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여이재(呂爾載)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5ECC774C7ACB1600X0
자(字)자후(子厚)
호(號)해옹(海翁)
시호(諡號)숙헌(肅憲)
생년1600(선조 33)
졸년1665(현종 6)
시대조선중기
본관함양(咸陽)
활동분야문신 > 문신
여인길(呂䄄吉)
공신호영국공신(寧國功臣)

[상세내용]

여이재(呂爾載)
1600년(선조 33)∼1665년(현종 6).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자는 자후(子厚), 호는 해옹(海翁). 총관 여인길(呂䄄吉)의 아들이며, 장현광(張顯光)의 문인이다.

1619년(광해군 11) 사마시에 합격, 건원릉참봉(健元陵參奉)이 되고 1637년(인조 15)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예조병조좌랑을 거쳐 1640년에 정언이 되었다.

1644년 훈련원종사관으로 어영대장 구인후(具仁垕)를 도와 회은군(懷恩君) 덕인(德仁)을 추대하려던 심기원(沈器遠)일당의 역모를 적발, 일망타진한 공으로 영국공신(寧國功臣) 2등에 책록되고 당상계(堂上階)에 올랐다.

그뒤 오위장호조참의병조참지를 거쳐 1646년에는 형방승지가 되어 유탁(柳濯)의 역모사건을 국문하는 데 공을 세웠다.

1649년(효종 즉위) 전라도관찰사가 되고 이어서 인조의 능을 수축하기 위한 산릉도감(山陵都監)부제조를 거쳐, 도승지호조참판동지중추부사한성우윤 등을 역임하고 1654년에 황해도관찰사가 되었다.

1660년 산릉수개도감당상, 이듬해 부묘도감제조(祔廟都監提調)형조판서를 역임하고 1662년 한성판윤이 되어 동지사청나라에 다녀와 오삼계난(吳三桂亂)을 보고하였으며, 이듬해 다시 형조판서를 역임하였다.

45년간의 관직생활을 하면서 정성껏 왕을 보필하여 총애를 받았다. 시호는 숙헌(肅憲)이다.

[참고문헌]

仁祖實錄
孝宗實錄
顯宗實錄
國朝人物考
國朝榜目

[집필자]

문수홍(文守弘)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