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조지겸(趙持謙)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870C9C0ACB8B1639X0
자(字)광보(光甫)
호(號)오재(汚齋)
생년1639(인조 17)
졸년1685(숙종 11)
시대조선중기
본관풍양(豊壤)
활동분야문신 > 문신
조복양(趙復陽)
조부조익(趙翼)
출신지광주(廣州)
저서『오재집』
저서『오재집』

[상세내용]

조지겸(趙持謙)
1639년(인조 17)∼1685년(숙종 11).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풍양(豊壤). 자는 광보(光甫), 호는 오재(汚齋). 광주(廣州) 출신. 좌의정 조익(趙翼)의 손자이며, 이조판서 조복양(趙復陽)의 아들이다.

1663년(현종 4) 진사가 되고, 1670년 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대교설서이조좌랑사간응교승지대사성부제학형조참의 등을 두루 역임하였고, 외직으로는 1681년(숙종 7) 고성군수, 1685년 경상도관찰사를 지냈다.

명가에서 태어나 문재가 있었고 처신에 청약(淸約)하여 인망이 두터웠다. 오시수(吳始壽)의 옥사 때 김수항(金壽恒)에게 오시수를 변호하다가 힐책을 당한 뒤, 김익훈(金益勳)의 남인모반사건 조작을 계기로 하여 민정중(閔鼎重)김석주(金錫胄)와의 불화로 더욱 입장이 난처하였다.

승지로 있을 때 왕의 명으로 송시열(宋時烈)을 찾아가 김익훈이 남인 허새(許璽)허영(許瑛)을 이용, 반역을 꾀하게 한 사실을 알리고 일단 송시열의 동의를 구하였으나, 송시열이 그뒤 김석주 등의 말을 듣고 김익훈을 비호하게 되자 송시열까지 의심을 하게 되었다.

이 일로 한태동(韓泰東)유득일(兪得一)박태유(朴泰維) 등과 더욱 정론(政論)이 가까워지게 되었다. 이 사건을 둘러싸고 올린 여러 소에서 박세채(朴世采)박태손(朴泰孫) 등을 비호하여 자신의 입장을 견지하였다.

아버지 복양이 어려서부터 윤순거(尹舜擧)형제와 교우하였고, 특히 윤선거(尹宣擧)와는 친분이 두터워 윤선거의 상에 복(服)을 입었던 사이여서 윤선거의 아들 윤증(尹拯)과 우의가 두터웠다.

이러한 연유로 인하여 소론의 거두 중 일인이 되었다. 당시 송시열을 지지하였던 김수흥(金壽興)김수항민정중민유중(閔維重)김석주김익훈 등이 노론이 되었고, 박세채윤증을 지지하던 한태동박태보(朴泰輔)오도일(吳道一)최석정(崔錫鼎)박태손 등이 소론이 되었다.

그의 문집인 『오재집』에는 「선부군언행총략(先府君言行總略)」과 「백씨행장(伯氏行狀)」이 실려 있어 조복양조지형(趙持衡)의 인물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한편 같은 문집에는 고산찰방으로 있을 때 올린 글 「고산찰방시공사(高山察訪時供辭)」가 있어 당시 마정(馬政)의 문제점 및 그 내용과 역승제도(驛乘制度)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교우로는 윤지선(尹趾善)최석정 등이 있으며, 문하생으로 권구(權絿) 등이 있다.

그밖에 오도일한태동남구만(南九萬) 등과도 교유하였는데, 경상도관찰사로 있을 때 죽었다. 이조판서에 추증, 광주(廣州)명고서원(明皐書院), 고성(高城)향사(鄕祠)에 제향되었다.

저서로는 『오재집』이 있고, 편서로 『송곡연보(松谷年譜)』가 있다.

[참고문헌]

顯宗改修實錄
肅宗實錄
國朝榜目
東國朋黨源流
淸選考
黨議通略

[집필자]

김인걸(金仁杰)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