽具鳯齡鄭澈李珥奇大升辛應時爲道義交明宗乙卯二十司馬癸亥登謁聖選湖堂歴翰林銓郞舎人典翰宣祖朝按两道再牧于驪因事削官遠竄鍾城
紀年便攷v13問之㓛無實得所上䟽章亦非經濟之策門人推重至謂道學君子則誠過矣雖然近代䖏士終始完節壁立千仞如南冥者無㡬奇大升曰曹植氣節磊落可謂壁立千仞成運曰斯人吾不敢與之為友贈大司諫以道德加贈領相謚文貞門人有鄭仁弘
紀年便攷v13穢祭物泣涕竟日羣鼠来斃以親嗜每祭有雉一日不得涕泣自責雉忽自投㕏中一夜大雪環廬之地無一點雪以至孝奏天朝奇大升梁應鼎皆推服
紀年便攷v14榮進也歴銓郞舍人典翰直學副學提學錦伯官止吏判選清白吏為人樂昜雍容標望絶人與李恒論大學得其宗旨與金麟厚奇大升盧守慎為道義交退居咸陽大有時望而立朝不能建明崔永慶語禛郷人曰君郷亦有尹斗壽盖謂貪鄙也崔言雖過而識者不
紀年便攷v14學識明宗己酉生進俱中壬子登明經科歴承正是年 上命嶺湖南戰藝于泮宮光弘為壯元與林億齡梁應鼎金麟厚李後白奇大升崔慶昌為同時名士為評事時眷安州妓以病遞歸路遇交承崔慶昌題一詩於崔扇曰關西形勝大江三䖏䖏亭臺駐客驂君到
紀年便攷v14字馨之號拙翁庚子登别試歴典翰舍人直學副學赴公每先於人 上聞呵辟聲輒歎曰李某之勤也歴完伯箕伯戶判兵判與奇大升尹斗壽朴素立尹根壽許曄最好所忤李芑尹元衡李樑也宣祖壬午卒官止吏判年七十三
紀年便攷v14念至死不變豈有貽禍士林之心而有此說乎今若指為小人渠雖在地下亦不服矣○徵士曹禃卒訃聞賜祭賻粟○前大司諌奇大升卒時方議偽勲大升獨曰乙巳之勲非偽 先王已㝎今不可削辭官南歸路淂臀腫 上遣醫賫葯慰諭未及而卒諌院啓以一
紀年便攷v22趙纘韓緯韓弟奇大升孫壻宣祖壬申生字善述號玄洲辛丑生員乙巳魁文科與兄皆以文章名世當光海廢母無意在朝又避奸凶之媢嫉出補尙牧
記聞v1李後白奇大升辛膺時李山海沈義謙明宗癸亥大提學洪暹再任
記聞v1遠接使大提學朴忠元奇大升爲從事館伴吏判閔箕
記聞v1宣廟己巳語及文宗遞遷事奇大升啓曰魯山卽位世祖爲首相輔幼主魯山賜世祖敎書曰予以成王之待周公者待叔父叔父亦以周公之輔成王
記聞v1宣廟戊辰全羅道水使林晉追捕黑山島水賊上命加嘉善臺諫請改正不允奇大升啓曰我祖宗朝命田霖討海浪島盡討而來命於開城府賜一等樂以慰之賞賜則不過鞍具馬一區而已今者浮海小醜自送其
記聞v1六品東班職臺諫啓以訴訟于恩改正更命長付上護軍祿以其資級不準又以護軍司直升降而授兩司又以過重論執不允奇大升亦啓於經筵文集
記聞v1宣廟卽位初戶曹參判柳景深啓曰國初運來之穀二十八萬石中已成塵土者多可食之米豈十萬石哉奇大升啓曰一年經費甚爲浩繁而前年稅入只七萬石經費必考古事一切減省量入爲出可也假使來年稅入可至十萬石而引用者
俟百錄v1今許穆之說如此若因此講明歸於十分是當則豈但一時之幸而已哉昔文純公李滉誤定君臣之服爲嫂叔之服及聞奇大升䮕正之說瞿然而改其前見曰若非奇某幾不免爲千古罪人今日所望於許穆者亦如此耳大抵是非交互彼此柢桐若無
俟百錄v1不及殿下斷自宸衷卽令禮官依聖經釐正而其所以改詢於宋時烈者優禮儒臣之意也時烈正當如文純公李滉聞奇大升䮕正之說瞿然而改其前見曰若非奇某幾不免爲十古罪人云云者矣時烈乃反爲遂非文過之計掇拾禮經文字附會已
龍問門答v1龍輩亦阿諛納交元老之子百源怨其叔元衡桑其父乃付於樑將有謀害士林之機如許燁李文馨朴素立尹斗將奇大升以浮薄領首爲李戢所劾削黜沈義謙乃樑之甥也初出仕路交游士流欲反樑之所爲與奇大恒相議去樑之
歷代帝王紀年v01李後白季眞月蓮院在康津劉好仁山堂院在長興奇大升明彦高峯院在光州
歷代帝王紀年v01趙穆字士敬月川奇大升明彦高峯金誠一鶴峯
國朝捷錄v01奇大升
國朝捷錄v01國衡子見勳延安人右鄭士龍選庚申丁胤禧熙庵應斗子監司景錫李陽元見相高敬命孟英子而順工議長興人右鄭惟吉選奇大升進子遵侄高峯見伩儒明彦幸州人文憲公辛應時寧趙人字君望白麤輔商子李山海見相沈義謙鋼子方叔巽庵大憲右洪暹
孝宗國恤謄錄n1-1책時之幸而已哉昔文純之李滉 誤定君臣服爲嫂叔之服及聞奇大升駁正之說瞿 然而改其前見日若非奇某幾不免爲千古罪人
靑邱風雲v1翁字景文金號黃江子沙溪孫愼齋槃曾益謙盧禛號玉溪字子膺金貴榮號東園鄭澈號松江字季涵奇大升號高峯李陽元號鷺渚字伯春李濟臣號淸江崔岦號簡易齋沈守慶號聽天堂貞之孫李山甫號鳴谷丁胤禧號
韓史綮v1官以奬之植少時豪爽好文章旣而反于經學踐履嚴篤嘗危坐一室以兩手捧盞水以終夜與徐敬德成悌元成運李之菡奇大升等諸人爲友嘗與諸人會于俗離山講論李浚慶聞之曰應有德星見于天矣大升遵之子也
韓史綮v1王德齡感激與其所善壯士崔聃齡檄募義兵得精壯五千人手自指畫敎以陣法○前右議政鄭澈卒澈淸剛好直節奇大升嘗遊山中見水石淸佳曰鄭澈似之○是歲王知宋翼弼兄弟之冤赦之翼弼旣還知舊門生爭相館待學徒坌集居數年
東國續修文獻錄v1奇大升明彥高峯參奉進子幸州人副學文憲辛應時君望白麓判官輔商子寧越人副學文莊李山海汝受鵝溪內資之蕃子韓山人領
東國續修文獻錄v1金澍花山君癸亥奏請追封禮參李山海見相黃琳義城君吏判赴京時呈文柳成龍見相鄭澈大臣錄李陽元金澍書狀見上相奇大升德原君撰奏文功文憲公追封大諫尹卓然傪溪君戶判李後白書狀崔滉海城君請遣奏請功贊成
國朝人物志v2意猶勤使人畫進陶山令宋寅撰記以進丁卯明宗昇遐拜禮曹判書山陵未畢而退歸時議紛紜奇大升以書來問滉曰古人明於進退之分一事不放過少失官守必奉身而亟去彼其愛君之情必有所大不忍者然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