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기대승(奇大升)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AE30B300C2B9B1527X0
자(字)명언(明彦)
호(號)고봉(高峰)
호(號)존재(存齋)
시호(諡號)문헌(文憲)
생년1527(중종 22)
졸년1572(선조 5)
시대조선전기
본관행주(幸州)
활동분야문신 > 문신
기진(奇進)
외조부강영수(姜永壽)
저서『논사록』
저서『왕복서(往復書)』
저서『이기왕복서』
저서『주자문록(朱子文錄)』
저서『고봉집』

[상세내용]

기대승(奇大升)
1527년(중종 22)∼1572년(선조 5). 조선 중기의 문신‧성리학자. 본관은 행주(幸州). 자는 명언(明彦), 호는 고봉(高峰) 또는 존재(存齋).

부친은 기진(奇進)이고, 모친은 강영수(姜永壽)의 딸이며, 기묘명현의 한 사람인 기준(奇遵)은 그의 계부(季父)이다. 이황(李滉)의 문인이다.

1549년(명종 4) 사마시(司馬試)에, 1558년 식년문과에 을과로 급제한 뒤 승문원부정자예문관검열 겸 춘추관기사관을 거쳐 1563년 3월 승정원주서에 임명되었다.

그해 8월 이량(李樑)의 시기로 삭직되었다. 그러나 종형 기대항(奇大恒)의 상소로 복귀하여 홍문관부수찬이 되었다.

이듬해 2월에 검토관으로 언론의 개방을 역설하였다.

1565년 병조좌랑이조정랑을 거쳐, 이듬해 사헌부지평홍문관교리사헌부헌납의정부검상(議政府檢詳)사인(舍人)을 역임하였다.

1567년 원접사(遠接使)종사관(從事官)이 되었고, 같은해 선조가 즉위하자 사헌부집의가 되었으며, 이어 전한(典翰)이 되어서는 조광조(趙光祖)이언적(李彦迪)에 대한 추증을 건의하였다.

1568년(선조 1) 우부승지시독관(侍讀官)을 겸직하였고, 1570년 대사성으로 있다가 영의정 이준경(李浚慶)과의 불화로 해직당하였다.

1571년 홍문관부제학 겸 경연수찬관예문관직제학으로 임명되었으나 부임하지 않았다.

1572년 성균관대사성에 임명되었고, 이어 종계변무주청사(宗系辨誣奏請使)로 임명되었으며, 대사간공조참의를 지내다가 병으로 벼슬을 그만두고 귀향하던 도중 고부(古阜)에서 객사하였다. 그의 관로생활에 변화가 많았던 것은 그의 직설적인 성격과 당시의 불안정한 정치상황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그의 학문에 대한 의욕은 남보다 강하였다. 문과에 응시하기 위하여 서울로 가던 중 김인후(金麟厚)이항(李恒) 등과 만나 태극설(太極說)을 논한 바 있고, 정지운(鄭之雲)의 천명도설(天命圖說)을 얻어보게 되자 이황을 찾아가 의견을 나눌 기회를 가지게 되었다.

그뒤 이황과 12년에 걸쳐 서한을 교환하였는데, 그 가운데 1559년에서 1566년까지 8년 동안에 이루어진, 이른바 사칠논변(四七論辨)은 유학사상 지대한 영향을 끼친 논쟁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는 이황의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에 반대하고 “사단칠정이 모두 다 정(情)이다.”라고 하여 주정설(主情說)을 주장하였으며, 이황의 이기호발설(理氣互發說)을 수정하여 정발이동기감설(情發理動氣感說)을 강조하였다.

또, 이약기강설(理弱氣强說)을 주장, 주기설(主氣說)을 제창함으로써 이황의 주리설(主理說)과 맞섰다.

그의 인물됨은 기묘명현인 조광조의 후예답게 경세택민(經世澤民)을 위한 정열을 간직하였고, 정치적 식견은 명종선조 두 왕에 대한 경연강론(經筵講論)에 담겨 있다.

이 강론은 『논사록(論思錄)』으로 엮어 간행되었는데, 그 내용은 이재양민론(理財養民論)‧숭례론(崇禮論)‧언로통색론(言路通塞論)으로 분류된다. 그는 학행(學行)이 겸비된 사유(士儒)로서 학문에 있어서는 그의 사칠이기설에서 이황과 쌍벽을 이루었고, 행동에 있어서는 지치주의적(至治主義的)인 탁견을 진주(進奏)하였다.

그의 대표적인 제자로는 정운룡(鄭雲龍)고경명(高敬命)최경회(崔慶會)최시망(崔時望) 등이 있다.

광주월봉서원(月峰書院)에 제향되었다. 시호는 문헌(文憲)이다.

문집으로 원집 3책, 속집 2책, 별집부록 1책, 『논사록』 1책, 『왕복서(往復書)』 3책, 『이기왕복서』 1책, 『주자문록(朱子文錄)』 4책 등이 포함된 모두 15책의 『고봉집』이 있다.

[참고문헌]

明宗實錄
宣祖實錄
高峰集

[집필자]

이을호(李乙浩)

명 : "대승(大升)"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國朝編年v08廷賓銜之又如李文馨許曄不肯附樑奇大升尹根壽以後進士類推許樑黨忌之於是李戡爲大司憲劾文馨曄素立斗壽根壽大升等浮薄相煽削職黜外沈義謙乃樑之甥姪也初出仕路交遊士類欲反樑所爲副學奇大恒亦樑之黨也及樑黨斥逐文馨等物
國朝編年v12介淸棄妻子爲僧以風水術遊諸處至寶城郡守金錫男墓山齋舍鄕人勸使長髮改時名娶私婢以居後往拜奇大升欲師事之大升曰汝文理已通何必學於他人拒而不納客問曰何挋之甚耶大升曰君不見容貌乎不可相近者也介淸慙憤卽上京因沈義謙
紀年便攷v13於李滉滉對日奇大升博洽超詣鎭見其比斯可謂通儒平日奏對言語史官錄為二卷名曰論思錄曹植曰此人得志必誤國事大升亦以植爲擾亂朝廷非儒者两不相許氣㮣豪俊談論㐲人李樑敗仕益顯士類推為領袖大升亦以經綸自負而無踐履之工有
紀年便攷v13思錄曹植曰此人得志必誤國事大升亦以植爲擾亂朝廷非儒者两不相許氣㮣豪俊談論㐲人李樑敗仕益顯士類推為領袖大升亦以經綸自負而無踐履之工有好勝之病嘗以乙巳權奸非偽勳李珥斥之與流俗不合為識者所不取自 上亦待以尋常氣
紀年便攷v13斥之與流俗不合為識者所不取自 上亦待以尋常氣高一世眼無強禦常欝欝不得志或問以士大夫立朝可以終身行之者大升答曰㡬勢死三字足以盡之盖謂光審其㡬知時。識勢守死善道也宣祖壬申以宗系辨誣使復命歸家扺古阜病卒年四十六
紀年便攷v16唯清世為羅州鄕吏其父欲免鄕吏移務安守沈義謙農庄棄妻子為僧學風水至宝城長髮改名介清娶私婢以居欲師竒大升大升拒不受因義謙謁朴淳留與子姪同學介清受學於淳淳愛若子弟幾十年薦為齋郞日本将有變 上憂之問誰可任将者淳以
國朝捷錄v01字士靖號晩全幸州人遵曾孫大升再從孫論奪松江牛溪宮諫廢母竄原州反正後判中逆适辭連誅甲辰拜領應世子昇平誅之延平伸雪河原君女
國朝人物志v2字伯顧號錦江幸州人大升從侄天姿俊偉內和外嚴自少不屑擧子業出入河西之門執經問難請益不懈時就堂叔文憲公質而講焉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