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진관(趙鎭寬)
[요약정보]
UCI | G002+AKS-KHF_13C870C9C4AD00B1739X0 |
자(字) | 유숙(裕叔) |
호(號) | 가정(柯汀) |
시호(諡號) | 효문(孝文) |
생년 | 1739(영조 15) |
졸년 | 1808(순조 8) |
시대 | 조선후기 |
본관 | 풍양(豊壤) |
활동분야 | 문신 > 문신 |

부 | 조엄(趙曮) |

[관련정보]
[상세내용]
조진관(趙鎭寬)
1739년(영조 15)∼1808년(순조 8).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풍양(豊壤). 자는 유숙(裕叔), 호는 가정(柯汀). 대마도에서 고구마를 들여와 재배한 이조판서 조엄(趙曮)의 아들이다.
1762년(영조 38) 사마시에 합격하고, 1771년 의금부도사에 피임된 뒤, 1775년 세자익위사시직(世子翊衛司侍直)으로 있을 때 특별 구현시(求賢試)에 장원으로 뽑혀 홍문관제학으로 발탁되고, 같은해 광주부윤(廣州府尹)이 되었다.
1776년(정조 즉위) 당시 평안도관찰사로 있던 아버지 조엄이 이조판서로 있을 때의 인사문제에 관련, 홍국영(洪國榮)일당의 무고로 억울하게 죄인의 누명을 쓰자 신문고를 쳐서 부당함을 호소하기도 하고, 옥중에서 자살을 기도하는 등 홍국영의 세도권력에 항거하였다.
1788년 돈녕부도정(敦寧府都正)에 임명된 뒤 한성부우윤‧좌윤 등을 지내면서, 아버지의 생전의 누명을 벗기기 위한 소를 계속 올림으로써 마침내 1794년 그 원(寃)을 풀고 그해 대사간이 되었다.
1796년 동지춘추관사에 이어 개성부유수‧전라도관찰사‧병조판서‧선혜청제조 등을 두루 거쳐 1800년(순조 즉위) 이조판서에 제수되었다.
그러나 사직소를 계속 올려 사퇴한 뒤 곧 복직되어 대사헌에 임용되었다.
그뒤 병조‧예조의 판서를 역임하고, 1805년 호조판서로 있을 때 영동‧관서 지방에서 재해를 입은 고을은 대동포(大同布)나 대동삼(大同蔘)의 납부기간을 연기하여주는 한편, 전(錢)으로 대납하게 하거나 분납도 허락하여주자고 왕에게 건의하여 그대로 시행케 함으로써 농민의 어려움을 덜어주기도 하였다.
그뒤 수원부유수를 거쳐 판돈녕부사가 되어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갔다. 글씨에도 뛰어난 솜씨를 보였다. 시호는 효문(孝文)이다.
1762년(영조 38) 사마시에 합격하고, 1771년 의금부도사에 피임된 뒤, 1775년 세자익위사시직(世子翊衛司侍直)으로 있을 때 특별 구현시(求賢試)에 장원으로 뽑혀 홍문관제학으로 발탁되고, 같은해 광주부윤(廣州府尹)이 되었다.
1776년(정조 즉위) 당시 평안도관찰사로 있던 아버지 조엄이 이조판서로 있을 때의 인사문제에 관련, 홍국영(洪國榮)일당의 무고로 억울하게 죄인의 누명을 쓰자 신문고를 쳐서 부당함을 호소하기도 하고, 옥중에서 자살을 기도하는 등 홍국영의 세도권력에 항거하였다.
1788년 돈녕부도정(敦寧府都正)에 임명된 뒤 한성부우윤‧좌윤 등을 지내면서, 아버지의 생전의 누명을 벗기기 위한 소를 계속 올림으로써 마침내 1794년 그 원(寃)을 풀고 그해 대사간이 되었다.
1796년 동지춘추관사에 이어 개성부유수‧전라도관찰사‧병조판서‧선혜청제조 등을 두루 거쳐 1800년(순조 즉위) 이조판서에 제수되었다.
그러나 사직소를 계속 올려 사퇴한 뒤 곧 복직되어 대사헌에 임용되었다.
그뒤 병조‧예조의 판서를 역임하고, 1805년 호조판서로 있을 때 영동‧관서 지방에서 재해를 입은 고을은 대동포(大同布)나 대동삼(大同蔘)의 납부기간을 연기하여주는 한편, 전(錢)으로 대납하게 하거나 분납도 허락하여주자고 왕에게 건의하여 그대로 시행케 함으로써 농민의 어려움을 덜어주기도 하였다.
그뒤 수원부유수를 거쳐 판돈녕부사가 되어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갔다. 글씨에도 뛰어난 솜씨를 보였다. 시호는 효문(孝文)이다.
[참고문헌]
英祖實錄
正祖實錄
純祖實錄
國朝榜目
楓皐集
雲石遺稿
韓國故事大典(金舜東, 回想社, 1965)
正祖實錄
純祖實錄
國朝榜目
楓皐集
雲石遺稿
韓國故事大典(金舜東, 回想社, 1965)
[집필자]
조원래(趙湲來)
대표명 | 조진관(趙鎭寬) |
명 | 진관(鎭寬) |
성명 | 조진관(趙鎭寬) |
시호 | 효문공진관(孝文公鎭寬) |
명 : "진관(鎭寬)"에 대한 용례
수정일 | 수정내역 |
---|---|
2005-11-30 | 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