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심수현(沈壽賢)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2ECC218D604B1663X0
자(字)기숙(耆叔)
호(號)지산(止山)
생년1663(현종 4)
졸년1736(영조 12)
시대조선중기
본관청송(靑松)
활동분야문신 > 문신
심유(沈濡)
조부심약한(沈若漢)
외조부조석윤(趙錫胤)

[상세내용]

심수현(沈壽賢)
1663년(현종 4)∼1736년(영조 12).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자는 기숙(耆叔), 호는 지산(止山). 심약한(沈若漢)의 손자이고, 응교(應敎) 심유(沈濡)의 아들이며, 모친은 동지중추부사 조석윤(趙錫胤)의 딸이다.

1704년(숙종 30) 춘당대문과에 병과로 급제하고, 이어 1706년 설서(說書)가 되었다. 같은해 지평을 거쳐 이태좌(李台佐) 등 16인과 함께 홍문록에 올랐다.

이듬해 수찬을 역임한 뒤 부수찬이 되었다.

그뒤 1708년 강원도암행어사로 파견되어 통천군수 이정영(李挺英), 철원부사 이원명(李元命), 양양부사 성석기(成碩夔), 회양부사 남택하(南宅夏) 등을 징계하고, 영월부사 박중규(朴重圭), 울진현령 김세형(金世衡), 낭천현감 김현(金晛), 평창군수 이영(李瀅), 흡곡현령 신후재(申厚載) 등에게는 표상을 내리게 하였다.

이듬해에는 부교리가 되고 이어 지평을 거쳐 다시 부교리가 되었는데, 이해 평안도 강변의 7읍에서 무재(武才)를 뽑을 때 어사로 파견되어 이를 감독하였다. 곧 돌아와 헌납이 되고 이듬해는 의주부윤으로 나아갔다.

1714년에 다시 양양부사로 나아갔는데, 이때 선정을 베푼 것이 암행어사에 의해 밝혀져 포상받았으며 이 공으로 충청도관찰사에 승진되었다.

1716년 중앙으로 돌아와 승지가 되고 이어 형조참의가 되었다.

1719년에는 경상좌도균전사가 되어 도내의 양전에 따른 불균형으로 백성들의 불만이 심하다는 소를 올려 종전에 실시되었던 양전을 그대로 실행할 것을 관철시켰다.

1720년 다시 승지가 되고, 이듬해는 강화유수로 나아갔다가 중앙으로 돌아와 대사헌을 거쳐, 이조참판을 역임하였다.

1722년(경종 2)에는 공조판서로 승진되고, 1724년에는 병조판서가 되었다. 이어 판의금부사숭록대부에 가자되었다.

이듬해 지중추부사를 거쳐, 1727년 병조판서를 역임하였다. 같은해 지경연사판의금부사를 역임한 뒤 우의정이 되어 진주사(陳奏使)청나라에 다녀왔다. 다음해 사신으로 청나라에서 돌아와 양사로부터 국가를 욕되게 하였다는 탄핵을 받고 문외출송되었다.

그런데 양사에서는 문외출송만으로는 처벌이 경미하다 하여 부사서장관과 같이 절도로 귀양보낼 것을 청하였으나 왕의 비호로 문외출송에 그쳤다. 얼마 뒤에 다시 우의정으로 복직되었으며, 1733년(영조 9)에는 영의정이 되었고, 이듬해 노병을 칭하여 사직을 청하였으나 허락되지 않았다.

그뒤 1736년에 판중추부사로 있다가 죽었다. 어려운 시기에도 정세에 휩쓸리지 않고, 노환이 심한데도 판단력이 정확하여 영상으로서의 구실을 훌륭히 해내었다고 한다.

[참고문헌]

肅宗實錄
景宗實錄
英祖實錄
國朝人物考
國朝榜目
燃藜室記述

[집필자]

조계찬(趙啓纘)

명 : "수현(壽賢)"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辛壬紀年提要v10黯黮之中一鏡前後之言顚撲不破二聖罔極之誣終歸難言之地設計造意窮凶極惡豈可使此輩偃息於覆載之間哉彼金吾壽賢輩賊鏡之島配也擇配善地拿鞠命下緩緩捉來鞠問之日終不窮核幸其徑戮拏戮之典亦不忍視其一心護逆蔑視君父如此
辛壬紀年提要v11邊庭請一邊營護重臣如此他尙何說藉重逞毒之說指意危險竄遂相望之說奚不言於向時而獨言於今日耶持平金龍慶啓壽賢視君父被誣等於弁髦爲賊徒效忠竭其死力請島置不允持平韓德厚疏趙道彬頃年故相臣趙泰采慘啓方張後命且下而使
宗廟儀軌續錄v1則先正以孝廟功德之卓越請入世室矣予雖不明言而今此所問意有在焉仁孝西廟世室皆自下建請其外豈無可考文籍乎壽賢曰兩朝世室皆有疏䜹請事體則當於扵祧遷時議之或聞議定㝎之時會議廟堂云矣致中曰親盡祧遷之時議定㝎世室固是
長陵遷奉謄錄v1梓宮之內恐不安靜矣致中曰私家亦慮於此故或開盖宲棺後發引而雖不宲棺棺內歛具盡爲貼着地板故無撓動之慮云矣壽賢曰 山陵事不可與私家葬比論而聞祭酒鄭齊斗家才過其祖母遷葬而舊旧壙安穩而無他事故云私家猶尙如此則內外隧
長陵遷奉謄錄v1曰其局內搜得則必不多矣不計遠近廣爲搜得然後可以定之矣上曰觀象監置簿中無穴矣鎭遠曰曾聞獻陵亦有一穴云矣壽賢曰 陵局內不挾若爲搜得則幸矣何可經搜他處乎若定 陵於局內則凡事皆爲順便矣上曰必得吉地然後可定 遷奉而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