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우공(禹貢)

[요약정보]

UCIG002+AKS-KHF_12C6B0ACF5FFFFB1415X0
자(字)현규(玄圭)
시호(諡號)양장(襄莊)
생년1415(태종 15)
졸년1473(성종 4)
시대조선전기
본관단양(丹陽)
활동분야무신 > 무신
우수로(禹秀老)
공신호적개공신(敵愾功臣)
공신호좌리공신(佐理功臣)

[상세내용]

우공(禹貢)
1415년(태종 15)∼1473년(성종 4). 조선 초기의 무신. 본관은 단양(丹陽). 자는 현규(玄圭). 고려 시중(侍中) 우현보(禹玄寶)의 후손으로 우수로(禹秀老)의 아들이다.

어릴 때부터 용맹이 뛰어나 1443년(세종 25) 내금위(內禁衛)에 속하였다가, 이듬해 무과에 급제하고 1447년 무과중시에 급제하여 축두포만호(丑頭浦萬戶)가 되었다.

1453년(단종 1) 진무(鎭撫)를 거쳐 경원판관군기판관경성판관훈련원사 등을 역임하였다.

1460년(세조 6) 안변부사로 있으면서 신숙주(申叔舟)와 함께 모련위(毛憐衛)의 야인(野人)정토에 공을 세웠다.

1463년 당상관으로 의주목사에 제수되었으나, 어머니의 상을 당하여 사직하였다.

1466년 기복(起復)되어 의주목사가 되었으나, 적정(賊情)정탐을 이유로 압록강을 건너 대창산(大昌山)밑에서 사냥하다가 야인의 습격을 받아 패배한 일로 파직, 투옥되었다.

1467년 이시애(李施愛)의 난이 일어나자 옥에서 나와 입공속죄(立功贖罪)의 기회를 얻고 화차장(火車將)으로 임명되어 평정에 공을 세워, 그 공으로 적개공신(敵愾功臣)3등에 책록되고 단성군(丹城君)에 봉하여졌으며 겸오위장(兼五衛將)이 되었다.

그뒤 강순(康純)남이(南怡) 등이 건주위(建州衛)를 정벌할 때 종군하여 공을 세워 군공(軍功)3등에 책록되었고, 이어 경상좌도수군절도사가 되었다.

1470년 상호군도총관으로서 하정사(賀正使)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오고, 이듬해는 성종의 즉위에 대한 공으로 좌리공신(佐理功臣)4등에 책록되었으며 다시 단성군에 봉하여졌다. 우찬성에 추증되었으며, 시호는 양장(襄莊)이다.

[참고문헌]

世祖實錄
成宗實錄

[집필자]

차문섭(車文燮)

성명 : "우공(禹貢)"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國朝編年v03謂之酒德名臣錄○九月命遣鎭北將軍康純鎭西大將具致寬等攻建州衛斬賊酋李萬注父子大捷而還是年四月義州牧使禹貢昌城府使朴良信獜山郡守李揆會獵于賊境大昌山下猝遇賊至僅以身免士卒多被擄殺上召議諸臣僉曰時方盛夏不可動
紀年便攷v9禹貢
紀年便攷v9禹貢洪冨曾孫直長季老子字顯圭號通巖才氣過人學業著世早歲登科世祖朝與曹錫文討平施愛策敵愾㓛三䓁封丹 陽君成
國朝捷錄v01栗原君孝寧大君孫寶城君子宣炯楡城君武正憲能詩閔發呂山君崇政吳子慶寶山君武資憲崔有臨隋城君▣安襄公兵判禹貢丹陽君資憲鄭種東平君鄭俊草溪君李陽生鷄城君車云革鍾城人延川君從軍死之見三綱行實○睿宗朝輸保社炳幾靖難
郯述v03禹 貢
十九功臣會盟錄哲長孫折衝將軍 行龍驤衛大護軍臣李敬男敵愾佐理功臣禹貢嫡長孫折衝將軍 行龍驤衛大護軍臣禹楫翊戴功臣趙益貞
昆山君裵胡公事實自 治鄭崇魯張末孫孫昭魚世恭 尹末孫吳順孫沈膺金沔禹貢 孟碩欽三等 永順君溥韓繼美綜宣烱閔發 吳子慶崔有
昆山君裵胡公事實自 治鄭崇魯張末孫孫昭魚世恭 尹末孫吳順孫沈膺金沔禹貢 孟碩欽三等 永順君漙 溥 韓繼美綜宣烱閔發 吳子
昆山君裵胡公事實自 治鄭崇魯張末孫孫昭魚世恭尹末孫吳順 孫沈膺金沔禹貢孟碩欽二十四人爲第二 等策永順君漙 溥 韓繼美綜宣
昆山君裵胡公事實自 治鄭崇魯張末孫孫昭魚世恭尹末孫吳順 孫沈膺金沔禹貢孟碩欽二十四人爲二等 策永順君漙 溥 韓繼美綜宣烱
東國續修文獻錄v1李溥永順君文重試恭昭公韓繼美西原府院君李徖栗元君孝寧大君孫吳自慶寶山君資憲閔發驪州君禹貢□陽君資憲崔有臨隋城君安襄公宣炯楡城君正憲鄭種東平君鄭俊草溪君李陽生鷄城君車云革贈延川君從軍節死見
東國續修文獻錄v1見佐翼功柳洙見靖難功魚有沼見敵愾功咸禹治東原君傳霖子李塤韓城君金吉通月川君文魁戶判文平公宣炯見敵愾功禹貢見敵愾功吳伯昌興原君知中憲平公金嶠見敵愾功朴居謙密山君知中李鐵堅贊成韓致仁西城君知中恭安公具文信綾原
二十一功臣會盟錄n1책厚基 敵愾功臣金沔嫡長孫學生臣金夏鼎 敵愾佐理功臣禹貢嫡長孫學生臣禹繼 夏 敵愾功臣孟碩欽嫡長孫學生臣孟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