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선형(宣炯)

[요약정보]

UCIG002+AKS-KHF_12C120D615FFFFB1434X0
자(字)명여(明汝)
시호(諡號)평양(平壤)
생년1434(세종 16)
졸년1479(성종 10)
시대조선전기
본관보성(寶城)
활동분야무신 > 무신
공신호적개공신(敵愾功臣)
공신호좌리공신(佐理功臣)

[상세내용]

선형(宣炯)
1434년(세종 16)∼1479년(성종 10). 조선 초기의 무신. 본관은 보성(寶城). 자는 명여(明汝).

무과에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거치고 1455년(세조 1) 12월 경흥부사로서 세조 즉위에 공을 세워 원종공신(原從功臣) 2등에 녹훈되었다.

1457년 3월 경상좌도수군처치사(慶尙左道水軍處置使)를 거쳐 안주목사한성부윤판종성부사(判鐘城府事)를 역임하고, 그해 8월에는 상호군(上護軍)으로서 도체찰사(都體察使) 한명회(韓明澮)를 수행하여 그의 신임을 얻었다.

10월에는 회령절제사에 임명되었으며 한명회의 추천에 의하여 증질(增秩)되었다.

1463년 4월 인수부윤(仁壽府尹)을 거쳐 이듬해 정월에는 중추원부사(中樞院副使), 4월에는 다시 한성부윤에 임명되었다.

1465년 정월에 경상도제언순찰사(慶尙道堤堰巡察使)가 되어 경주 북천(北川)의 제언 수축에 공을 세웠으며, 6월에는 의주목사에 제수되었으나 절도사 김겸광(金謙光)과 뜻이 맞지 않아 교체되었다.

1467년 정월 비록 무장이지만, 그 성품이 염간(廉簡)하다고 하여 황해도관찰사에 임명되었으며, 그해 5월 이시애(李施愛)의 난이 일어나자 선군(船軍)동원을 적극 주장하였다. 같은해 7월 형조참판으로서 1,000인의 군졸을 이끌고 오자경(吳子慶)한계미(韓繼美) 등과 1진을 이루어 난의 평정에 공을 세웠다. 이 공로로 적개공신(敵愾功臣)3등에 녹훈되고 황해도병마사수군절도사에 임명되는 동시에 유성군(楡城君)에 봉해졌다.

1470년(성종 1) 6월 경기도관찰사가 되었으며, 이듬해 3월에는 성종 즉위에 공이 있어 좌리공신(佐理功臣) 4등에 녹훈되고, 충청도관찰사를 거쳐 영안북도절도사(永安北道節度使)를 역임하고 이듬해 8월 자헌대부(資憲大夫)유성군에 다시 봉해졌다.

그러나 1473년 2월 그가 영안북도절도사로 있을 당시 올적합(兀狄哈)온성 지방에 침입했으나 이를 구원하지 못했다고 하여 군기실오(軍機失誤)의 죄를 입어 고신(告身)을 회수당하였다.

이듬해 5월 사헌부사간원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성종의 특명으로 고신을 돌려받고 그뒤에는 유성군으로 북방에 대한 변사(邊事)에 자문하는 등 한가하게 지냈으며, 1477년에는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에 이르렀다. 우의정에 추증되었으며 전라도 보성오충사(五忠祠)에 제향되었다. 시호는 평양(平壤)이다.

[참고문헌]

端宗實錄
世祖實錄
成宗實錄
燃藜室記述

[집필자]

차문섭(車文燮)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