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병호(趙秉鎬)
[요약정보]
UCI | G002+AKS-KHF_13C870BCD1D638B1847X0 |
자(字) | 덕경(德卿) |
시호(諡號) | 문헌(文獻) |
생년 | 1847(헌종 13) |
졸년 | 1910(융희 4) |
시대 | 조선후기 |
본관 | 임천(林川) |
활동분야 | 문신 > 문신 |

부 | 조기진(趙基晉) |
출신지 | 서울 |

[상세내용]
조병호(趙秉鎬)
1847년(헌종 13)∼1910년. 조선 말기의 문신. 본관은 임천(林川). 자는 덕경(德卿). 서울 출신. 참판 조기진(趙基晉)의 아들이다.
1866년(고종 3)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이듬해 홍문관 관원으로 법규교정소의정관(法規校正所議定官)이 되고, 1869년 서장관(書狀官)으로 청나라에 다녀와 이듬해 홍문관응교에 승진하였다.
1872년 동부승지가 되고, 1879년 성균관대사성, 이듬해 이조참의를 거쳐 1881년 수신사로 일본에 가서 관세문제를 논의하고 돌아왔다.
1882년 도승지‧이조참판에 올라 임오군란 당시에는 일본공사 하나부사(花房義質)일행을 장악원에 피신해 있도록 보호조처하고 청군(淸軍)입성시에는 우창칭(吳長慶)의 영접관(迎接官)이 되어 안내하였다.
1883년 안동부사가 되어 동래민란과 성주민란의 안핵사(按覈使)를 겸임, 민란을 진압, 처리하였다.
1884년 갑신정변 후 사대당(事大黨) 중심의 정부조직 때에는 독판교섭통상사무(督辦交涉通商事務)에 특탁(特擢)되어 일본에 망명중인 김옥균(金玉均)‧박영효(朴泳孝) 등의 소환을 일본정부에 요구하는 등 사대당 정책수행에 노력하였다.
그뒤 강화부유수를 거쳐 1885년 공조‧예조의 판서, 한성부판윤을 차례로 역임하고, 1886년 다시 예조판서가 되었다.
1889년 의정부우참찬‧한성부판윤을 지내고 이듬해 다시 예조판서를 역임한 뒤, 1892년 충청도관찰사가 되었다.
1894년 경상도관찰사가 되고, 이듬해 장례원경(掌禮院卿)‧궁내부특진관을 거쳐 1897년 탁지부대신‧학부대신, 이듬해 다시 탁지부대신이 되었다.
1899년 장례원경‧궁내부특진관을 지내고 1904년 내부대신을 역임한 뒤 1905년 황해감사에 발령되었으나 부임 전에 다시 탁지부대신‧참정대신이 되고, 1906년 의정부의정대신이 되었다.
글씨를 잘 썼다. 시호는 문헌(文獻)이다.
1866년(고종 3)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이듬해 홍문관 관원으로 법규교정소의정관(法規校正所議定官)이 되고, 1869년 서장관(書狀官)으로 청나라에 다녀와 이듬해 홍문관응교에 승진하였다.
1872년 동부승지가 되고, 1879년 성균관대사성, 이듬해 이조참의를 거쳐 1881년 수신사로 일본에 가서 관세문제를 논의하고 돌아왔다.
1882년 도승지‧이조참판에 올라 임오군란 당시에는 일본공사 하나부사(花房義質)일행을 장악원에 피신해 있도록 보호조처하고 청군(淸軍)입성시에는 우창칭(吳長慶)의 영접관(迎接官)이 되어 안내하였다.
1883년 안동부사가 되어 동래민란과 성주민란의 안핵사(按覈使)를 겸임, 민란을 진압, 처리하였다.
1884년 갑신정변 후 사대당(事大黨) 중심의 정부조직 때에는 독판교섭통상사무(督辦交涉通商事務)에 특탁(特擢)되어 일본에 망명중인 김옥균(金玉均)‧박영효(朴泳孝) 등의 소환을 일본정부에 요구하는 등 사대당 정책수행에 노력하였다.
그뒤 강화부유수를 거쳐 1885년 공조‧예조의 판서, 한성부판윤을 차례로 역임하고, 1886년 다시 예조판서가 되었다.
1889년 의정부우참찬‧한성부판윤을 지내고 이듬해 다시 예조판서를 역임한 뒤, 1892년 충청도관찰사가 되었다.
1894년 경상도관찰사가 되고, 이듬해 장례원경(掌禮院卿)‧궁내부특진관을 거쳐 1897년 탁지부대신‧학부대신, 이듬해 다시 탁지부대신이 되었다.
1899년 장례원경‧궁내부특진관을 지내고 1904년 내부대신을 역임한 뒤 1905년 황해감사에 발령되었으나 부임 전에 다시 탁지부대신‧참정대신이 되고, 1906년 의정부의정대신이 되었다.
글씨를 잘 썼다. 시호는 문헌(文獻)이다.
[참고문헌]
高宗實錄
日省錄
陰晴史
梅泉野錄
大韓季年史
續陰晴史
日省錄
陰晴史
梅泉野錄
大韓季年史
續陰晴史
[집필자]
이완재(李完宰)
성명 : "조병호(趙秉鎬)"에 대한 용례
수정일 | 수정내역 |
---|---|
2005-11-30 | 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