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민형수(閔亨洙)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BBFCD615C218B1690X0
생년1690(숙종 16)
졸년1741(영조 17)
시대조선중기
본관여흥(驪興)
활동분야문신 > 문신
민진원(閔鎭遠)
조부민유중(閔維重)
외조부윤지선(尹趾善)

[상세내용]

민형수(閔亨洙)
1690년(숙종 16)∼1741년(영조 17).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민유중(閔維重)의 손자로, 좌의정 민진원(閔鎭遠)의 아들이며, 모친은 윤지선(尹趾善)의 딸이다.

1719년(숙종 45) 사마시에 합격하고, 1725년(영조 1)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 1726년 설서(說書)를 거쳐, 검열(檢閱)봉교(奉敎)겸설서(兼說書)‧한림(翰林) 등을 역임하고, 1729년 정언(正言)별겸춘추로서 정미환국 이후 노론의 거두인 아버지가 밀려나고 소론이던 이광좌(李光佐)좌의정으로 등장하게 된 사실을 신원(伸寃)하는 요건으로 이광좌를 소척하려 하였다가 이천현감으로 쫓겨났다.

그뒤 1733년 부수찬이 되었으나, 다시 이광좌를 소척하다가 갑산(甲山)에 찬배되었다.

이듬해 풀려나 1735년 부교리교리부수찬 등을 거쳐, 1736년 승지대사간금천군수 등을 역임하고, 1739년 부사직(副司直)에 이르러서, 동생 민통수(閔通洙)와 함께 다시 이광좌를 소척하다가 또 해남현에 찬배되었다. 뒤에 곧 풀려나 1740년 승지를 거쳐 도승지에 이르렀다.

이때 우의정 조현명(趙顯命)의 유발(誘發)로 그가 위시(僞詩)를 신빙하고 있다고 인정되어 다시 국문을 받고 심적 고통을 받았으나, 당시 부사직으로서 동지사부사로 발탁되어 떠나면서도 그것을 해명하는 상소를 하였다.

1741년 형조참판을 거쳐, 함경감사 때는 북관의 진보(鎭堡)설치에 힘을 기울였을 뿐 아니라 해청미 일만곡(一萬斛)을 진자(賑資)로 이용하였으며, 그해 변경순방을 하다가 괴한에게 장살되었다.

일생을 통하여 영조의 탕평책에 어긋난 언행으로 아버지의 신원을 위하여 이광좌를 끈질기게 소척하려 하였고, 이로 인하여 자신이 또한 파란을 많이 겪었다.

[참고문헌]

英祖實錄
國朝榜目

[집필자]

박정자(朴定子)
대표명민형수(閔亨洙)
형수(亨洙)
성명민형수(閔亨洙)

성명 : "민형수(閔亨洙)"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桐巢漫錄v2今上英宗庚申冬閔百昌 新來席上趙顯命 謂閔亨洙 曰金李 旣復爵龍澤 天紀何不伸冤乎亨洙 大言曰龍澤 家藏肅廟 密賜詩札乃今上手筆也伸冤何不可之有顯
桐巢漫錄v2其爲巡使時有遺惠配食于白沙 事成後巡使朴文秀 始啓奏老黨以爲不稟朝延徑自私享違禁條卽令斥出文秀 拿遞閔亨洙 代任到卽究禁其時營建有司竝取其位牌出巡時使其人負其牌先路令兩卒持杖躡足驅策之疾走行數十里氣急僵仆卽
辛壬紀年提要v12七月副修撰閔亨洙上疏痛斥光佐諱疾之罪上命甲山荐棘因咎閔鎭遠敎子上疏鎭遠連疏引罪上慰諭之校理尹得和吳瑗爭之上命補外得和
辛壬紀年提要v12十五年己未二月二十二日副司直閔亨洙校理閔通洙辨先志聯名疏曰嗚呼殿下所以待先臣者恩禮隆重而本心則似未盡燭以至隱卒之典示以追咎病其執滯而恨
辛壬紀年提要v13聞告之大臣有警悟之色曰若明知奉承肅宗遺敎則國是大定豈不幸歟上曰不待盡言玆事體大當稟告慈殿而下敎諸臣逢閔亨洙於李周鎭家曰龍澤輩庚子六月初八日以後乃建儲代理事而若八月以前則景廟方在儲位復爲何事亨洙曰亦有委折今備
辛壬紀年提要v13而勖勉宗國之意也龍澤感泣而受之與李天紀洪義人李喜之沈尙吉示以詩誓以一死報效竝罹慘禍至是趙顯命宋寅明要閔亨洙請對顯命曰昨日備坐亨洙有言至重大事也願問於宰臣而審聽焉亨洙曰近聞有七臣付托之敎考出日記果有之臣業欲上
野乘v20○閔應洙登肅庙庚寅進魁久未售於釋褐之塲今上乙巳以户郞徃候於族叔左相鎮遠座上有相者以閔亨洙李周鎮軰必占今科終不許應洙應洙出去後相者曰光羅州外無他榮顕之相云云應洙擢其榜丙科歷颺吏兵終至拜相両子
郯述v01正渃豊君楙副吏判閔亨洙書狀卜正洪昌漢
郯述v02閔亨洙
國朝人物志v3奏放尹韓兩人戊午大司諫金致仁疏斥光佐曰蔡京復相云云光佐留箚出城上命配致仁己未閔亨洙上疏斥之命竄南海庚申三司合啓請罷相職右相兪拓基以去就爭之上曰勉副遂罷光佐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