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신여철(申汝哲)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2E0C5ECCCA0B1634X0
자(字)계명(季明)
호(號)지족당(知足堂)
시호(諡號)장무(莊武)
생년1634(인조 12)
졸년1701(숙종 27)
시대조선중기
본관평산(平山)
활동분야무신 > 무신
신준(申竣)
조부신경진(申景禛)

[상세내용]

신여철(申汝哲)
1634년(인조 12)∼1701년(숙종 27).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은 평산(平山). 자는 계명(季明), 호는 지족당(知足堂).

영의정 신경진(申景禛)의 손자이며, 도정(都正) 신준(申竣)의 아들이다.

효종성균관에 입학하였다가 효종이 북벌(北伐)을 위하여 훈척(勳戚)의 자제들에게 무예를 닦게 하자 유생을 이끌고 무예를 연마하였다. 현종 초기에 선전관을 지낸 뒤 무과에 급제하였다.

1669년(현종 10) 충청도수군절도사를 거쳐, 1671년 통제사, 이듬해 평안도병마절도사를 지내고, 1675년(숙종 1) 병조참판을 거쳐 1680년 경신대출척 때는 총융사가 되어 서인편에 서 활동하였다.

그뒤 공조판서를 거쳐 1688년 형조판서훈련대장을 겸하고, 1694년 갑술옥사 때 판의금부사장희재(張希載) 등을 처벌하였다.

1695년 형조판서, 1700년 호조판서, 이듬해 다시 훈련대장이 되고 공조판서를 지냈다. 당쟁이 격화되었던 시기에 병권의 요직을 거치면서 서인편에 서서 큰 정치적 역할을 하였다. 시호는 장무(莊武)이다.

[참고문헌]

顯宗實錄
肅宗實錄
淸選考
燃藜室記述
國朝人物考

[집필자]

김양수(金良洙)

명 : "여철(汝哲)"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震史記略v5丙子冊世子嬪沈氏○時有張希載奴業同埋凶張墓事蓋希載家自埋于其墓使人誘兵判申汝哲奴應先竊其號牌以爲先殺汝哲去其兵權仍爲網打西人之計實李弘渤義徵子之謀也上親鞠應先不服死命重黨購得作變者更設鞠果得埋凶之物令領相
震乘總v12因三司力請更鞠業同希載自埋凶其墓受刑就服蓋希載家自作木人自埋其墓使人誘致應先於酒家乘醉竊其號牌欲先殺汝哲去其兵權仍爲網打西人之計李弘渤義徵之子實主其謀云弘渤杖斃其餘伏法頒敎○吏判崔崔錫鼎疏請通庶孼錫鼎上疏
辛壬紀年提要v3弘述沈毅有胆略儀表魁嵬一見知其爲干城國器肅廟嘗問申汝哲曰後進中有可以繼卿任中權者乎汝哲以弘述對由是知名屢加超擢位至正卿久典中權一邊人忌之尹就商位當次尤嫉之日夜與卿昌等謀所以除之時有陸玄者
野乘v29而無可意者適路見申汝哲時申新着草笠年僅十五已知其為人而然必欲審知之數日後躬徃其家曾無面分故申家恠其來汝哲亦不在浣虛還凢三徃而得見與語大悅始為别薦果作國家柱石之臣古人之事如此矣諸臣皆服其率爾之罪近來别薦則有
大事編年v18者李弘勃弘勃卽義徵子也義徵己巳以後連爲兩局大將甲戌以罪賜死者也蓋弘勃以怨毒之心欲移禍於老論以報私讐而汝哲在武弁中以老論見稱故爲此計也弘勃不服與諸囚面質則語屈低首不能答而猶不服刑訊過十次壓膝烙刑各數次而死諸
國朝人物志v3孫父垓官至都正出繼忠翼弟東城君景禋之後孝宗薪膽奮義鼙鼓興思令選勳戚家子弟勸武汝哲以諸生應命顯宗朝由宣傳官登武科歷職內外上詢誰可將貞翼公李浣擧汝哲以對
國朝人物志v3字士晦平山人莊武公汝哲之孫壬辰武科爲御營大將前時黨人復得志深恚公不附己遂彈公不可任將上雖靳許而公竟辭遞一宰
國朝人物志v3字士善全州人肅宗乙卯武科刑曹判書少時息菴金錫胄期以國士申相汝哲簡亢少許可獨深許之景宗新卽位無嗣臺臣請建儲大臣申請封英廟爲王世弟柳鳳輝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