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이광좌(李光佐)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774AD11C88CB1674X0
자(字)상보(尙輔)
호(號)운곡(雲谷)
생년1674(현종 15)
졸년1740(영조 16)
시대조선중기
본관경주(慶州)
활동분야문신 > 문신
이세귀(李世龜)
공신호분무원종공신(奮武原從功臣)

[상세내용]

이광좌(李光佐)
1674년(현종 15)∼1740년(영조 16).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상보(尙輔), 호는 운곡(雲谷). 이항복(李恒福)의 현손이며, 장령 이세구(李世龜)의 아들이다.

1694년(숙종 20) 별시문과에 장원급제하고, 1697년 부수찬이 되었다.

1703년 수찬부교리교리를 거쳐 사헌부헌납이조좌랑 등을 역임하였다.

1708년에는 전라도관찰사로 나아갔다가 중앙으로 돌아와 이조참의가 되었다.

그뒤 1712년 부제학평안도관찰사를 거쳐 다음해 함경도관찰사가 되었고, 1715년에는 동지사청나라에 다녀왔다.

이듬해 숙종이 소론을 배척하여 윤선거(尹宣擧)의 문집을 훼판(毁板)하는 병신처분(丙申處分)을 내리자 이에 반대하다가 파직되었다.

1718년에는 예조참판에 등용되고, 1721년(경종 1) 호조참판을 거쳐 사직(司直)에 있으면서 왕세제인 연잉군(延礽君) 금(延: 뒤의 영조)의 대리청정을 적극 반대하여 경종으로 하여금 이를 취소하게 하는 등 경종의 보호에 명분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나섰다.

1721년과 그 다음해에 각각 김일경(金一鏡) 등의 소(疏)와 목호룡(睦虎龍)의 고변사건이 벌어진 신임사화가 발생, 노론이 제거되고 소론이 정권을 잡게 되자 예조판서를 거쳐 평안도관찰사로 나아갔다.

이듬해 좌부빈객(左副賓客)을 역임하고, 병조판서원접사(遠接使)가 되었으며, 1723년에는 우의정에 올랐고, 1725년(영조 1)에는 영의정에 이르렀으나 노론의 등장으로 파직당하고 말았다.

1728년에 정미환국으로 소론정권이 다시 등장하게 되자 영의정에 올라 실록청총재관(實錄廳摠裁官)이 되어 『경종실록』『숙종실록』 보유편의 편찬을 담당하였다.

1728년 이인좌(李麟佐)의 난이 일어나자 노론측에서 김일경의 잔당이 난을 일으킨 것이라 규탄하였음에도 영조는 끝내 소론정권에 의하여 난을 평정하였는데, 난이 평정된 뒤 분무원종공신(奮武原從功臣) 1등에 봉하여졌다.

그뒤 1729년에 벼슬을 그만두었다가 영중추부사로 복직하였다.

1730년에는 소론의 거두로 영조에게 탕평책을 상소하여 당쟁의 폐습을 막도록 건의하였고, 왕의 간곡한 부탁으로 노론 민진원(閔鎭遠)과 제휴, 노론과 소론의 연립정권을 수립하여 재임기간하에는 비교적 격심한 당쟁이 없도록 하는 데 힘썼다.

1733년에는 봉조하(奉朝賀)가 되고, 1737년에는 다시 영의정이 되었다.

1740년 영의정으로 재직중 박동준(朴東俊) 등이 중심이 되어 삼사의 합계로 호역(護逆)한 죄를 들어 탄핵을 해오자 울분 끝에 단식하다가 죽었다.

1755년 나주벽서사건으로 소론의 준소계열이 무너질 때에 관직이 추탈되었다. 글씨와 그림에도 조예가 깊었다. 1908년(순종 2)에 복관되었는데, 복관된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참고문헌]

肅宗實錄
景宗實錄
英祖實錄
國朝榜目
國朝人物志
雲谷實記
黨議通略

[집필자]

오갑균(吳甲均)
대표명이광좌(李光佐)
광좌(光佐)
성명이광좌(李光佐)
상보(尙輔)
운곡(雲谷)

명 : "광좌(光佐)"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紀年便攷v30以獨拔為言使一鏡筵奏乃有按律之命訃至之日揚揚出仕英祖即位甲辰入相乙巳遞相左相閔鎮遠率百官庭請三十四啓光佐泰億并削黜丁未復拜左相戊申免是年卒五十四諡文忠乙亥追削以逆律論壬辰特命復官正祖丙申以金若行䟽又追奪兄
紀年便攷v30科歴兵使副摠管官止訓中景宗辛丑士禍臺啓曰權兇鷹犬預受密約累費千買賈納庒士請邊配長興遠配壬寅被逮施滛刑光佐曰若服以知情則妻子可保不則孥戮就章曰欲殺則殺何必以孥戮恐脅一鏡别杖拷掠益毒卒放杖下翌日追刑年五十二英
紀年便攷v30湖左均田使官止戶參景宗辛丑士禍配寧邊一門十四人同日竄配壬寅自謫所被逮誣獄受酷刑七朔在謫五朔滯扞竟殞於光佐之手年五十英祖即位甲辰復官贈吏判丁未還奪辛酉復官諡忠貞哲宗壬子命不祧子俊村號悔菴壬寅配黑山島後官止縣
紀年便攷v30鳯輝以邦家至重之舉謂以國本太輕以宗社莫大之慶謂忙急草率儲位已定而猶自驚惶憂惑又以人心靡定等語罔有紀極光佐逆鏡撰文衆口譁然及反崇奬八座通擬本兵愛護倚仗猶恐不及泰億逆鏡教文出則為主文而蹀血二字看作尋常上燭其逆
紀年便攷v30啓言普爀弼健破賊狀論夏亨徑斬諸賊之失○慶尙監司黃璿為賊所毒死分十二柵多有㓛勩而一夜暴卒或疑其非命○初光佐請去邠上不許又請命嶺人李衡祥趙德麟領兵来援又請本兵長領輦下親兵以迎賊時李冝顯在罪罷中奔問上来并力争止
紀年便攷v30為謀主平安兵使李思晟倡亂於西摠戒使金重器禁軍别將南泰徴和應於內欲以是月三月二十日犯京推載密豊君坦領相光佐右相泰億訓將李森北伯權益寬錦伯權詹完伯鄭思孝壬寅凶䟽人權瑞鳯為其聲援䖳紏蚓結醖釀頗久至有昨年全州書之
紀年便攷v30上不許又請命嶺人李衡祥趙德麟領兵来援又請本兵長領輦下親兵以迎賊時李冝顯在罪罷中奔問上来并力争止之光佐又請以李汝廸為水原府使領兵去冝顯與洪致中趙道彬并阻之汝廸即一鏡心腹也
東國歷代總目v02又除烙刑○乙巳封王世子卽眞宗大王○丁未復進凶黨○上激怒諸臣懲討之請遽翻前案四大臣以下還置罪籍少論專局光佐泰億復相
國朝捷錄v01字元會慶州人恒福六代孫甲子拜祖僉正弘佐光佐八寸孫父進士宗岳生父宗郁鰲恩君以右相丁丑憂己卯卒姜碩昌外孫乙未科
國朝人物志v3也對曰吾知其爲大臣而定策者也不知其爲逆時李光佐按獄時耇睨視曰以白沙爲祖而亦爲是乎光佐起避時耇及施栲掠忽張目大罵曰先朝宿將盡殺之將欲何爲錫恒曰若謂殺宿將此指李弘述李宇
國朝人物志v3字尙輔號雲谷慶州人恒福玄孫父世龜以遺逸官至掌令娶判書高靈朴長遠女生光佐生有孝行嘗糞咋指及丁憂啜粥廬墓宋寅明白上旌閭肅宗甲戌文科壯元歷大提學壬
國朝人物志v3乙巳正月三司合啓泰億爲主文而逆鏡敎文看作尋常請削職三月遞相左相閔鎭遠率百官庭請三十四啓光佐泰億竝削奪門黜丁未七月復拜左相戊申六月免十月卒諡文忠乙亥削奪壬辰特命復官乙未十二
國朝人物志v3還上旣敍用屢下悔悟之敎又責之以執滯敦召不已至是聞賊變遂奔問上命與李光佐同入待左手握光佐手右手握鎭遠手曰所恃者兩卿今日協然解釋同做國事得其諾然後可放手鎭遠曰臣於戊申後益疑其心
國朝人物志v3知有異志力沮之後思晟果叛丁未鏡黨復得志舊臣盡黜鳳祥上章乞與諸臣同罪於是黜爲忠淸兵使光佐泰億復起爲相法當歷辭鳳祥恥曰彼其以逆討者而今忍以大臣見處耶不肯辭至下吏供以實上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2010-05-24일성록 1908년 4월 30일조를 참고하여 복권 사실과 시호 문충(文忠) 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