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박종갑(朴宗甲)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BC15C885AC11B1742X0
이명(異名)박상갑(朴相甲)
자(字)동보(同甫)
시호(諡號)문정(文貞)
생년1742(영조 18)
졸년1799(정조 23)
시대조선후기
본관반남(潘南)
활동분야문신 > 문신
박인원(朴麟源)

[관련정보]

[상세내용]

박종갑(朴宗甲)
1742년(영조 18)∼1799년(정조 23).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초명은 상갑(相甲), 자는 동보(同甫). 공조정랑 박인원(朴麟源)의 아들이다.

경사(經史)를 탐독하고, 군적(群籍)을 섭렵하였으므로 사우(士友)들이 우러러보았다.

1770년(영조 46)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설서(說書)에 임명되고, 이어 홍문록(弘文錄)에 들고 호당(湖堂)에 뽑혔으며, 천거(薦擧)로 세자시강원(世子侍講院)에 들어가서 서유신(徐有臣)이의준(李義駿)과 같이 세손을 잘 보좌하니, 사람들이 그들을 ‘삼춘방(三春坊)’이라 하였다.

일마다 간곡한 말을 하지 않는 것이 없고, 소회가 있으면 숨기는 것이 없었으며, 오직 임금의 마음을 바로잡는 것을 제일의(第一義)로 삼았다. 여러 관직을 거치고 우부승지(右副承旨)를 거쳐, 외직으로 나아가서 춘천부사(春川府使)가 되어서는 정사(政事)의 처리가 깨끗하고 간결하였다.

1777년(정조 1)에는 벽파로 지목한 대계(臺啓)의 탄핵으로 말미암아 향리(鄕里)에 방축(放逐)되었다. 양주(楊州)의 병려(丙廬)에 살고 있어 모옥(茅屋)이 비바람을 가리지 못하고, 먹을 양식이 떨어져도 조금도 걱정하고 탄식하는 기색을 보이지 않았다.

그뒤 다시 복직되어 형조참의안주목사(安州牧使)형조참판을 거쳐 평안감사(平安監司)가 되었는데, 상원군(祥原郡) 관아가 있는 곳이 백성들에게 불편하다고 하여 조정에 건의하여 옮기도록 하였고, 청렴과 검약으로 자신을 다스리니 사람들이 감히 비도(非道)로 대하지 못하였다.

1798년 정경(正卿)에 올라 공조판서가 되었고, 이어 전설사제조(典設司提調)한성부판윤을 거쳐 지의금부사(知義禁府事)오위도총부도총관(五衛都摠府都摠管)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형조판서지경연사(知經筵事)사직서제조 등을 차례로 역임하였다.

대대로 사환한 집에 태어나서 청렴한 명환(名宦)으로 이름을 떨쳤다. 시호는 문정(文貞)이다.

[참고문헌]

正祖實錄
國朝榜目
經山集(鄭元容)

[집필자]

이원균(李源鈞)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