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허완(許完)

[요약정보]

UCIG002+AKS-KHF_12D5C8C644FFFFB1569X0
자(字)자고(子固)
시호(諡號)충장(忠莊)
생년1569(선조 2)
졸년1637(인조 15)
시대조선중기
본관양천(陽川)
활동분야무신 > 무신
허기(許巙)
경산이씨(京山李氏)

[상세내용]

허완(許完)
1569년(선조 2)∼1637년(인조 15). 조선 중기의 무신. 본관은 양천(陽川). 자는 자고(子固).

부친은 증호조참판 허기(許巙)이며, 모친은 경산이씨(京山李氏)이다.

어려서부터 총명하여 기송(記誦)을 잘하고 필법에 능하였으나, 재략(才略)을 좋아하고 사장(詞章)에 얽매이지 않아 당시의 유명한 무인 유비(柳斐)성우길(成佑吉) 등과 무예를 겨루었다.

1593년(선조 26) 무과에 급제, 남쪽해변을 지킬 때 이순신(李舜臣)이 보고 장수의 재목이라 하여 특별히 대해주었고, 돌아와서는 선전관비국랑(備局郞)을 역임하였다. 유성룡(柳成龍)의 천거로 남평현감이 된 후 도총부도사경력 등을 거쳐, 단천군수가 되었다.

이때 여진족의 침입을 물리쳐 공을 세우고 절충장군(折衝將軍)으로 승진, 무산진첨절제사에 제수되고, 얼마 뒤 훈련중군호서수군절도사호남수군절도사를 역임하였는데, 간 데마다 군사들을 사랑하여 신망이 두터웠다. 광해군의 난정을 당하여 9년 동안 은거하고 있다가 인조반정 후 다시 중군에 등용되어 군졸들의 마음을 수습하였다.

외직에 나가 있는 동안 권귀인(權貴人)의 비위를 건드려 파직당하고, 정묘호란 때 다시 중군이 되어 왕을 호종한 공으로 가선대부로 승자, 영남우도절도사진주목사를 거쳐, 회령도호부사를 지냈다.

1636년(인조 14) 병자호란이 일어났을 때 영남좌도절도사로 있던 그는 보병 1만여명을 이끌고 북진하여 남한산성에 포위당하여 있던 왕을 구하려 하였으나, 광주(廣州) 쌍령(雙嶺)에서 적을 만나 싸우다가 전사하였다.

뒤에 왕이 이 소식을 듣고 예관(禮官)을 보내어 치제(致祭)하고, 병조판서에 추증하였다. 시호는 충장(忠莊)이다.

[참고문헌]

宣祖實錄
仁祖實錄
國朝人物考
國朝人物志
典故大方
許氏世稿

[집필자]

최승희(崔承熙)
대표명허완(許完)
완(完)
성명허완(許完)
시호충장(忠壯)
자고(子固)

성명 : "허완(許完)"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紀年便攷v20日始矣必欲窮兵小邦理窮勢極以死自期而已○完豊君李曙病卒軍中上慟哭賜綃及棺使其婿蔡裕後護歛○慶尙左兵使許完右兵使閔栐進軍䨇嶺兵敗死之栐等合兵四萬踰嶺而至廣州雙嶺分屯于左右賊先鋒魚貫而進安東營將宣若海獨當其鋒
紀年便攷v22許完錦八世孫子曄從孫宣祖己卯生字子固登武科拜宣傅官兼備郞出守端川與野人斬獲甚多上特命賜甲冑弓劍以獎之仁祖
紀年便攷v23牌書姓名藏之頭䯻又造斑爛衣着于裏與弟仁男義男訣曰汝識之時天寒風雪甚只被一獘毛衣至雙嶺右兵使閔栐左兵使許完忠請兵使李義培陣于北崖虜仰攻之三營兵盡潰善男馳赴虜陣力戰而死從而死者百餘人所騎馬走昌原府中悲鳴二弟知
震史記略v4大至麾下勤避命耉笑曰吾何往以劍擊地曰今走亦死寧死戰踞床不動身中三矢而琳不救○忠淸兵使李義陪慶尙左兵使許完右兵使閔栐分左右陣於雙岺時極寒士卒凍餒虜先犯完陣完軍不戰自潰仍赴栐軍軍中失火驚擾遂大潰三帥俱死監司沈
小華龜鑑v11宣若海以安東營將與左兵使許完右兵使閔栐進陣廣州ː雙嶺完年老恐怯對人垂淚賊先鋒突入完不能騎旋騎旋墜爲賊所殺若海獨當其鋒手發三十餘矢
密陽朴氏五忠實紀監金穀之馳報也忠淸監司鄭世規兵使李 義培慶尙左兵使許完右兵使捄等軍次第敗沒輿地勝覽 燕岐 抄略朴元謙仁謙
郯述v03許完同死
郯述v03許 完
國朝人物志v3寶城人武科丙子以安東營將與左兵使許完右兵使閔栐勤王進陣廣州雙嶺完年老對衆垂淚淸人先鋒突入完不能騎旋騎旋墜爲賊所殺若海獨當其
國朝人物志v3白紬行纏以靑錦條爲繫於袴內親膚以着人問之義培曰將臨陣死生不可知他日原濕欲以此爲識與慶尙左節度許完右節度閔栐偕進至廣州雙嶺兵敗裨將進馬請騎義培曰事至此唯有死耳乘馬何之衣虎裘立陣前射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