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강희안(姜希顔)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AC15D76CC548B1418X0
자(字)경우(景遇)
호(號)인재(仁齋)
생년1418(태종 18)
졸년1464(세조 10)
시대조선전기
본관진주(晉州)
활동분야문신 > 문신
강석덕(姜碩德)
저서『양화소록(養花小錄)』
공신호원종공신(原從功臣)

[상세내용]

강희안(姜希顔)
1418년(태종 18)∼1464년(세조 10). 조선 초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경우(景遇), 호는 인재(仁齋).

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 강석덕(姜碩德)의 아들이며, 좌찬성 강희맹(姜希孟)의 형으로 세종의 이질(姨姪)이다.

1441년(세종 23)에 식년문과에 정과로 급제하여 돈녕부주부(敦寧府主簿)가 되었다.

1444년 2월 16일에 세종의 명에 의하여 집현전 교리(集賢殿校理) 최항(崔恒)‧부교리 박팽년(朴彭年), 부수찬(副修撰) 신숙주(申叔舟)이선로(李善老)이개(李塏) 등과 함께 언문(諺文)으로 『운회(韻會)』를 번역하는데 참여하였다.

1444년에 최항(崔恒)박팽년(朴彭年)신숙주(申叔舟)와 함께 의사청(議事廳)에 나아가 언문(諺文)으로 운회(韻會)를 번역하였고, 1445년에는 최항 등과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의 주석을 붙였다.

1446년에 정인지(鄭麟趾) 등과 함께 세종이 지은 정음(正音) 28자에 대한 해석을 상세하게 덧붙였다.

1447년에 이조정랑이 되었고, 같은해에 집현전직제학 최항성삼문(成三問)이개(李塏) 등과 『동국정운(東國正韻)』을 완성하였다.

1450년 왕이 위독하자 부지돈녕(副知敦寧)의 직에 있으면서 미타관음(彌陀觀音) 등의 경문(經文)을 썼다.

1454년(단종 2)에 집현전직제학에 올랐고, 1455년(세조 1) 원종공신(原從功臣) 2등에 녹훈되었다.

1456년에 단종복위운동에 관련된 혐의로 신문을 받았으나 화를 면하였다. 후일에 다시 대사헌 신석조(辛碩祖)좌사간(左司諫) 이종검(李宗儉)이 그의 처벌을 요구하였지만 왕의 비호로 무사하였다.

1460년 호조참의황해도관찰사가 되었고, 1462년에 인순부윤(仁順府尹)으로서 사은부사(謝恩副使)가 되어 표‧전(表箋)을 받들고 명나라에 다녀왔으며, 1463년에 중추원부사(中樞院副使)가 되었다.

1464년에 사망하였는데, 세조가 관곽(棺槨)을 부의(賻儀)로 내려주었다. 그는 시와 글씨와 그림에 모두 뛰어나 삼절(三絶)이라 불리었으며, 특히 전서(篆書)‧예서(隷書)와 팔분(八分)에도 모두 독보적인 경지를 이루었다. 시는 위응물(韋應物)유종원(柳宗元)과 같다는 평이 있으나 자신의 글을 세상에 발표하기를 꺼려 전하는 문집이 없다. 그의 그림은 송나라유용(劉墉)곽희(郭熙), 글씨는 진(晉)나라왕희지(王羲之)원(元)나라조맹부(趙孟頫)에 비견되기도 하였다. 기록상에 전하는 그의 작품들을 살펴보면 작은 풍경화를 묵화로 즐겨 그렸으며 영모화(翎毛畵)‧산수화‧인물화에도 모두 뛰어났음을 알 수 있다. 작품으로는 여인도(麗人圖)가 유명하고 청학동(靑鶴洞)청천강(菁川江)의 두 족자와 경운도(耕雲圖)는 모두 기보(奇寶)라 할 수 있다.

1454년(단종 2)에 산천형세를 잘 아는 예조참판 정척(鄭陟), 지도에 밝은 직전(直殿) 양성지(梁誠之)와 함께 수양대군이 8도 및 서울의 지도를 제작하는 데 참여하였다.

1445년 명나라에서 보내온 체천목민영창후사(體天牧民永昌後嗣)의 여덟 자 옥새를 만들었는데 조정에서 그를 추천하여 쓰게 하였다. 세조 때에 임신자(壬申字)를 녹여서 새로 글자를 주조할 때 그가 글씨를 썼으며 이를 을해자(乙亥字)라고 하였다. 그는 글씨 쓰기를 꺼려 그의 필적이 세상에 전하는 것이 드물다.

성격은 온화하고 말이 적으며 청렴‧소박하고 물리에 통달하였고 또 번거로운 것을 싫어하고 고요한 것을 사랑하여 젊어서부터 영달하기를 구하지 않았다. 일찍이 의정부에서 검상(檢詳)으로 추천하려 했으나 끝까지 사양하여 한때 오해를 받기도 하였다.

그의 저서로는 원예에 관한 전문서적인 『양화소록(養花小錄)』이 있는데, 여기에는 꽃을 가꾸는 일을 그의 경륜(經綸)의 뜻에 비추어 서술하고 있다. 그의 그림으로는 교두연수도(橋頭烟樹圖)와 산수인물도(山水人物圖)‧고사관수도(高士觀水圖)‧고사도교도(高士渡橋圖)‧강호한거도(江湖閑居圖) 등이 있으며, 글씨로는 강지돈녕석덕묘표(姜知敦寧碩德墓表)와 윤공간공형묘비(尹恭簡公炯墓碑)가 남아 있다.

[참고문헌]

世宗實錄
端宗實錄
世祖實錄
國朝名臣錄
國朝人物考
國朝榜目

[이미지]

[집필자]

권연웅(權延雄)

성명 : "강희안(姜希顔)"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國朝編年v03集賢時世宗日抱王孫逍遙散步謂諸儒臣曰寡人千秋萬歲後卿等須護此兒言猶在耳汝獨忘之耶不意汝惡至此極也提學姜希顔辭連栲訊不服上問曰希顔與謀乎三問曰實不知進賜母盡殺名士留用之希顔由是得免三問車載出門顔色自若顧左右曰
國朝編年v04時爲首陽大君遂範鉛爲字以印綱目卽今所謂思政殿訓義也壬申命安平大君書之名曰壬申字乙亥年世祖改鎔壬子字命姜希顔書之名曰乙亥字至今用之其後乙酉年欲印圓覺經命鄭蘭宗書之字體不整名曰乙酉字成宗於辛卯年用王荊公歐陽公集
國朝彙鑑v1李塏柳誠源前節制使兪應孚等謀復上王事覺論死或言梁誠之有懼色從我久必無是事遂令具致寬召誠之慰諭誠之感泣姜希顔李季甸等亦詞連司諫權技等請鞫之上曰情狀未著吹毛求疵則有損於大體也不聽仍命罷集賢殿其所藏書籍令藝文館掌
震史記略v1權擥朴仲孫崔恒金泮李石亨尹子雲魚孝瞻盧叔同梁誠之成任李克堪李鳴謙金禮蒙盧思愼韓繼禧洪應李承召李坡李芮姜希顔趙瑾崔善復朴捷徐居朴仲林朴彭年河緯地成三問李塏柳誠源姜希孟極一代之名流○白鵲巢於集賢殿
震史記略v1謂我不信我家橐藏進賜之言皆虛亡女矣上怒甚令武士以熱鐵穿其脚而不服斷肱而亦不服徐曰進賜之刑慘矣集賢校理姜希顔亦辭連於李塏栲杖九十不服上問希顔知其謀乎三問曰實不知也進賜盡殺先朝名士而獨有此人姑留用此實賢人
歷代帝王紀年v01柳▣姜希顔仁齋李稷
歷代帝王紀年v01姜希顔仁齋偰慶壽按廉李山海鵝溪
國朝捷錄v01襄公庶子有學行爲南袞所誣告被誅成石磷子修獨谷領相成任重卿安齋吏判蜀體鄭蘭宗國馨戶判東萊尹有弓長村蜀體姜希顔景愚仁齋善書丙命畵詩世稱三絶府尹安琛子珍竹溪判書蜀體成世昌蕃仲遯齋任侄子松石諧孫濟以筆名大烈八代祖成
國朝捷錄v01安堅可度池谷善山水英廟命畵太祖八駿馬崔涇善人物李興孝仲順姜希顔景愚仁齋府尹又善書鶴林正成宗玄孫慶胤季吉洛坡善人物山水益陽君曾孫竹林守喜胤慶胤之弟善翎毛金禔安老子季
郯述v02姜希顔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2011-9-2동국대학교 국문과 정우영 교수님의 지적에 의해 훈민정음 해례와 관련된 내용을 조선왕조실록을 참고하여 1443년에서 1446년으로 수정하였으며, 1444년 『운회(韻會)』 언해한 내용도 수정 보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